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CSR에 대한 정당성 인식, 조직기반 자긍심과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조윤형,이한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9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perceived CSR legitimacy significantly influen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nd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on those of relationship. Perceived CSR legitimacy consist of internal and external, and unethical behavior consist of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CSR legitimacy, unethical behavior and OBSE, I set up and drawing the main effect, mediating effect hypotheses. To test of hypotheses, survey research method are performed. Total 315 employees selected sample from 10 firms listed at DJSI Korea. The results which perceived CSR ex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in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lso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organization. OBSE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Finally, OBSE mediated between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have critical effect of the decrease of corporate' ethical efforts which redu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explains mechanism of OBSE that linking of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본 연구는 사회적책임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정당성 인식이 비윤리적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조직기반자긍심(OBSE: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이 이들 변수를 매개하는지도 살펴보았다. CSR, OBSE의 영향력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직무불안정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CSR 정당성 인식은 외재적, 내재적 정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비윤리적 행동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행동으로 구분하였다. 조직 비윤리적 행동은 조직의 이익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몇 몇 연구에서는 친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개념으로도 연구가 수행되어졌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이며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CSR을 시행하는 10 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수거된 315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CSR 외재적 정당성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 내재적 정당성은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개인 비윤리적 행동에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OBSE는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OBSE는 CSR 외재적, 내재적 정당성이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CSR 정당성 인식은 개인 그리고 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개인, 조직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OBSE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조윤형(2014)의 CSR과 비윤리적 행동 연구의 확장 측면에서 CSR 정당성 인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지를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가설 검증 이외에 여러 추가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의 의미를 확장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기업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구성원들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 직무불안정과 조직기반자긍심의 순차직렬 매개효과

        조윤형,이한근,강성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구성원들의 조직과 개인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과 조직 기반자긍심의 순차직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376명의 서비스 기업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 로 3개월의 시차를 둔 2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정치지각은 개인의 비윤리적 행 동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지만, 조직의 비윤리적 행동에는 그렇지 않았으며, 또한 직무불안정에는 정(+)의 영향력을, 조직기반자긍심에는 부(-)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직무불안정은 조직기반자긍심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를 매개하지는 않았지만, 조직정치지각과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의 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기반자긍심은 조직정치지각 과 조직 및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 및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직 무불안정과 조직기반자긍심이 순차직렬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정치지각이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지의 과정을 보다 명확히 하였으며, 서비스기업에서 조직정치가 나타나지 않기 위한 직무불안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의 실질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ethical behavior in the workplace, defined as behavior in and by organizations that violates generally accepted moral norms of behavior. In view of the profitable, reputational, and emotional costs of unethical behavior, organizations face the challenge of preventing, detecting, and responding to unethical behavior of employees. So that scholars have increasingl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why employees and their managers engage in costly unethical behaviors. This study’s propose is to shed light on the link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rvice firms’ unethical behavior by highlighting the intervening role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376 service firm employe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a two-stage mediation model is used in terms of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a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in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ncrease job insecurity, which, in turn, reduces their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ultimately increases unethical behavior in both organization a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study attempts d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echanism through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negatively affects unethical behavior. Also,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지시에 관하여

        조윤형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6 No.-

        러셀의 기술 이론은 Mind에 실린 본 논문으로부터 출발한다고 할수 있다. 러셀은 ‘황금산’, ‘유니콘’과 같이 허구의 개체들을 실제로 존재하는 개체들로 다루지 않음으로써 극단적인 존재론으로부터 탈피하고, 허구의 개체를 지시하는 지시 어구를 포함한 명제 또한 진리치가 확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글은 초기 러셀의 기술 이론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석철학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언어의 의미와 구조가 어떻게 분석되고 해명되어야 하는지를 명쾌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구전설화의 전사체계(轉寫體系) 연구

        조윤형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3 한국어문교육 Vol.12 No.-

        지금까지 독자나 연구자가 접하게 된 구전설화는 거의가 일반적 문자 기록법에 의해 정리된 것들로서, 사실상 구술적 전승의 특성을 최대로 살리려 한 채록본조차 구전설화 본래의 구술성과 현장상황을 제대로 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 종전의 설화채록방식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설화 구연의 담화성과 구술상황의 분석을 토대로 보다 효율적인 기술방법(記述方法) -'전사체계'-에 대해 탐색해 본 것이 본고의 주된 논지이다. 일상적 담화와 마찬가지로 구전설화의 구연 과정에도 '이야기'라는 '정보'가 소통된다. 따라서 구전설화의 바른 이해를 위해선 일상적 담화의 정보소통과 상황[담화이론 및 정보이론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그렇게 될 때 구전설화의 정보소통과정과 그 상황에 대한 바른 인식을 토대로 그것의 본질에 한층 더 가까운 작품감상 및 이해가 가능하다. 일상적 담화소통의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정보의 제시와 정보의 도출 과정은 구전설화의 구연상황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들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변수들을 탐색하다 보면 이들의 작용 양상에 따라 구연된 설화가 다양한 의미작용을 일으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설화구연이라는 담화행위의 정보소통과정과 담화상황에서 발생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이들 모두를 반영하고 표현해 낼 수 있는 전사 체계가 마련된다면 구전설화에 대한 보다 총체적 감상과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점에 염두에 두고 구전설화의 '구술성'을 최대로 실어 낼 수 있는 전사체계를 별도의 양식(설화채록양식)을 통해 요약·정리하여 제시해 보았다. 이는 구전설화의 구술성을 복원시키고 현장성을 최대한 살리려는 의도에서, 설화채록방식과 관련한 대안을 모색 해 본 것이다.

      • KCI등재

        에스테틱 살롱의 C.I.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윤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1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9 No.3

        Corporate C.I. comes to a modern society is very important maketing indispensable element has emerged as a long time. But in the meantime, C.I. Design Group, owner and board of directors of the personal tastes and to meet the needs of this client group of designers with the sensory output is going to progress the majority of cases. As a result, now CI is flooding the like this CI differentiated in the market rather than Free design is hard to find. In this study, with only a glance the general shape looks good design goes beyond the concept of human hearing, many consumers complain more aggressively, and thereby the company, or national franchise company, Aesthetic MIPL more positive image that could lead to favorable out of the elements to develop a rising trend. Leading franchise businesses both domestically aesthetic study MIPL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MIPL companies included in the cross-matching the color that is consonant with mium(ㅁ), pieup(ㅍ), rieul(ㄹ) color reminded of G (green), PB (Purple Blue ), Y (yellow), the creation and the three color of CI, 20-year-old male and female were 68 of people on a preference survey.

      • 캐릭터 벤처 비즈니스에 관한 연구

        조윤형 경복대학 2000 京福論叢 Vol.4 No.-

        근간 정보통신, 전자 분야로 집약되었던 벤처 열풍이 서서히 디자인 업계로 확산되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아직은 디자인 전 분야에 걸쳐 드러나고 있지는 않지만 이같은 디자인 벤처 열기는 특히 캐릭터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다. 디자인 벤처 비즈니스는 독창적인 디자인 및 디자인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져야 함은 물론이고 미래시장을 내다볼 수 있는 진보적 시각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캐릭터의 붐은 거세게 불고 있으나 무엇보다도 시기적으로 요구되어지는 적절한 아이템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한 신중한 소재 선택이 사업의 승패를 좌우한다. 캐릭터 비즈니스의 성공 비결은 단순히 팔기위한 상품을 만드는 것이 아닌 사람들에게 감동과 행복을 전달해 주는 매개체로서의 사명감을 품고, 너무 흔한 아이템은 배제하며,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창적인 제품을 디자인하는데 세심한 배려를 기울어야 한다. 과학적인 분석과 철저한 시장 조사를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트랜드를 읽어내고 그 사회가 요구하는 메시지를 캐릭터에 담아 내는 것, 그것이 바로 캐릭터의 성공비결이다. 또한 상품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차별성 즉 불특정 다수가 아닌 소수의 특별한 대상만을 타켓으로 설정하여 집중적인 마케팅을 전개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해 두고 싶다. Recently the venture fever being concentrated to information and electronic field is gradually spreading to design sector. Although such fever is not detectable in the entire design sector but such design venture fever is most pronounced in Character field in particular. For design venture business startegy for design and design marketing is required along with forward looking perspective to foresee future market. Although boom for character iscoming strong but success or failure is depending on careful selection of materials based on study of proper items demanded at given time. Secret of success for character business is with sense of mission for producing characters which can convey deep emotion and happiness to people rather than producing ones for selling it to the people. Additionally it is reqauired to avoid shop-worn items and paying close attention to designing original products seldem seen anywhere else.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thorough market survey constantly changing brands should be identified and producing character relfectiong the message demanded by society - these are secret for success in character business. Additionally as means for increasing value of product this writer likes to place emphasis on concentrated marketing by differentiation and targeting a specific and small segment of people rather than for a bloc or majority of people.

      • KCI등재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onstructive Deviant B ehavior

        조윤형,문명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employees’ psychological mechanism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constructive deviant behavior that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mployee deviance has been conceptualized as harm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ently, however, to respond to rapid changes in environment and technology,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try to investigate the role of positive deviance attempt to help the organization. We investigate the research hypothesis to identifies a set of relationships of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hange-oriented self-efficacy which enables positive deviance and constitute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employees with psychological ownership, change-oriented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onstructive deviant behavior.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constructive deviant behavior.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our study is that to induce constructive deviant behavior of employees, which are fundamental for successful organizational change,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hange-related self-efficacy. Also, the appropriate level of empowerment between leaders and employees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