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병렬 인공신경망 시뮬레이터

        조용만,강태원,Cho, Yong-Man,Kang, Tae-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6

        이 논문은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에 기반을 둔 가상의 병렬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병렬로 수행되는 다층 인공신경망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층 신경망은 학습세션, 학습데이터, 계층, 노드, 가중치 수준에서 병렬화가 이루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의 통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학습세션 및 학습데이터 수준의 병렬화가 가능한 신경망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학습세션 병렬화와 학습데이터 병렬화 성능분석에서 약 3.3배의 학습 수행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상의 병렬 컴퓨터에서 신경망을 병렬로 구현하여 기존의 전용병렬컴퓨터에서 수행한 신경망의 병렬처리와 비슷한 성능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의 병렬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경망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학습시간을 줄임으로서 신경망 개발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parallel multi-layer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simulator based on the mobile agent system which is executed in parallel in the virtual parallel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The Multi-Layer Neural Network is classified by training session, training data layer, node, md weight in the parallelization-level.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d evaluated the simulator with which it is feasible to parallel the ANN in the training session and training data parallelization because these have relatively few network traffic. In this results, we have verified that the performance of parallelization is high about 3.3 times in the training session and training data. The great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the performance of ANN's execution on virtual parallel computer is similar to that of ANN's execution on existing super-computer. Therefore, we think that the virtual parallel computer can be considerably helpful in developing the neural network because it decreases the training time which needs extra-time.

      • KCI등재

        비정규직 차별금지의 쟁점과 과제

        조용만(Cho, Yongman) 한국노동법학회 2012 노동법학 Vol.0 No.42

        The Korean laws about the protection of irregular employees prohibit discrimination against them. Employers should give equal working conditions to irregular employees who perform as same or similar work as regular employees do. Irregular employees, such as fixed-term employees, part-timers and agency workers, can file a charge of discrimination with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The employer is prohibited from unequal treatment without justification. The employer is allowed to discriminate if there is a justifiable reason based on productivity, job skill, labor intensity etc.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xisting state of anti-discrimination system and review the important issues about complaining party, comparator, just reasons, etc. The history of anti-discrimination law is short. Legal principles about employment discrimination have not been formed. This research suggests to extend the range of complaining party and comparator, and to narrow the scope of just reasons justifying discrimination. This way contributes to protecting irregular employees from discrimination, and to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s.

      • KCI등재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위한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

        조용만(Yong-Man Cho),강태원(Tae-Wo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4 No.5·6

        네트워크는 공학이나 자연과학은 물론이고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되는 모델이다. 이런 네트워크를 좀 더 쉽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각적으로 네트워크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그래프 레이아웃 연구는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에서 요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척도 없는(Scale-free) 네트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복잡한 현상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 네트워크의 특징은 링크의 수(Degree)가 멱함수(power law) 분포를 보이고, 다수의 링크를 가지는 허브가 존재함이 알려졌다. 따라서 척도 없는 네트워크에서는 허브를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의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잘 표현하는 정도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잘 표현하는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에서 허브들 간에 작용하는 허브성 척력이 거리에 반비례하고, 허브들의 degree가 a배 증가하면, 허브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의 크기는 a<SUP>γ</SUP>(γ는 연결선 지수)배가 된다. 또한, 전체 노드수와 전체 링크수에 따라 적용되는 힘의 크기를 조정하는 계수를 두어서 네트워크의 규모에 관계없이 허브성 척력이 적용되는 특성이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허브를 잘 표현하는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인지를 기존의 방식과 실험을 통해서 비교하였다. 실험의 절차는 먼저 네트워크에 허브가 존재하는 지를 식별한다. 허브의 존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은 연결선 지수를 확인하고, 연결선 지수의 값이 2와 3사이에 있으면 허브가 존재하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로 판단한다. 다음은 이 네트워크의 레이아웃 작성에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 결과, 제안한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이 기존의 Noack등의 클러스터중심의 알고리즘에 비해서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허브를 확실히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network is an important model widely used in natural and social science as well as engineering. To analyze these networks easily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layout the features of networks visually. These Graph-Layout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technology. Among them, the Scale-free Network that stands out in these days is widely used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situations in various fields. The Scale-free Network is featured in two points. The first, the number of link(Degree) shows the Power-function distribution. The second, the network has the hub that has multiple links.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for us to represent the hub visually in Scale-free Network but the existing Graph-layout algorithms only represent clusters for the present. Therefor in this thesis we suggest Graph-layout algorithm that effectively presents the Scale-free network. The Hubity(hub+ity) repulsive force between hubs in suggested algorithm in this thesis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and if the degree of hubs increases in a times the Hubity repulsive force between hubs is a<SUP>γ</SUP> times (γ is a connection line index). Also, if the algorithm has the counter that controls the force in proportion to the total node number and the total link number, The Hubity repulsive force is independent of the scale of a network.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Graph-layout algorithm through an experiment. The experimental process is as follows: First of all, make out the hub that exists in the network or not. Check out the connection line index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hub, and then if the value of connection line index is between 2 and 3, then conclude the Scale-free network that has a hub. And then use the suggested algorithm. In result, We validated that the proposed Graph-layout algorithm showed the Scale-free network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cluster-centered algorithms[Noack, etc.].

      • KCI등재

        비전통적 안보위협의 부상에 따른 다국적 실험의 유용성 고찰

        조용만 ( Yong Marn Cho ),박성범 ( Seong Bom Par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1 국방연구 Vol.54 No.3

        오늘날 지구촌 분쟁 양상의 특징은 국가별 정규전 형태보다는 초국가적 및 비군사적 위협이 증대되고 있어 국제적 또는 지역적 안보협력을 더욱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위협이 발생되고 있는 지역이나 분야가 지 · 해 · 공뿐만 아니라 사이버와 우주공간에서도 일어나고 있고, 그 피해는 어느 특정 국가뿐만 아니라 그 주변이나 불특정 다수의 국가들에게 확산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선진 국가들은 국제협조 및 민간기관을 포함한 공동의 대응 개념을 발전시키기 위한 포괄적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美합동전력사 주관으로 美정부 유관기관과 NATO 회원국을 비롯한 우방국이 참여하는 다국적 실험(Multinational Experiment: MNE)을 11년째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이러한 국제적 움직임에 동참하지 못하다가 2008년도부터 다국적 실험에 관찰국 자격으로 참가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3년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다국적 실험의 기법과 연구 산물들을 분석하여 다국적 실험의 유용성과 효과성을 판단한 것이다. 연구결과 다국적 실험은 실험에 참여하는 국가들이 군사협력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참여 국가의 범정부 기관과 유엔의 조직들이 함께 참여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위협에 대한 인식과 공동대비를 하고자 하는 범세계적 토의체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실험기법이나 실험 결과의 산출물들이 점증하는 비전통적 위협에 효용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행 PKO작전 및 장차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과 같은 한반도의 안보환경에도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되어 적극적인 참여전략의 차원에서 유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Today`s global security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concerns over increased transnational and non-military threats rather than persisting conventional military threats. These aspects of global disputes are requiring more international or regional security collaboration because the perceived threats has become more complicated or multifarious involving ground, maritime and air as well as cyber and outer space. To make matters worse, the damage disperses not only to any specific country but also to many unspecified countries. Faced with this new security environment,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NATO members, U. S. alliances and governmental interagency of the U. S. led by United States Joint Forces Command have been developing Joint Concept and Execution, and Multinational Experimentation(MNE) as a common countermeasure against these unpredictable threats for 11 years while feeling comprehensive approach necessity. But Korea has not participating in this movement, however, now has joined the MNE as an observer country since 2008. This article analyzes whether the MNE technical experimental method and its products are necessary and practical to Korean Armed Forces and strengthening its security capabilities. As a result, MNE is assuming a roll not only as a military collaborative main body among the membership countries involving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der United Nations but also growing as a worldwide discussion community in the wake of sharing information, common awareness on new threats and cooperating strategically with other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MNE can reduce the national defensive cost as an effective alternative as well as helping Korean PKO and ROK-US combined operations in the North Korean area in the future. So this article drew up some proposals in order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MN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프랑스 노동법의 대응 - 연결차단권의 보장과 플랫폼노동의 사회적 보호를 중심으로 -

        조용만(Cho, Yongman)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0 노동법논총 Vol.49 No.-

        디지털 혁명은 전통적인 근로자의 노동환경과 근로조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플랫폼에 기반한 새로운 형태의 노동을 출현시키고 있다. 프랑스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대응한 노동법 개혁을 화두로 삼아 제도개선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디지털기기의 남용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연결차단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고,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노동기본권을 명시함과 동시에 플랫폼의 사회적 책임 제도를 신설하였다. 이 글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노동의 확산과 다양화라는 새로운 현상에 직면하여 프랑스 노동법이 연결차단권 보장과 플랫폼노동에 대한 사회적 보호라는 측면에서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대응하였는지를 고찰한 후 그 의의와 한계를 필자 나름의 시각에서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연결차단권은 디지털시대에 등장한 새로운 권리이기는 하나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이라는 노동법의 기본적 이념과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수단적 권리에 불과할 뿐이고, 플랫폼노동에 대한 사회적 보호가 플랫폼노동종사자의 근로자성을 부정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아니 되며 플랫폼노동의 경제적 종속성 외에도 그 조직적·기술적 종속성에 주목하여 사용종속관계의 지평 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The digital revolution is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and new forms of work based on the platform are emerging. In respons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France has been pursuing reform of the system by making labor law reform a hot topic. In order to protect workers from abuse of digital devices, an institutional mechanism was established to guarantee the right to disconnect. In addition, the basic labor rights of the platform workers were specified,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system of the platform was newly established.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French labor law in terms of ensuring the right to disconnect and social protection of platform work in the face of the new phenomenon of the spread and diversification of digital technology-based labor. It also evaluat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suggests 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right to disconnect is a new right that emerged in the digital age, but it is only a means to pursue the basic idea and value of the labor law of guaranteeing worker’s right to rest. The social protection of platform work should not be a factor in denying the status as of workers of persons engaged in platform work. In addition to the economic dependence of platform work,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subordination and expand the horizon of dependent relationship.

      • KCI등재

        2021년 개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의 쟁점과 과제

        조용만(Cho, Yongma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4 No.2

        개정 노조법이 2021년 7월 6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개정 노조법은 ILO결사의 자유에 관한 기본협약을 비준하기 위한 선결과제로 기본협약에 부합하지 않는 주요 사항들을 우선 정비한 산물이다. 그 내용상 일부 아쉬움도 있으나 개정 노조법은 전반적으로 국제노동기준에 더 부합하도록 국내법을 정비하여 노동기본권의 신장을 도모한 점에서 긍정적 의미가 있다. 이 글은 개정 노조법의 해석·적용상의 쟁점과 과제를 검토함으로써 향후 개정법의 조기 안착과 노사분쟁의 예방·해결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단결권 분야에서는 플랫폼노동 종사자 등의 노조법상 근로자성, 해고자나 실업자를 조직대상으로 하는 노동조합의 지위, 기업별 노동조합의 임원·대의원 자격 제한, 비종사 조합원의 사업장 내 조합활동 원칙, 근로시간면제제도의 개선과 한계를 대상으로 하여 개정 노조법의 쟁점과 과제를 검토하고 있다. 검토 결과로 특히 새로운 종속 개념의 모색, 노조 임원·대의원 자격 제한 규정의 폐지 내지는 재개정 검토, 비종사 조합원의 사업장 출입 및 조합활동 관련 해석 기준의 마련, 근로시간면제 한도를 초과하는 사용자의 급여지급 금지·처벌 규정의 신중한 적용 등을 강조하고 있다. 단체교섭권 및 쟁의권 분야에서는 종사 조합원 기준 교섭대표노동조합 등의 결정, 개별교섭 시 사용자의 성실교섭 및 차별금지 의무, 단체협약 유효기간 상한 연장, 직장점거 관련 쟁의행위 기본원칙을 대상으로 하여 개정 노조법의 쟁점과 과제를 검토하고 있다. 검토 결과로 특히 개별교섭에서의 실질적 평등 취급 및 성실교섭에 관한 사용자의 증명책임 강화, 공정대표의무제도의 합리적 운영을 통한 단체협약 유효기간 상한 연장에 따른 부작용 해소, 정당한 직장점거의 법률적 승인에 따른 직장폐쇄의 효과 제한 등을 강조하고 있다. 끝으로 개정되지 않은 노동관계법의 내용과 관련하여 결사의 자유 원칙과의 관계에서 쟁점이 될 수 있는 사항 중 노조설립 신고제, 기업 구조조정 관련 쟁의행위 목적의 정당성, 업무방해죄의 위력 개념을 대상으로 해석론상 주요 과제를 간략히 제시하고 있다. The revised Trade Union Act is in effect from July 6, 2021. The revision of the Trade Union Act was a pre-requisite for ratifying ILO Fundamental Conventions on Freedom of Association, and the revised Act is the product of correcting major issues that do not conform with Fundamental Conventions. Although there are some regrets in terms of its contents, the revised Act has a positive meaning in that it promotes the enhancement of basic labor rights by reorganizing domestic laws to better conform with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as a whol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mote the early settlement of the revised act and the resolution of labor disputes in the future by examining issues and tasks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vised act. In the field of the right to organize, the status of platform workers under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 status of a union that targets the dismissed or the unemployed, restrictions on the qualifications of executives and representatives in company-level unions, the principle of union activity in the workplace of non-employee union members, and time-off system is being reviewed.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concept of subordination, to abolish or re-amend regulations restricting the qualifications of union executives and representatives, to prepare interpretation standards for the workplace access and union activities of union members who are not employees, and to carefully apply rules prohibiting and penalizing the payment of wages for hours in excess of the maximum exempted from working hours. In the field of collective bargaining rights and right to strike, the review is focused on the decision of the representative labor union in bargaining based on employee union members, the employer"s obligation to bargain in good faith and non-discrimination in autonomous bargaining, the extension of the upper limit of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llective agreement, and the basic principles of industrial action related to occupation of the workplace.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employer"s burden of proof regarding substantive equality and sincere bargaining in autonomous bargaining, to resolve side effects caused by the extension of the upper limit of the validity period of collective agreements through the rational operation of the fair representation duty system, and to limit the effect of lockout because legitimate workplace occupation is permitted by the revised act. Finally, some interpretative tasks are presented, focusing on the union establishment report system, the justification of industrial action against corporate restructuring, and the crime of obstruction of business among issue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freedom of association.

      • KCI등재

        국가인권위원회 고용차별시정 10년 사례의 분석

        조용만(Yongman Cho) 한국노동연구원 2012 노동정책연구 Vol.12 No.1

        국가인권위원회는 설립 후 지난 10년간 고용차별의 구제(시정권고)를 담당하여 왔다. 이 연구는 국가인권위원회의 고용차별시정 권고사례를 분석하고, 그 성과와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권고사례 187건 중 고용관계 성립에서의 차별시정사례는 103건(55.1%), 고용관계 전개에서의 차별시정사례는 55건(29.4%), 고용관계 종료에서의 차별시정사례는 29건(15.5%)이다. 고용관계의 성립, 전개, 종료 각 단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차별은 모집·채용 시의 나이차별, 임금 등의 지급에서의 비정규직 차별, 정년에서의 직종·직급별 차별이다. 고용차별시정의 주요 성과는 진정직업자격기준에 근거한 명시적 나이 제한의 시정, 장애인 사이의 장애의 정도를 이유로한 차별의 시정, 성별 구분 모집 차별의 시정, 파견근로자 임금차별 관련 사용사업주의 시정책임 인정, 남녀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 위반의 시 정, 통계적 불균형의 조사를 통한 배치·승진 차별의 시정, 직종·직급별 정년차등 차별의 시정,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정년 차별의 시정, 임신·출산·결혼퇴직 관행의 시정 등이다. 향후 해결 과제는 비가시적 차별의 효과적 시정, 나이제한 관련 진정직업자격기준 중 과도한 부담 기준의 재검토, 학력차별 해소 관련 고졸자 채용 우대정책의 정당성 검토, 비정규직 차별시정 관련 노동위원회 및 법원의 판단사례 검토·활용, 배치·승진 차별 관련 통계적 방법에 의한 차별 추정론과 합리성 판단 척도의 확립, 직종·직급별 차등정년시정 관련 법원 판례와의 대립 해소, 장애차별 예외사유인 과도한 부담 기준의 구체화 등이다.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has addressed matters regarding the investigation and the remedy in the cases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for the past ten year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ases that the Commission decided to recommend the performance of remedial measures to the respondent. The analysis of the cases shows that the Commission has been contributing to remove the discriminatory employment practices, and to make it possible for an applicants or an employee to enjoy an equal opportunity in all aspects of employment. The research, however, suggests that the Commission should make a greater effort to find a solution to new types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expected to increase.

      • KCI등재

        비정규직 임금차별의 합리성 판단에 관한 연구

        조용만(Yongman Cho) 한국노동연구원 2009 노동정책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노동위원회의 판정사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비정규직임금차별의 합리성 여부에 관한 판단의 기준과 내용을 검토하고 특히 합리성 심사기준과 관련하여 필자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비정규직 임금차별 여부의 판단은 크게 네 가지의 과정을 거친다. 그중에 임금 등에서의 사용자의 불리한 처우가 합리적인가에 관한 판단은 최종적 단계에 해당한다. 그런데 합리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어서 판단자의 주관이 상당히 개입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판단기준의 확립과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노동위원회 판정사례를 분석ㆍ평가하고, 특히 객관적인 합리성 심사의 척도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의 정도를 기준으로 심사 척도를 이원화하여 적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Korean laws prohibit wage discrimination between contingent employees (fixed-term, part-time or dispatched workers) and permanent employees performing similar work in the same establishment. Complainants claiming wage discrimination may file a charge with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Wage differentials are permitted when they are based on reasonable factors other than temporary job status of contingent worker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RC cases and set forth a proper legal framework for determining whether compensation differences are justified by reasonable caus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employer's nondiscriminatory defense might be justified when the pay gap between contingent employees and permanent employees are both appropriate and necessary considering objective validity of the defen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