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심형 고층 용도복합시설에서의 기능별 공간 구성 형식에 관한 연구

        조순(Cho Soon),김영훈(Kim Young-Hun)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9 No.1(계획계)

        Recently, development of mix-use building to accommodate dynamic request of city for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Specially, the vertical style uses equipment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land in case of downtown. So, space arrangement manual which accommodates many functions would be needed and it becomes differentiation with past residence commercial complex.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analyze arrangement form and processing way of spatial configuration in mix-use building through examples. Research object is Tokyo Midtown is selected in Japan.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대학생의 온라인 공개강좌(MOOC) 수용 요인 - 확장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

        조순정(Cho S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온라인 공개강좌(MOOC)는 미국의 주요 MOOC들이 2012년 서비스를 개시한 이 후, 현재 성숙기에 접어드는 단계이다. 하지만 국내의 교육정보화 분야에서 MOOC 학술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혁신확산이론과 확장기술수용모델을 근거로 국내 대학생들의 MOOC 수용에 관한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러닝 관련 선행 연구들이 입증한 이론적 모형과 최근 해외 연구자들이 제시 한 MOOC 수용 요인들을 결합시켜 연구 모형과 가설을 마련하였다. 방법론은 두 가 지의 다른 자료원을 정성·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혼합기법(Mixed Method) 방식의 설 명적(Explanatory) 연구이다. 우선 연구 1단계로써 2차 자료를 내용분석에 따라 예비 조사한 결과, 기존의 국내 E-러닝 및 해외 학습자들의 MOOC 수용 요인들과 국내 대학생들의 MOOC 수용 요인들은 전반적으로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후속의 본 조사 에서는, 서베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 동 논고에서 제시한 변인들 의 인과 관계 및 가설을 입증하고 연구 모형을 확정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온라인 수업·교육 관한 문헌들이 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국내 학습자들의 MOOC 수용 현상을 사회기술적(Socio-technology) 관점의 모델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국내 정보화교육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Grounded in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2,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factors influencing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acceptance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MOOCs) in Korea. Drawing on overarching theoretical frameworks in Education Information, and employing dominant predictors that the latest studies on MOOCs address, an explanatory study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a causal conceptual model and its constructs. Also, the outcomes from a pilot test using secondary data sources conducted in August 2015 will be referred to the stage of main study. The pilot test by using content analysis shows that the majority of potential constructs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previous E-Learning and overseas MOOCs research. This study thus suggests the conceptual model and multiple hypotheses that will be confirmed by an subsequent empirical analysis in a quantitative way to investigate factors in the individual student s MOOCs acceptance. From the socio-technologial perspective, this research will make a contribution in fostering educational information research and filling a gap in the knowledge of Education Information, by explaining the acceptance phenomena of MOOCs that extant literature related to E-Learning and online education has not theoretically accounted for.

      • KCI등재

        예수의 죽음의 본질

        조순(Cho Soon)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4 신학연구 Vol.46 No.-

        대다수의 한국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죽음의 의미를 배타적으로 인간의 죄를 대속하는 속죄의 희생제물로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해는 점점 문제시되고 있다. 무엇보다 여기에 암시되어 있는 하나님 포상, 곧 처참한 속죄의 희생제물을 요구하면서 무조건적이 아니라 단지 예수의 죽음에 근거하여서만 용서를 해주시는 잔인한 군주로서의 하나님 표상은 예수의 복음과 모순되고 하나님을 신뢰할 수 없도록 만든다고 비판받고 있다.<br/> 사실상 예수의 죽음에 대한 해석은 신약성서와 기독교 역사 속에서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왜냐하면 예수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은 그의 죽음이 갖는 의미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시도들로서 그 의미는 계속 새롭고, 또 다른 접근법을 통하여 질문되어야만 했기 때문이다.<br/> 오늘날에는 예수의 삶과 죽음과 부활이 하나의 해석학적 규정 연관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이 점점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관 관계에서 우리는 예수의 죽음을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의 확정적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죽기까지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선포한 예수를 하나님께서 인정(認定)하셨고 그것의 궁극적인 도래를 그의 삶과 죽음으로써 확증하셨다면, 예수의 죽음은 그의 선포의 선상에서 그리고 그의 부활의 빛에서 (무조건적인 사랑으로서의) 하나님의 자기 계시가 역사적으로 능가할 수 없는, 곧 궁극적 형태를 가지게 된 사건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연구의 동향: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논문의 주제범위 문헌고찰

        조순정 ( Cho Soon-Jeong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2015년 10월 K-MOOC 출범 이후 5년간 소개된 K-MOOC에 관한 문헌 전반을 검토하여 그간의 연구 동향과 특성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국내 전 학계에서 K-MOOC를 주제로 삼은 기존 연구의 근거를 분류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1년 4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총 63편의 K-MOOC 논문의 18가지 서지정보를 체계적으로 선별한 후, 주제범위 고찰방식에 따라 연구의 추이와 연구자별·기관별·학술지별 특성을 세분하며 연구의 유형을 분류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주목할 만한 발견 사항은, 첫째, 2020년 이후 K-MOOC 연구가 급감 중이며, 둘째, 약 70%의 논문이 인문사회·교양 학계에서 소개된 점, 셋째, 국공립 대학교의 K-MOOC 연구는 수적으로 미미한 기여를 하였으며, 넷째, 이공계 분야 학술지보다 예체능 영역의 학술지에서 K-MOOC 연구가 더 많았던 점, 끝으로, 과반이 넘는 논문은 탐색적 형태에 1차 자료원을 대거 사용하는 등 연구 방법 측면에서 편중된 점이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그간 출간된 K-MOOC 전체 연구물의 공백과 지식의 간극을 인지할 수 있었고, 정부 당국의 K-MOOC 플랫폼의 기술적인 개선 계획에 맞추어 이공계 분야의 K-MOOC 연구 참여가 절실하며, 국공립 대학의 다방면의 연구 참여와 학술적 맥락의 이론적 접근 등 연구의 외연이 보다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research evidence on K-MOOC and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future work and decision-making for new K-MOOC services by investigating K-MOOC literature published since October 2015. Methods: We undertook a scoping review in five categories by the research move in 2015-2021, including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researchers, institutions, and journals, and the attribute of K-MOOC specific studies. To do this, we systematically collected 18 bibliographic data from a total of 63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accredited/candidate journals across all academic areas. Results: Highlighted results are: (i) the number of K-MOOC work has decreased since 2020; (ii) more than 70% of K-MOOC work was published in Humanities & Social Science; (iii) the government-established institutes made a minor contribution to the K-MOOC studies in number; (iv) Arts & Sports and inter-disciplinary journals introduced more K-MOOC studies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 & Engineering; and (v) the majority of the literature has rooted in exploratory research using primary data by relying on particular research method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rom this pioneering scoping study include the classified key pieces of evidence for K-MOOC practitioners and their future work, the wide use of this scoping review in Korean higher education academia, and the considerations in five categories for decision-making on the education policies in terms of the K-MOOC services. This research also recommends eager participation in the studies on K-MOOC from national/public universities and a broader theoretical approach in the academic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