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천 홍수 예측을 위한 CNN 기반의 수위 예측 모델 구현

        조민우,김수진,정회경,Cho, Minwoo,Kim, Sujin,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1

        수해는 홍수나 해일을 유발하여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홍수 예측을 통한 빠른 대피 결정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는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여 홍수를 예측하려는 연구들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NN 기반의 시계열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하천의 수위와 강수량을 사용하여 CNN 기반의 수위 예측 모델을 구현하였고, 시계열 예측에 많이 사용되는 LSTM, GRU 모델과 비교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따른 성능 차이를 확인하여 보완해야 할 점을 찾을 수 있었고, LSTM과 GRU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홍수 예측을 위한 초기 연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lood damage can cause floods or tsunamis, which can result in enormous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this regard, damage can be reduced by making a quick evacuation decision through flood prediction, and many studies are underway in this field to predict floods using time series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CNN-based time series prediction model. A CNN-based water level prediction model was implemented using the river level and precipitation, and the performance was confirmed by comparing it with the LSTM and GRU models, which are often used for time series prediction. In addition, by checking the perform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put data, it was possible to find the points to be supplemen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better performance than LSTM and GRU could be obtained. Through this,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initial study for flood prediction.

      • KCI등재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조민우,손효주,김창민,이주혁,김창완,Cho, Minwoo,Son, Hyojoo,Kim, Changmin,Lee, Joohyuk,Kim, Changwan 한국BIM학회 2012 KIBIM Magazine Vol.2 No.1

        건설 프로젝트의 정보를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공유하고 활용하는 것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 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최근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효과적인 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도구로써 BIM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BIM은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계획 설계에서 유지관리 단계까지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전체 생애주기 동안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잦은 설계변경, 기존 도면의 분실 등으로 인하여 수행 중이거나 완공된 건설 프로젝트의 정확한 정보를 포함한 BIM의 획득이 어려워 시공 및 운영 단계에서 BIM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외에서는 BIM 활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건설프로젝트 전반에서 BIM을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 중이거나 완공된 건설 프로젝트의 현장정보를 포함하는 BIM 구축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첨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에 대한 필요성 제시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BIM 활용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 BIM 활용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첨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을 제안하였으며,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been an important issue within the architect,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EC) industry. BIM provides a way to share and exchange semantically rich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s in order to achieve a successful level of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stakeholders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the project. However, despite the recognition of its potential, BIM has not yet been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stages because of the need to reorganize the BIM by reflecting the as-built status of the buildings. In order to improve and increase the use of BIM at all phases of a project, several research efforts are exploring the creation of an as-built BIM that is based on advanced sensors. However,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and investigation on this research area to date within the domestic AEC indust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in which BIM can be utilized within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stages based on advanced sensors so that it is an approach that might be usefully carried forward. This paper begins by presenting a review of the existing BIM research and achievement in order to determine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BIM in the domestic AEC industry. Conclusively, this paper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future applications of BIM and describes how it can benefit from additional research.

      • KCI등재
      • Spring boot 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육 및 온라인 채점 시스템

        조민우(Minwoo Cho),이태준(Taejun Lee),최지영(Jiyoung Choi),이성옥(Sungock Lee),정회경(Heokyung 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프로그래밍, 인공지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초등학교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학생과 교사에게 맞는 실습실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하지만 학교의 실습실 환경은 노후 컴퓨터로 인한 성능 문제가 있으며, 학생들이 동시에 접속해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알고리즘 경진대회 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기존의 온라인에 출시된 플랫폼을 구매해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React, Spring boot를 사용한 웹 기반의 온라인 실습 환경과 알고리즘 경진대회 채점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양이 낮은 컴퓨터에서도 웹 브라우저만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as interest in programm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increased, software education has been compulsory from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of programm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basically establish a lab environment suitable for students and teachers. 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performance problems caused by old computers in the lab environment of the schoo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tudents must purchase and use the existing online platform while implementing an algorithm contest program in which students access and evaluate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web-based online practice environment and algorithm contest scoring system using React and Spring boot.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hat even in a computer with low specifications, programming can be studied using only a web browser.

      • KCI등재

        낙선재본 ≪홍루몽≫ 협주 번역의 “오류/오역” 연구

        趙旻祐 ( Cho Minwoo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67

        The Naksunjae translation of The Dream of Red Chamber, as known as the world’s first complete translation of this famous Qing novel, is as well as a felicitous material for analyzing the feature of translation itself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 19th century. This article analyzes the incorrect annotations and mistranslated examples of the Naksunjae translation of The Dream of Red Chamber, and suggests that although there were many mistranslations or mistakes, the translators had logical reasons to make the wrong decision. Through the observation,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cess of translation: 1) recognizing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us some mistakes were caused by unclear or profane printing. 2) each translator had his own standard of translation, which still can be seen when we look closely into the text, but these multiple standards made the Naksunjae translation very complicated in consequence. 3) The Naksunjae transl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ormer part, translators prefer to translate Chinese directly to Korean; and in the latter part, translators prefer to preserve original Chinese words. 4) when the translator struggled to find the correct meaning, they rely on the context clues in The Dream of Red Chamber, but the cultural misunderstanding still lead to mistranslation.

      • KCI등재

        燕行錄의 死角: 의도된 省略과 縮小- 이상적의 연행기록과 해당 연행록 비교를 중심으로

        조민우(Cho, Minwo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2 No.-

        본 논문은 이상적(李尙迪)의 연행 관련 기록과 해당 연행록간의 문헌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이상적의 개인문집 『은송당집』과 동시기에 기록된 연행록, 그리고 청문인의 문집, 서신 등을 교차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중 가장 의미 있는 부분으로 이상적의 제 1, 2, 7, 10차 연행의 문헌을 선별하여 3~6장을 통해 분석하 였다. 3장에서는 권식, 조수삼, 이상적의 수창시를 분석하여 권식, 조수삼이 이상적을 언급하지 않은 사실을 지적하였다. 4장에서는 홍석주, 한필교의 연행기록에서 역관의 행적에 대한 생략, 이상적의 공적에 대한 축소가 있었음을 지적하 였다. 5장에서는 윤정의 연행록에 기술된 역관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지적하였다. 6장에서는 서장관 김직연이 청나라 현령 요함이 내방하자 이상적에 대해 애매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지적 하였다. 본 논문은 이상적의 『은송당집』 및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연행록의 이와 같은 기술이 신뢰하기 어려운 기록이라는 점을 분석하였 다. 즉 연행록에도 일종의 사각(死角)이 존재한 다는 점으로 본 논문에서는 연행록이 주로 역관의 행적이나 공적을 의도적으로 삭제, 축소하였 음을 밝혀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redibility of the Yeonhangrok in the 19 th century Joseon dynasty. The paper compares three texts: 1) the Eunsongdangjib (은송당집), written by Lee Sang-Jeok(李尙迪), the famous middle-class interpreter of Joseon; 2) the Yeonhangrok, written by Lee Sang-Jeok’s colleagues during their visit of Peking; and 3) the Qing scholars’ texts and letters, which have been linked to Lee Sang-Jeok and to the Yeonhangrok writers. The comparison of these texts shows that the Yeonhangrok writers often hid or minimized the Joseon interpreter s achievement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blind spot in the Yeonhangr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