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스트립 다운에 의한 엔진 마찰 시험의 문제점

        조명래,오대윤,한동철,Cho, Myung-Rae,Oh, Dae-Yoon,Han, Dong-Chul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6 No.1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strip down method, which is usually used to evaluate the engine friction level. The validity of strip down method was investigated by theoretical analysis of friction in crank and piston assembly. The friction of cylinder and piston assembly was analyzed under the various test conditions. The measured cylinder pressure was used as boundary conditions of friction torque and loss calculation. The friction loss of crank and piston assembly was influenced by test conditions that resulted from the variation of load condition. From the results, we have known that the strip down method could be possible to distort the friction loss of engine moving components.

      • SCOPUSKCI등재

        피스톤계 마찰 특성 (II) -실험적 연구-

        조명래,하경표,김중수,오대윤,한동철,Cho, Myung-Rae,Ha, Kyoung-Pyo,Kim, Joong-Soo,Oh, Dae-Yoon,Han, Dong-Chul 대한기계학회 2003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7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riction characteristics of piston assembly, which composed of ring pack and piston skirt. The friction force of piston assembly was measured by using the movable liner in the single cylinder engine, and the various parameters were tested. The friction force was suddenly increased at the expansion stroke due to higher cylinder pressure. The viscous friction was dominant at the mid stroke, but the boundary friction was dominant at the top and bottom dead centers. Through the experiment, we could validate previous theoretical study, and confirm that th e radial clearance and ring tension were very effective to reduce friction loss of piston assembly.

      • KCI등재

        생태적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모색

        조명래(Cho, Myung-Rae) 한국지역개발학회 2007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9 No.3

        The regional space of Korea tends to be dilapidated, paradoxically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new territorial policy. This may be because of the transformation of regional space from an ’extensive space’ to ’intensive space", in link to the change of Korean capitalism. The way-out from this spatial dilemma is to bring about a new ecologist paradigm of regional development, focusing on the ecological revitalization of regional space

      • KCI등재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는 초심자에게 네비게이션이 줄 수 있는 장점

        조명래(Myung-Rae Cho),송석균(Suk-Kyoon Song),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목적: 숙련된 술자와 인공 슬관절술을 단독으로 시작하는 초심자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비교하고 초심자에게 네비게이션이 주는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경험이 풍부한 술자와 단독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처음 시행하는 초심자가 2015년에 시행한 연속적인 각각의 60예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후향적 방식으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과 술 후 3개월에 외래에서 스캐노그램을 측정하여 술 후 정렬과 골 절제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네비게이션이 나타내는 숙련된 술자와 초심자의 대퇴부 외과적 상과축과 후방과축의 값을 비교하여 대퇴부 삽입물의 외회전을 비교하였다. 술 후 기능의 검사를 위해서 술 후 1년째 외래에서 Knee Society Score (KSS)를 측정하였다. 결과: 숙련된 술자는 60명 중 49명에서 술 후 안정적인 관상면상 축(hip knee ankle angle 값 0°±3°)을 획득하였으며 초심자는 60명 중 51명에서 획득하였다. 네비게이션에 표시된 대퇴부 외회전에 대해서는 골 지표의 입력 이후 표시된 대퇴부 상과축 값은 후방과축 값에 대하여 숙련자의 경우 평균 3.8°±2.9°, 초심자의 경우 평균 1.2°±3.0° 외회전되어 있었다. 대퇴부 상과축이 후방과축보다 내회전되는 것을 이상점(outlier)으로 보았을 때, 초심자에서는 60명 중 18명이, 숙련된 술자에서는 6명이 이상점에 해당했다. 대퇴부 삽입물 외회전을 후방과축에 3° 외회전된 기구를 이용하여 교정한 결과 초심자에서는 60명 중 명 중 10명이, 숙련된 술자에서는 0명이 이상점에 해당했다. 수술 1년 이후 시행된 KSS에서는 KSS knee에 대하여 숙련된 술자의 환자는 평균 83.2±6.8, 초심자는 평균 83.1±7.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네비게이션의 사용이 초심자에게 비교적 안정적인 관상면 축의 획득과 정확한 대퇴부와 경골부의 골 절제를 하도록 도움을 준다. 하지만 네비게이션이 초심자에게 목표된 대퇴부 외회전의 획득에 도움을 주지는 않는다. Purpose: To compare the outcomes of navigation-assisted total knee replacement conducted by a skilled surgeon and novice surgeon, as well 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navigation assistance to a novice surge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made a comparison between 60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ies conducted by skilled surgeon and 60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ies by a novice surgeon during the 2015. Scanograms were taken both preoperatively and at 3-month postoperatively to measure the accuracy of bone cutting and alignment. As for external rotation of the femur, we checked the values of the distal femur surgical epicondyle axis, and the posterior condyle axis displaced by the navigator after bone registration for both novice and skilled groups. For postoperative functional examination, Knee Society Score (KSS) were evaluated at 1-year follow-up. Results: Forty-nine knees in the skilled group, and 51 knees in the novice group achieved coronal axis alignment of hip knee ankle values of 0°±3°. The mean external rotation degree of the femoral epicondyle axis against the posterior condyle axis, measured by the navigator, was 3.8°±2.9° in skilled group, and 1.2°±3.0° in novice group. When regarding femoral epicondyle axis, which showed a more internal rotation than the posterior condylar axis as an outlier, six cases were outlier in skilled group, while, 18 cases were outlier in novice group. After revising external rotation value of femoral implants comparing values navigation displaced and values using 3° external rotation manual jig against femoral posterior condylar axis, the skilled group showed 0 case of outlier and the novice group showed 10 cases of outlier. The mean KSS knee assessed at 1 year postoperatively was 83.2±6.8 in skilled group, and 83.1±7.0 in novice gro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Navigation provides advantages to novice surgeon to achieve stabilized coronal plane axis, as well as accurate resection of the femur and tibia. However, the navigation does not provide any advantages in achieving the aimed amount of femoral external rotation to novice surgeons.

      • KCI우수등재

        포스트포디즘의 정치적 양상

        조명래(Cho Myung-rae) 한국정치학회 1996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4

        포스트포디즘은 조절이론의 품에서 연원되었다. 따라서 이 이론의 관점에서 포스트포디즘의 개념적 내포성이 이해되어야 한다. 조절이론은 축적체제라는 추상적 경제형태와 정치사회적 조절양식을 상호결합함으로써 자본주의 체제의 역사구체적인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방법론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새로운 축적체제로서 포스트포디즘은 단지 새로운 기술파라다임이나 산업 형태가 아니라, 임금, 기술, 기업 네트웍, 소비규범, 화폐 및 금융 정책 등의 ‘사회적 조절’을 통해 형성된 관계적, 제도적, 구조적 앙상블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따라서 포스트포디즘의 ‘내포적 개념(integral concept)’은 ‘기술경제적 형태’로 부터 ‘사회정치적 구조’에 관한 내용까지를 망라한다. 이 같은 내포적 개념에 입각한다면, 우리는 포스트포디즘을 하나의 정치적 현실로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포스트포디즘의 정치적 양상은 축적체제로서 포스트포디즘을 사회적으로 조절하는 조건이자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본 논문은 조절이론의 관점에서 포스트포디즘을 하나의 새로운 축적체제로 간주하고, 이 축적체제가 사회적으로 조절되는 조건과 결과로서 출현하는 새로운 정치적 양상, 특히 국민국가의 해체와 새로운 정치적 질서를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의 구성은 (1) 조절이론과 정치, (2) 새로운 축적체제로서 포스트포디즘, (3) 포스트포디즘의 정치적 조건으로서 조절양식, (4) 포스트포디즘 하에서 재조직되는 정치적 현상으로서 국민국가의 해체, (5) 마지막으로 포스트포디즘의 ‘사회적 조성’과 정치적 질서를 논하는 순서로 되어 있다.

      • KCI등재

        국가론의 녹색화를 위한 시론

        조명래(Myung-Rae Cho) 한국정치학회 2002 한국정치학회보 Vol.36 No.2

        이 글은 국가론의 반녹색성을 비판하면서 대안적 국가론으로서 녹색 국가론의 가능성을 시론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전통적인 국가론은 인간계 내의 지배와 통치의 문제를 다루는 전형적인 인간중심적 지식이다. 하지만 오늘날 지배와 통치의 관계는 인간사회계 내에서만 끝나는 게 아니라 이를 매개로 지구상의 다른 생태종에게까지 확장되어 인간의 생명적 기반이 되는 생태환경의 유기적 파괴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인간중심의 국가론은 새롭게 쓰여져야 할 것임을 이 글은 주장하고 있다. 녹색국가에는 녹색의 가치를 도구적으로만 취급하는 약한 녹색국가 유형으로부터 통치의 내재적 가치로 설정하는 강한 녹색국가 유형이 포함되어 있어, 현실적인 유형은 나라별 발전상황에 맞추어 모색되어야 한다. 그 어떤 유형이든 녹색국가화의 가능성은 녹색의 가치를 새로운 정치적 이념과 대안적 권력으로 구현하는 정도에 의해 좌우된다면, 녹색국가에 이르는 출발점은 녹색의 정치세력화와 이의 제도화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use the preliminary formulation of green state theory as an alternative state theory by criticizing the insensitivity of mainstream state theories to ecological issues. It is argued that traditional state theories are typical anthropocentric pieces of knowledge focusing on the rule and domination of human beings. What matters is that the effect of political rule and domination by man takes place not solely within the human sphere, but, through a social chain of human acts, extends into the ecological sphere, resulting in an organic destruction of natural environment as the foundation of a human being’s life. This brings about an argument that all existing anthropocentric state theories should be re-written or re-formulated in a way to incorporate the reciprocal power rela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ecological species. There are a variety of green state models, and phases through states evolve towards an authentic green state. A first step towards a green state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reen power and the ideology into the realm of state function and apparatus.

      • KCI등재

        고관절부, 요추부, 원위 요골에서의 골밀도에 따른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

        조명래 ( Myung Rae Cho ),안재석 ( Jae Seok Ahn ),채승범 ( Seung Bum Chae ),이상욱 ( Sang Wook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1

        목적: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갖지 않는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여자 환자들을 대상으로 부위별 골밀도를 측정하여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에서 2007년 1월까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를 이용하여 골다 공증으로 진단 받은 여자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관절부(대퇴경부,Ward 삼각, 대전자부), 요추체 전후면(L1-4), 원위 요골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부위별, 연령대별 골밀도와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부위별 평균 골밀도는 wards 삼각(-2.93±0.95), 원위요골 중간부위(-2.95±1.21)에서 가장 낮았고, 부위별 진단진단에 있어 고관절-요추의 경우 37%, 고관절-원위요골의 경우 34%, 요추-원위 요골의 경우 38%의 불일치도를 보였다. 연령대의 증가에 따라 골밀도의 감소 소견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60대와 70대 사이에서 골밀도의 두드러진 감소 소견을 보였다. 결론: 한국여성의 골밀도 측정시 고관절부, 요추부, 그리고 원위 요골에서 상당한 진단 불일치율을 주어 각각의 부위에서의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예방을 위해서는 고관절부, 요추부, 원위 요골 모두의 골밀도 측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rrelation according to sites measured from women diagnosed with osteoporosis without other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patients diagnosed with osteoporosis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from January 2006 to January 2007 were evaluated. All patients were measured at the hip joint (Femur neck, Ward triangle, and great trochanter), lumbar spine body (L1-4), and distal radius. Results of measurements were then evaluated for determination of coincidence. Results: Mean bone mineral density was lowest at Ward`s triangle (-2.93±0.95) and radius midshaft(-2.95±1.21). The rate of disconcordance between hip joint and lumbar spine was 37%, between hip joint and distal radius, 34%, and, between the lumbar spine and distal radius, 38%. With increase in age, a greater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was observed, and markedly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was observed between the ages of 60 and 70-years. Conclusion: Rate of disconcordance of bone mineral density among hip joint, lumbar spine, and distal radius was significant. To prevent further fracture, all sites (hip joint, lumbar spine, and distal radius) must inevitably be measured.

      • KCI등재

        아시아의 근대성과 도시

        조명래(Myung-Rae Cho)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4

        이 글은 아시아의 진정한 근대성을 사유하게 되는 시대의 도래 속에서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가 어떻게 재편되고 있는 지를 한국의 도시화 경험을 중심으로 사색하면서 아시아란 정체성의 외연이 확장된 시공간 속에 새롭게 설정되는 삶의 재주체화 문제를 고민해보고자 한다. 이 글은 먼저 근대성의 보편가치와 특수가치, 성찰성의 문제, 근대성의 표현으로서 공간환경의 문제들을 개관하고, 나아가탈근대 시대 아시아의 근대성을 ‘혼융적 근대성과 재현적 근대성’이란 개념으로 검토한 뒤, 이의 공간환경적 재현 문제를 한국의 도시화 경험을 사례로 검토하는순서로 전개된다. 결론에서는 탈근대 시대 아시아란 공간의 의미를 되새겨보되,이는 앞으로의 논의를 위한 함의로만 제시된다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Asian urban modernity and its reflection on the living space like city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experience of compressed urbanization. In so doing, it intends to contemplate on a new modern urban subject situated in the time space expansion of Asia’s identity. It begins with overview of several conceptual issues like the ‘generic and specific’ types of modernity, reflexity of modernity, environment and space as a material expression of modernity and then moves on examining Asian modernity which is typified as ‘hybrid’ vs. ‘interpretive’. Korea city’s modernity and its spatial representation are subject to close examination as a way of revealing the above conceptual issues. The paper concludes with drawing attention to the shaping of Asian space in an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은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가?

        조명래(Myung-Rae Cho),이영식(Young Sik Lee),권재범(Jae Bum Kwon),이재혁(Jae Hyuk Lee),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목적: 항 혈소판 제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실로스타졸)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이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초기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안전한 방법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단일 센터에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시행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369건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항 혈소판 복용 과거력이 없는 271명과 항 혈소판 제제를 술 전 7일간 일시적으로 복용 중지한 98명을 각각의 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 간의 입원기간 동안의 동종혈액 수혈 빈도와 함께 초기 실혈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술 후 1일과 2일에 혈색소 수치 및 적혈구 용적률의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를 복용한 군과 항 혈소판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군 간의 수술 1일과 2일 후의 적혈구 용적률, 혈색소 수치의 변화량, 동종혈액의 수혈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69명 중에서 입원기간 동안 총 149명이 수혈을 받았다. 수혈을 받은 환자의 군에서 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대적으로 고령의 나이, 작은 키, 작은 몸무게, 술 전의 낮은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를 보였다. 수혈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 간의 성별과 술 전에 시행한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등급,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 복용 과거력 유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결론: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7일간의 일시적 중단은 항 혈소판 제제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환자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출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reoperative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aspirin, clopidogrel, or cilostazol) is a safe procedure that does not increase early postoperative bleeding and allogenic blood transfusion after a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navigation assisted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6. A total of 369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71 patients with no history of antiplatelet therapy and 98 patients who underwent 7 days of temporary withdrawal of antiplatelet therap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variation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early postoperative bleeding and the frequency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during hospitalization. Results: The variation of hemoglobin, hematocri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s and the frequency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between no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and discontinuation antiplatelet medication before 7 days from surgery were similar in both groups. Of the 369 patients, 149 patients received a blood transfusion during their hospitalization.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a blood transfusion, those who did received blood transfusion were significantly older in age, smaller in height, lighter in weight, 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eoperative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preoperativ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cores, and the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until 7 days prior to surgery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blood transfusion. Conclusion: Compared to patients with no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the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7 days prior to surgery in patients undergoing antiplatelet medication did not increase the amount of postoperative bleeding or the need for allogenic blood trans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