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비교 분석 - 초등학교 4학년 도덕, 사회,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

        조규동,정기섭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시민인문학 Vol.20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4학년 도덕, 사회, 과학 교과서에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이 어느 영역에서 얼마나 증감되었는지 살펴보고, 초등학교 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2007개정 교 육과정의 도덕교과서에서는 환경문제와 매체소양교육과 같은 지속가 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7개정 교 육과정의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영역은 제 7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1개 단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교과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재 해 예방ㆍ감소 내용이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4학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을 가능한 한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관점으로 확대하고, 각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을 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연관 속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교사연수 및 워 크숍 기회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교과서가 2011년부터 상시 개편체제로 전환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고 현실감과 시사성이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으로 소재를 선정하여 교과서 를 집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은 학교의 교 육과정을 편성하고 재구성할 때 과학교과의 자유탐구 활동 등을 활용 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을 적극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ontents domain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the revised educational course, especially focus on 4th grade of eth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And this study present the ways of activating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ethics textbook in the revised educational courses increase more compared to 7th educational course. Second, there is one more unit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extbook in the revised educational courses compared to 7th educational course. Third, the contents about disaster prevention and decline of science textbook in the revised educational courses increase more compared to 7th educational cours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to activate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4th grade are as follows . Firs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expand an ecological, societal, and economical viewpoint. Teacher training and workshops about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held more. Second, the textbooks should be consist of the contents that students can agree on and is realistic and suggestive. Third, teachers can reflect approach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cience class when organizing and reorganizing educational courses.

      • KCI등재

        SAQ 모델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수학습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과학사회적 추론 유형 탐색

        조규동,홍석영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4 현장과학교육 Vol.18 No.1

        SAQ(socially acute questions) 모델은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생각을 하고 심층적인 질문을 만들어 내는 것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SAQ 모델을 활용한 기후변화 주제의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학습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과학사회적 추론(SSR)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기후변화 주제의 교수학습 자료와 절차에 관한 내용을 개발하여 A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 37명을 대상으로 1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중 학생들이 작성한 자료를 과학사회적 추론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SAQ 모델을 적용한 기후변화 주제 수업을 통해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기후변화를 복잡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과학 사회적 추론의 유형인 복잡성, 관점 획득, 탐구, 고찰, 비판적 의심의 영역별 주요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사회적 평등, 국가적 참여와 같은 측면에 대한 의문을 지니고 국가적 차원에서의 법률 규정, 범국가적 차원에서의 강력한 합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과학기술의 역할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한 비용-편익 분석, 탄소 중립 효과 예측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과학사회적 추론의 요인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견해를 주장하기 위한 논증의 요소로 활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갖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인식은 일종의 가치관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주제의 후속 교육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SAQ(socially acute questions) model aims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critical thinking and generate profound question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 this study, we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T-L) activities on climate change using the SAQ model, and explor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scientific reasoning(SS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materials and procedures and conducted 10 lessons with 37 students from grades 1 and 2 at ‘A’ High school. The data generated by students during the lessons were classified into the domain of socio-scientific reasoning. Through the SAQ model, students gain an understanding of various perspectives related to climate change, perceiving it as a complex issue. In addition, we confirmed various aspects of SSR, including complexity, perspective- taking, inquiry, considerations, and skepticism across different domains. Students develop questions about social equity and national participation, and recognize the need for legal regu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robust agreements at the international level. Furthermore, students recognize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prediction of carbon neutrality's effects as crucial. On one hand, factors of SSR were observed to be utilized as components for students to argue their viewpoints. Students' perception about climate change is very important, as it serves as a kind of values. Based on this study results, we suggested follow-up educational research about climate change.

      •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금연성공 요인분석

        조규동,김성환,윤미,현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2009 통계상담 Vol.사례 22 No.1

        흡연은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전국적으로 금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금연의 시작에서부터 유지단계에 이르기까지 금연클리닉 사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연 성공과 실패 두 그룹간의 평균차이 검정 및 수준별 증감의 추세를 알아보기 위한 추세 검정,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검정 등 금연성공요인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금연 성공 및 유지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화에 나타난 따돌림의 실태와 교정복지의 역할 연구 - 영화 『우아한 거짓말』을 중심으로 -

        조규동,희원 한국교정복지학회 2014 교정복지연구 Vol.- No.34

        오늘날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대중매체가 있지만 영화만큼 대중들에게 높은 파급력을 보여주는 매체는 드물다. 실제로 몇 년 전에 개봉된 영화「도가니」는 장애인 성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한 특례법이 개정될 정도의 파장을 일으켰다. 최근 개봉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영화「우아한 거짓말」 은 학교폭력을 주제로 한 영화이다. 비록 이 영화가 실화를 바탕으로 하지는 않 았지만, 실화 보다 더 실화 같은 내용으로 영화 속 학교폭력이 현실에 일어나지 않기를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로 부각 되고 있는 학교폭력 ‘따돌림’이 영화『우아한 거짓말』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 는지를 살펴보고,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교정복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우리나라의 각 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활동이 교정복지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즉, 학교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를 대하는 태도와 예방을 위한 관련자들의 심층개입과정은 또 다른 교정 복지의 장이 될 수 있다. 또한, 영화기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영화『우 아한 거짓말』에 나타난 따돌림은 외형적으로 쉽게 드러나지 않으나 피해자로 하여금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잔인한 학교폭력의 실체였다. 이를 통 해 따돌림은 피해자에게 외적인 폭행보다 오히려 더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는 ‘잠 재적 고위험군 학교폭력의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영화 속 ‘만지’의 행동처럼 잘못된 행동의 주체자를 끝까지 미워하고 벌을 주어 반성하도록 한 후 다시 그런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관심을 갖는 모습 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 관심들이 또 다른 범죄를 예방하는 지름길이라는 우리사회의 인식개선이 병행되어야 하며, 그런 사회가 바로 교정과 복지가 양립 할 수 있는 양질의 지역사회일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영화 속의 학교폭력 실태를 기호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 포함되었음을 배제하기 어렵다. 또한 교정복지 의 광의적 개념을 도입하여 현재 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활동과 교정복지의 역할이라는 교차점을 찾는 과정에서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There are various mass media in today’s society but few of them are more influential on people than movies. In fact, movie Silenced released a few years ago was so powerful that it even resulted in the revision of acts on special cases, intensifying the punishment of sex crimes against the disabled. Recently released Elegant Lies, which evoked hot responses throughout the society, is a movie on the theme of school violence. Although it is not based on a real story, we hope that school violence as in the movie may not happen in the real life.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chool violence ‘bullying,’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is described in movie Elegant Lies through film semiotic analysis, and to search for the role of correctional welfare in solving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promoted by individual schools in Korea may be included as the subjects of correctional welfare. That is, attitude toward the offenders and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involved people’s in‐depth intervention process for prevention can be another ground of correctional welfare. From the viewpoint of film semiotics, moreover, bullying in Elegant Lies was a cruel school violence that, though not easily noticeable, could compel the victim to make an extreme choice. That is, the movie showed that bullying is ‘a form of school violence with high potential risk’ that can inflict more fatal wounds on the victims than visible violence. In addition, we need to take interest in what is shown in movie All Mixed Up, hating and punishing one person who did wrong to the end until he repented and turned completely away from such a behavior. There should be the improved social consciousness that such an interest is a shortcut to the prevention of another crime. Such a society will be a high‐quality community in which correction and welfare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school violence in movies by a semiotic method but it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researcher’s subjective interpretation. Moreover, there may be a limitation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broad concept of correctional welfare and finding a crossover point between the schools’ current effort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the role of correction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