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

        최성규,이정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3 No.2

        특수교육에 있어서 통합교육의 중요성은 궁극적으로 특수교육의 지향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물리적 통합보다는 기능적 정서적 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16명의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15문항과 장애아동 지도를 위해 요구되는 전문성과 관련한 15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는 통합교육 장에서 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지도와 관련된 수행능력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수행능력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있으나, 태도에 비해 수행능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곧 특수교육의 효율성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장애아동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 요구되는 수행능력신장을 위한 방안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The efficiency of inclusion is not decided, more determined by teachers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setting but by their competency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attitude and competency regards inclusion and to present our basic finding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clusion. Three hundred sixteen teachers participated in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compet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a) The teachers attitude was positive to inclusion. And there was marginal difference regarding sex, career, experience but those teacher have more experience did develop a higher level of concerning; (b) The competency level the of inclusive class teacher was low regarding efficient teaching methods with special needs children. The competency level of the teaches was much higher in direct proportion to their degree of experience with special needs children; (c) There was a little relation between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attitude and competency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al significance regarding positive attitude and competency teacher attitude and competency and the level of classroom efficiency. The prince factor in improving education for special needs children is a well organized, professionally planned program.

      • KCI등재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문능력 인식 연구

        권기홍,도성화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standard of reeducation for developing teachers’quality and ability by analysing the professional abilities needed in the school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s followings were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First, analysing their achievement degree of disabled school teachers’professional ability according to the variants(by the kinds of sex, school level, certificate and teaching career). Second, researching their importance degree of disabled school teachers’professional ability according to the variants(by the kinds of sex, school level, certificate and teaching career). Third, comparing and analysing the achievement degree and the importance degree of disabled school teachers’professional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ir achievement degree of disabled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they marked highest in‘Special teachers’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ptitude & humanity’ domain, and marked lowest in ‘Administrative ability in special education’ domain. Second, for their importance degree of disabled school teac hers’ professional ability, they marked highest in ‘Subject tea ching’ domain, and marked lowest in ‘Administrative ability in special education’ domain. Finally, for both of their achievement degree and importance degree of disabled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importance degree was higher than achievement degree. And achievement degree was highest in ‘Special teachers’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ptitude & humanity’ domain, and importance degree was highest in ‘Subject teaching’ domain. 본 연구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지체부자유학교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능력에 대한 자신의 성취도와 현장에서의 중요도를 알아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지체부자유 특수교사 양성과 현직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 자료의 기준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의해 특수학교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교사의 전문능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에 대한 공통지식, 지체부자유교육 기초, 교과지도, 생활지도 및 부모교육, 특별활동지도, 특수교사의 교직적성 및 인성적 특성, 특수교육 행정능력의 7개 영역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전문능력에 대하여 교사 83명을 대상으로 전문능력에 대한 성취도와 현장에서의 중요도에 과한 현장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문능력에 대한 자신의 성취도는 영역별로 특수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적 특성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교과지도, 특수교육에 대한 공통지식, 지체부자유아 교육기초, 생활지도 및 부모교육, 특별활동 지도, 특수교육 행정능력 순이며, 성별, 학교급 별, 소지자격 별로는 차이가 없으며,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다. 둘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문능력에 대한 중요도는 영역별로 교과지도, 특수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적 특성, 생활지도 및 부모교육, 지체부자유아 교육기초, 특수교육에 대한 공통지식, 특별활동 지도, 특수교육 행정능력의 순이며, 전반적으로 학교급 별, 소지자격 별, 경력별로는 차이가 없으며, 성별에 따른 중요도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다. 셋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문능력에 대한 자신의 성취도 및 중요도는 중요도가 성취도 보다 높으며, 성취도는 영역 중에서‘특수교사 교직 적성 및 인성적 특성’이 가장 높고, 중요도는‘교과지도’영역이 가장 높았다.

      • KCI등재

        2008년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 국악 내용 분석 :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근거

        정은경,김성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3

        The Study focuses on analyzing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2008 music textbook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ased o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in the general education.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2008 music textbook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study analyze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2008 music textbook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in the general education, and identifies problems of the 2008 music textbook through the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characteristic and the goals of the music education in the 2008 music textbook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re on the same page, comparing to those of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However,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2008 music textbook has played typical role, as one of the strategy methods for the music education. Second,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2008 music textbook are consists of the basic and the simple subjects among the traditional music areas in the level of Ⅰ, Ⅱ, Ⅲ.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described based on the less systematic and professional consid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2008년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 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해 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2008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에서의 국악 교육의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2008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음악교과서의 국악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에서의 음악 교육의 성격, 목표, 교과의 특성은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그것과 같은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국악 교육이 체계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에 반해, 기본교육과정은 음악교육의 매개체 역할을 주로 하고 있고, 국악의 내용 면은 매우 간단히 다루는 걸로 분석되었다. 둘째, 2008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에서의 국악 내용은 Ⅱ, Ⅲ단계에서 매우 한정적이고 단순한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국악 교육이 체계성이나 전문성의 고려 없이 언급 되고 있다. 실행 면에서는 일반교육에서의 그것과 크게 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 KCI등재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박영근 ( Park Yung Ke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지적장애아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분석하기 위한 혼합연구(Mixed Method Study)이다.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통하여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 특히 전공과 교사들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중 전환교육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에 기반 하여 전반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전공과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질적 면담을 양적 연구에 뒤이어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섯 가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을 모두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질적 구성요인들에 대한 수행은, 교사들의 중요 인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전환교육의 질이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있었고, 급별에 따라서는 전공과 교사들이 전환교육의 질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환교육 전반에 걸친 수행에 대하여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환교육의 수행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은 전환교육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전환교육의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부분들이 많이 괴리된 상태라서 효과적으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전문성을 요구하는 전환 평가가 특히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하였고, 교사의 신분으로 학생들의 취업까지 책임져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국가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 하였다. 개별화 전환계획 수립은, 교사의 부족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능력을 갖추어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사연수가 필요하고, 전환훈련은 좀 더 지역사회에 기반한 훈련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 관련 인사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추수지도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학교 여건상 교사들이 담당하기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추수지도를 담당할 수 있는 교사 인력을 확충하거나, 추수지도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purpose of the quantitative survey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and to evaluate the current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knowledg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quantitative survey study, special school teacher recognized that the five quality component are all important component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mong five quality components of program, includ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operation, transition, documentation, and administration support,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perceived transi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quality of transition service was perceived as low. Also,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 post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among five quality indicator the most. Thus,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implemented with only post 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their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services. According to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teachers expressed that they felt undereducated about transition services and how to apply them most effectively to each individual student’s needs. Yet despite their perceived importance, most special school teachers felt that they were lacking in their ability to implement more exact transition assessment for their students, and indicated that more professional training was required in this area. When asked about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planning, educators stated that it was higher than their preparations for building transition planning. This is due to the necessity for building transition plans despite lacking in the necessary skills. Thus, the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transition services is necessary. Teachers thought that transition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as practically through community based instruction. Also, national support are necessary in order to provide en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in order to help teachers to provide effective follow-up service for students to maintain their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who can work for follow-up services.

      • KCI등재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강영심,손성화,정현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U도시의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 11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15시간의 생활원예와 관련된 직업교육 직무연수를 실시하였다. 연수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직업교육 효능감 24문항과 준비도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사전-사후 간 Wilcoxon 검증을 통한 비모수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이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를 받기 전보다 받은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직업교육 효능감의 2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개인적 효능감이 일반적 효능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준비도 역시 연수 전보다 연수 후에 유의미하게 높게 향상되었다. 직업교육 준비도의 3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지식과 실천, 책임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식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는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STEAM기반 경제교육 실시를 위한 교사 인식

        권미영 ( Kwon Mi-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 내 장애학생의 STEAM기반 경제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조사연구로 전국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경제교육 실행에 효과적인 STEAM기반 경제교육의 프로그램 및 지도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대학과 B대학에서 교사연수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교육대학원 및 특수교육대학원의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총 47문항의 설문지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경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장애학생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의 경제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생산 활동, 노동 활동, 소비 활동에 대해 장애아동이 화폐의 가치, 교환, 소득, 저축, 가계부 및 신용거래의 개념을 높이 인식할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의 경제교육을 위한 STEAM기반 경제교육 실행에 대한 인식은 경제교육의 형태에서 체험중심의 창의융합적인 접근방법으로 지역사회와 연계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STEAM기반 경제교육 프로그램과 지도서의 개발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다양한 요인을 반영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 basic research study on the perception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This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s and guidance books that are effective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icient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a total of 47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on 165 teachers. They are composed of speci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f A and B universities, and general teachers attending the master's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quires new economic education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eacher’s perceptions of economic activity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that the mo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ppreciate the concept of money value, exchange, income, savings, household accounts, and credit, the more positive they perceive production, labor, and consumption activities. Third, for the implement of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form of economic education is needed, that is a new approach linked to the community and a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based on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s and guidance books and build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reflecting various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