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지침요법이 중학생의 복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

        강현숙 ( Kyoul Ja Cho ),조결자 ( Hyun Sook Ka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10-12세 사이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복통(Oh, 1996)의 구급처치 방안으로 수지침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수지침요법은 손을 몸의 축소판으로 생각하여 수지 안에는 인체의 내장이 있고, 14경맥이 있으므로 이를 자극하여 치료 하는 자극요법으로 수지침요법은 상응점에 가는 침(needle)으로 1mm 깊이의 자극을 주어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수지침과 같은 상응요법은 수지의 신체 해당부위(상응부)에서 과민 반응점(상응점)이 나타나는 부위에 자극을 주는 방법을 말하므로 수지 안에 있는 복통 상응점을 자극하면 통증이 감소된다(Yoo, 2001). 뿐만 아니라, 수지침은 약물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과 내성등에 의한 위험 등 일체의 후유증이 없고 질병예방이 가능하며, 효과가 빠르고 시술이 간편하며 경제적이어서 원할 때 즉시 시술이 가능한 요법이다(Kim & Cho, 2001), 그러므로 학교보건실에서 복통완화를 위한 치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학교 보건실에 내방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통증완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수지침에 의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이 완화되었음을 보여주었고, 객관적인 통증척도 중 발한정도는 수지침 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발한이 감소되었다. 또한 객관적인 통증척도인 안면표정과 음성변화에서는 비록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증완화점수의 감소폭이 컸었다. 이는 간헐성 복통 환아에 대한 수지침의 효과 검증결과 통증 강도가 감소하였음을 보고한 Hong(2005b)의 연구결과 와 유사하였다. 또한 두통완화를 위해 수지침을 시술한 결과 주관적 통증 점수와 객관적 통증 영역 중 음성변화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Cho와 Kang(2004)의 연구 결과와 복통, 요통 등의 증상을 보인 월경곤란증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 수지침 요법이 뜸 요법보다 신속한 효과를 나타낸Kim과 Cho(2001)의 연구, 수지침이 여중생의 생리통 자각증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Moon(2003)의 연구결과에서도 수지침이 통증완화에 효과적이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주었다. 그러나 연구자마다 대상자들의 연령층이 각기 달랐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지침요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었으며, 복통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에 불과했기 때문에 본 연구와 정확히 비교하기는 어려웠다. 통증이란 경험하는 사람이 통증이라고 말하는 것은 무엇이나 통증이며 그가 통증이 있다고 말할 때는 언제나 존재 하는 것이다(McCaffery, 1977)고 하여 통증에 관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을 강조하고 있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통증을 측정한다고 하여도 수치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 증명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이 수지침 요법을 통해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한다면 객관적인 면이 부족해도 본인의 느낌대로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평가 할 수 있다. 더군다나 통증이 있을 때 객관적 통증반응 중 안면표정과 음성은 자신의 의지로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지만 발한은 자신의 의지로 조절하기 어렵다. 따라서 통증의 객관적 반응인 발한정도가 감소되었다고 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비록 객관적 통증 반응인 안면표정이나 음성변화에 차이가 없었지만 이러한 맥락에서 수지침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안위 면에서는 수지침 요법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통증이 완화되면 신체는 자연히 안락한 상태로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으나 그렇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객관적 통증반응이나 안위 면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검증되지 못한 것은 대상자 수가 적은 것과 대상자로부터 연구의 동의를 얻기는 했지만 침습적인 처치에 대한 두려움이 많은 연령층인 중학생이라는 점 등이라고 보아 앞으로는 대상자 수를 늘리며, 다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 수지침은 복통환자의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을 감소시키므로 수지침이 복통완화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and acupuncture on relieving of abdominal pain. Method: Fifty-five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mplained abdominal pain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re were 35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20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Convenience assignment was us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and acupuncture treatment which was to puncture corresponding points (epigastric pain A8, A12, A16, K9, F4, E42; lower abdominal pain A1, A4, A6, A8, J1, H2) on both the palm and the back of a hand with disposable acupuncture needles, and then to remove them after a 20-30min. recess during the subjects was in supine position on a bed. Result: Degree of subjective pain decreas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al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bjective pain and comfor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and acupuncture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abdominal pain. Therefore, hand acupuncture could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abdominal pain reduction.

      • SCOPUSKCI등재

        신생아 돌보기 교육이 어머니의 자신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조결자,이군자,이옥자,Cho Kyoul-Ja,Lee Kun Ja,Lee Ohk Jaa 한국아동간호학회 1999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the educational program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caring confidence and rearing attitude of the newborn moth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 newborn mothers-20 control group and 20 experimental group-who delivered a normal neonate and were gotten general informations from the nurses at the K medical center in Seoul.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for 30-40 minutes in maternal educational program through lectures, demonstrations, discussion with textbooks and visual materials by a researcher at 2-3 days after delivery. The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at 2-3 days after delivery and at 4 weeks after discharge-from October, 1998 to January, 1999 by investigators interviewing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Pharis(1978)'s self confidence scale was used after some modification to measure caring confidence and Cohler's maternal attitude scale to check mother's rearing attitud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of frequency, %, x²-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fid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2.519, p=.016) and the rearing attitude changed more positively(t=5.545, p=.000). 2. In the confidence scale, the statements having a significant change were holding a baby, changing diapers, feeding, and caring umblicus. 3. In the rearing attitude scale, the statements having a significant change were 12 of 20 statements.

      • SCOPUSKCI등재

        RN-BSN과정 학생들의 아동간호학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 요구도 조사

        조결자,강경아,김신정,문영숙,유경희,이지원,Cho Kyoul Ja,Kang Kyoung Ah,Kim Shin Jeong,Moon Young Sook,Yoo Kyung Hee,Lee Ji Won 한국아동간호학회 200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6 No.3

        Considering the rapid change of modern nursing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make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nursing education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patient-nursing needs and the students' needs. This means that nursing education ha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lso, as the students of the RN-BSN program being all registered nurses,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m is planned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undergraduate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of pediatric nursing in RN-BSN program. The contents of the pediatric nursing curriculum and its necessity was identified and reviewed. From June 5 to June 30 2000, data were collected from 309 RN-BSN students in 5 nursing schools.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ir researchers and the Korean Nursing Association and consisted of item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ontents of pediatric nursing.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s and was analyzed using SPSSWIN 10.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In the section surveying on the credits of pediatric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3 out of 5 schools had 2 credits in theory (60.0%), and 2 credits for clinical practice in 2 schools, and 2 credits were given to the elective practice in 2 other schools. 2. In analyzing the degree of demand for lecture and clinical practice, 52.1% of students preferred lectures to be given by professors and 53.7% preferred their level of undergraduate knowledge updated and finally most of the students (81.9%) didn't want to do the clinical practice. 3.The students weighted the importance of current curriculum contents as follows : sex education of adolescence(60.8%), high-risk infant(59.5%), sex education of school age children(59.2%), the handicapped children (55.7%), health assessment(52.4%), children with pneumonia(51.5%), children with asthma (47.1%), children with burns(41.1%).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measure the degree of education satisfaction and needs in RN-BSN students and to improve the curriculum contents in pediatric nursing.

      • SCOPUSKCI등재

        산후조리원의 산모의 신생아 돌보기 교육 요구도와 교육 만족도

        조결자,정연,백승남,Cho Kyoul Ja,Jung Yun,Paik Seung Nam 한국아동간호학회 200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6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ducational needs and satisfactory about infant care of the moth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fo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0 moth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in Seoul and Bucho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Feb. to March, 2000. The Educational Need and satisfactory for Infant Care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that has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using SPSS PC+ WIN. The results were as fellow; 1)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were high (mean=4.32). 2) The satisfactory of the moth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of educational program of infant care were middle range (mean=3.60). 3) The educational needs of infant care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were higher than satisfactory of the moth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of educational program of infant care(t=7.71 p=.000). 4) The educational need by content was signs, symptoms and management of disorders(i.g. cyanosis, seizure, fever, etc.) were higher than general care of baby(i.g. feeding, diaper change etc.). In conclusion, when the infant caregiver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teaching the method of infant care to mother, there should be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need of mother.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included of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signs, symptoms and management of disorders.

      • SCOPUSKCI등재

        저출생체중아 어머니와 정상신생아 어머니의 간호교육요구도 조사

        조결자,정연,이군자,Cho Kyoul Ja,Yun Jung,Lee Kun Ja 한국아동간호학회 199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3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of LBW infant and normal neonate fo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 mothers of LBW and 60 mothers of normal neonate at 3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Incho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to November, 1996. The Educational Need for Infant Care was measuerd by questionnaire that has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data were anali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non-paired t-test, ANOVA, ANCOVA using SPSS PC/sup +/. The results were as fellow : 1)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of LBW infant were higher than the mothers of normal neonate(F=14.50, P=.000). 2)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of LBW infant and delivery history(nullipara. or multipara. ) and caregiver of postpartum(t:-2.08, P=.045 ; F=3.94, P=.0282). 3)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of normal neonate and numbers of children and caregiver of postpartum(F=5.53, P=.0064 ; F=3.22, P=.0480) .4) The educational need by content was signs, symptomes and management of disorders (i. g. cyanosis, seizure, fever, vomiting etc.) were higher than general care of baby(i. g. feeding, diaper change etc.) at two groups. In conclusion, when the nurses teaching the method of infant care to mother, there sholud be in consideration of delivery history and caregiver of postpartum. Also, its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Included of signs, symptomes and management of disorders.

      • SCOPUSKCI등재

        아동간호학 국가시험문제 보완을 위한 교과목 강의 내용 분석

        조결자,송지호,최명애,신희선,김순애,정현숙,탁영란,Cho Kyoul Ja,Song Ji Ho,Choe Myoung Ae,Shin Hee Sun,Kim Soon Ae,Jung Hyun Sook,Tak Young Ran 한국아동간호학회 1998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4 No.1

        The purpose of nursing education is to prepare the professional pratictioner as nurse who will be interesteed in the health and the related aspects of community and will assume responsibility for con tributing toward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for the all. This means that nursing education must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hich make this possible. Consequently, this approach has relavence for nursing education. Faculty engaged in endless debates about what is to be included, and to what de1th, and what will be given short shrift as a result. Thus, it can be seen why there is so much confusion and lack of agreement between the emphasis and objectives in nursing.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and identify the curriculum content of child nursing in Korea to build and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contents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nurses and child's health needs for the coming 21st centry.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items for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knowledge components and type of unit with weigh to be attained in child nursing. Response of 34% of nursing program in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Content analysis was done by using consensual validation of essential knowledge for curriculum content to identify what is obvious or trivial. This study pointed out that it is not yet apparent that demographic fact has greatly influenced child nursing curriculum content. In a similar vein the majority of content of child nursing devote little time and weigh to social and epidemically significant to child health. It seems to be needed that the content of child nursing may push the paradigm shift in nursing education such as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for potentional roles of child and family. In conclusion, it is the time to convoke and debate for convergence of model on essential content and standarization on job analysis for national board exam for nurses in Korea.

      • KCI등재

        수지침요법이 월경전후기 불편감 완화에 미치는 효과

        조결자 ( Kyoul Ja Cho ),문희자 ( Heui Ja Moon ),박신애 ( Shin Ae Park ),강현숙 ( Hyun Sook Kang ),신혜숙 ( Hae Sook Shin ),정숙자 ( Sook Ja Chung ),이은미 ( Eun Mi Lee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and acupuncture for reduction of dysmenorrhea. 71 femal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April to May 2001, among which 38 students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22 students were the control group by convenient assignmen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hand acupuncture treatment.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to puncture corresponding points(A4, A5, J1, J3, J23, H2, F7) on both the palm and back of a hand with disposable acupuncture needles and to remove needles after 20-30 minutes` recess during which the subjects reposed themselves on b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PC Program and analyzed using χ2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ymptoms of premenstrual syndrome have de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observed between hand-acupunctured group and non-hand acupunctured group. 2. Subjective pain degree has decreased after hand acupuncture. 3. As for objective pain degree, a significant reduction in voice change was observed between two groups. Facial expressional changes and perspiration degree reduced but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ly changes between two groups. 4. Comfort has increased after hand acupunc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nd acupuncture therapy works effectively on easing menstrual pain and symptoms as well as partially on reducing discomfort. It is particularly efficacious for a reduction in subjective pain and facial expressional changes in positive respect. Therefore the hand acupuncture therapy can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dysmenorrhea reduction.

      • KCI등재

        이비인후, 안, 치아 및 피부증상의 민간요법에 관한 고찰

        조결자 ( Kyoul Ja Cho ),강현숙 ( Hyun Sook Ka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199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 No.1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apprehend the con tents and methods of herb remedies that are com monly conducted when there are health problem cas es of ENT, eyes, teeth and skin.

      • KCI등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비교

        조결자 ( Kyoul Ja Cho ),지은선 ( Eun Sun Ji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4 동서간호학연구지 Vol.9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nurse perceives by stud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n 860 students. The survey was performed during May to Jun. 2003. The nurse image was analyzed through the instrument conceived by Il-Sim, Yang(1998) on the basis of four dimensions; traditional, social, professional and personal. The collected data analyzed using SPSS 11.0 with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rse`s imag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p=.000), and the elementary students had more positive image. 2. The nurse`s im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more positiv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traditional(p=.000), social(p=.000), professional(p=.000) and personal dimension(p= .015).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ore of nurse`s image was the highest in personal dimension, followed by traditional, professional and social in order. In middle school students, score of nurse`s image was the highest in personal dimension, followed by professional, traditional and social in order. 3. The difference of nurse`s image no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x, religion,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self),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family), nurses in family by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student had more positive nurse`s image than middle school student in all the aspects. But as they grow old, it changed negative. It is required to develop public information or education fit with student`s age to image making by broadcasting and to improve the image nurses themselves.

      •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아효능감과의관계

        조결자 ( Kyoul Ja Cho ),박순복 ( Soon Bok Park ),이명희 ( Myung Hee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 연변 Y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가족기능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은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변수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볼 때 자신에 대해 갖는 개인의 인지와 감정의 총체를 말하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 혹은긍정적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기존경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개인이 자기 자신에게 내리는 평가를 의미한다. 연구 대상자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은 평균 3.40 (±.31)점으로 나타나 Lee (2006)는 대학생5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체 자아존중감 평균 3.55점보다 다소 낮았다. 그리고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BMI의 경우 23-24.9 (과체중)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가족 수는 4명 이상이 3명 이하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으며, 어머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학습성적이 상위권일수록 자아존중감은 더 높았다.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고, 경제수준이 높고 부모와 동거하는 핵가족 형태의 대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연구 결과(Lee, 2006)와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Kwon & Oh, 2004)는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Park (2000)은 대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대학생활 적응 정도가 높은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학습성적이 상위권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Rosenberg (1985)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청소년들은 불안하고, 우울하며,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고, 그들은 높은 이상을 가지고는 있으나 선택한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재능이 부족한 것으로 자신을 보기 때문에 결코 그들이 원했던 성공이나 더 좋은 직업을 얻으려고하지 않는 반면에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는 청소년들은 자기표현에 대한 능력, 자기확신, 인내, 잠재적인 지도력, 재주, 지능과 숙련도, 좋은 인상을 주는 능력, 사회적인 기술, 실용적인 기술 등의 특성을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가족기능은 Smilkstein (1984)의 family APGAR인 가족의 적응(adaptation), 협력(partnership), 성장(growth), 애정(affection), 융화(resolve)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연구 대상자들이 지각한 가족기능은 평균 2.32 (±.49)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간호학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높았다. 대학생들의 진로문제나 가치갈등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가족관계 문제를 가지고 있다(Jang, 1998)는 보고와 Yang (2001)은8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족개념에 대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가족을 사랑을 나누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으면서 비혈연이라도 애정을 나누는 관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때 대학생들은 가족의 정서적 유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부모, 형제자매의 의사소통 등 상호작용이 원활해지게 되고 가족 간의 소속감과 신뢰감이 높아지게 되면 대학생들은 부모의 기대에 걸맞게 행동하려고 노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Kim (2008)은 만성질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부담감이 적고 삶의 질이 높음을 보고하고 있어 가족기능이 높을 수록가족에게 문제가 있거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경우에 가족 간에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회의 가족기능(APGAR) 점수로 가족기능을 진단할 수는 없는데, 모든 가족은 문제가 더 심각할 때도 있고 또 문제가 해결되어 만족도가 높을 때가 있기 때문에 가족기능은 어느 정도의 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Cho et al., 2005)는 것을 감안할 수 있으며 가족기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자기효능감은 평균 2.93 (±.29)점으로, BMI가 18.6-22.9과체중인 경우와 간호학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경우일수록 자아효능감이 더 높았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할 때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인 동시에 신념이다(Bandura, 1977).Park (2003)은 4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고한 보고와 Chartrand, Camp와 McFadden (1992)은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적응의 예측변수라는 것을 밝히고 있어 본 연구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또한 Zhang과 Richarde (1999)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동기가 높은 사람은 더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고, Shin (2007)은 대학생37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Bandura (1977)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등 네 가지 정보원에 의해발달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여러 경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데, 주로 반복된 과제관련 경험에 의해 점진적으로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동기가 높은 사람은 더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고, Shin (2007)은 대학생37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Bandura (1977)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성취경험,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등 네 가지 정보원에 의해 발달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여러 경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데, 주로 반복된 과제관련 경험에 의해 점진적으로대학생을 대상으로 표본 수를 크게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의 경우 어머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이 높고, 간호학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과 자아효능감이 높음을 볼 때 가족 내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BMI와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과의 관계는 선행연구가 없어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자신의 능력, 중요성 등 자신의 가치성을 평가,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은 인생의 전 단계에서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인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며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To surve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supplemental data useful in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ir adjustment touniversity life.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03 Chi-neseundergraduate studentsin one university in Jilin, Chin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Duncan`s test and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Mean scores were 3.40 for self-esteem, 2.32 for family function, and 2.93 for self-efficacy. The score for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body mass index (BMI), family number, education level of mother, and course of study. The mean score for family func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nursing satisfaction. The mean score for self-efficacy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MI and nursing satisfaction. Positive correlations were evident betwee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Conclusions: To promot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support family function is pru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