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자기지각연령이 낮은 고령 소비자의 만족도와 불평행동과의 관계

        정진철(Jung, JinChul),박지영(Park, Ji-Young),오민정(Oh, Min-Jung)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1 經營經濟 Vol.44 No.2

        연구목적 - 오늘날 고령소비자들은 자신의 실제나이와 자기지각연령간에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와 불평행동을 통해 자신을 젊게 지각하는 고령소비자들의 경우 젊은 소비자들과 비교해서 차이를 보이는지, 아니면 유사한 행동 패턴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고 지방의 시니어 센터를 방문하는 50대 이상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4개월에 걸쳐 258부의 설문이 수거되었다. 주요결과 - 고령소비자들은 자신을 실제나이보다 젊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자기지각연령이 낮은 고령소비자들의 경우 만족도에는 차별적 영향을 보이고 있지 않았지만, 불평행동(무행동, 사적행동, 공적행동) 중 무행동에 있어서는 연령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불평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달리 소극적이지만 불평행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사점 - 오늘날 자신을 젊게 지각하는 고령소비자들의 행동패턴을 통해 마케터들로 하여금 고령소비자들을 타겟으로 마케팅전략을 구사할 때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of aged consumers, which has been conceived as important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similar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the aged consumer whom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less aged and young consumers.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the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to appeal the aged consumes. Design/Methodology - 258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dents whome visit the senior center in metropolitan area during June through October, 2011. Findings - Empirical finding suggests that aged consumers perceived as lower than actual age. Furthermore, these aged consumers of which they were perceived less aged did not show the relationship with the satisfaction of general aged consumesrs, and also it is empirically show that non responding behavior is more prevaied that the private- and public complaint behavior. Implications - The importance of strategic marketing targeting the aged consumers are emphasized and it is suppose to connect into the promotion and advertising strategy.

      • KCI등재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진로체험기관 인증지표 개발

        정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이현민(Hyunmin Lee),정성지(Seongji Jeong),이영광(Yeonggw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자유학년제・연계학기 확대와 관련하여 다양한 진로체험처가 참여하는 풍토에서 안전과 질이 보장된 진로탐색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의 인증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진로체험기 관 인증제 지표 개발을 위해 델파이와 AHP를 실시하였으며, 델파이는 진로교육 연구자 3인, 진로전담교사 3인,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 3인 등 총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1월 8일~12월 28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체험기 관 인증지표를 개발하고 각 항목별로 배점을 확정하였다. 두 차례의 델파이를 통하여 지표는 크게 ‘1. 체험기관’, ‘2. 프로그램’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1. 체험기관’의 경우, ‘가. 체험기관 역량’, ‘나. 체험환경 관리’, ‘다. 체험기관 특별기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2. 프로그램’의 경우, ‘가. 프로그램 기획’, ‘나. 프로그램 운영’,‘다. 프로그램 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the career experience agencies’ accredit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of safe and qualified learning environment with more career experience agencies engaged. Delphi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questions. Each of three researchers, career specialist teachers and staffs from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 participated as expert pane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8th Nov and 28th Dec in total. In result,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were developed and the mark distribution for each category was confirmed.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consists of ‘1). career experience agencies’ and ‘2) programs.’ In case of ‘1)career experience agencies’,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career experience agency capacity’ and ‘b. career experience environment management and ’c. special criteria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In case of ‘2) programs’, the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program planning , ‘b. program operation . ‘c. program evaluation .

      • KCI등재

        DACUM 방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정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임소현(Sohyun, Im),정성지(Seongji, Jeong),조홍용(Hongyou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진로교육 목표를 분석하고 진로전담교사 직무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DACUM 직무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을 도출하고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DACUM 직무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분석가, 9명의 데이컴 위원(내용 전문가), 3명의 서기, 2명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여 2017년 7월 25일에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학생들이 행복한 삶을 사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진로개발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 운영 및 평가를 총괄하고 교사의 진로교육을 지원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8개의 책무(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기획), 진로교육(단위) 프로그램 구안, 진로교육 정보지원, 진로심리검사 실시, 진로상담 지원, 진로체험 운영, 교사/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강화, 진로교육과정 운영 결과 평가 및 환류)를 도출하였으며 각 책무 별 과업은 총 48개로 분석되었다. 셋째,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핵심 과업으로 20개가 도출되었다. 넷째, 초등 진로전담교사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제시하였으며, 9개의 지식과 15개의 기술이 도출되었고, 갖추어 야 할 바람직한 태도로는 12개의 태도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by applying the DACUM task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reer education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ormer research related to career teacher. Based on the analysis of DACUM tasks, we have drawn out the duties and tasks of our career teacher and weighed down the importance of each task. For the DACUM job analysis, we organized one task analyst, nine subject matter expert, three staff members, and two practitioners and hold a DACUM workshop on the 25th of July,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fining the job of an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as ‘to develop basic career development skills necessary for a happy lif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is responsible for organizing, operating, and evaluating school career education courses and supporting the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Second, there are eight duties (organizing/planning schoo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career education (unit) program design, career education information support, operat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career counseling support, career experience management, strengthening teacher/parent career education competency, evaluation and feedback of career course operation results) and the total number of tasks according to eight duties is 48.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each task, 20 core tasks were derived. Fourth, the opinions about the gener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s were collected and presented. Therefore, nine knowledge and fifteen technologies were derived, also a desirable attitude was derived from the recommended attitude.

      • KCI등재

        호주 TEQSA와 홍콩 HKCAAVQ의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 사례분석

        김정희(Kim, Jung-Hee),정진철(Jeong, Jinchul),이현민(Lee, Hyunm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호주와 홍콩은 국가자격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 국가로 다양한 고등교육기관과 고등교육수준 프로그램에 대한 질 관리와 인증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홍콩의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평가인증체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s(2005)의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호주의 고등교육질관리기구(TEQSA)와 홍콩의 학술 및 직업자격평가 심사국(HKCAAVQ) 사례를 분석하였다. 호주와 홍콩의 고등교육기관 질 평가 보증은 공통적으로 ‘인증(accreditation)’ 을 강조하고, 아울러 고등교육 수준의 자격, 학위, 교육프로그램의 질 인증을 위해 별도의 평가기관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해당 기관에서 인증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호주와 홍콩의 사례를 살펴보았듯이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학제 및 자격체제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고등교육기관 평가기준을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있지만, 국가 간 고등교육 인적 자원 을 교류하는 차원에서 국제적인 통용성을 고려하여 고등교육 질 관리 기준을 참고하여 고등교육기관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Qualitative management and certific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programs are important in Australia and Hong Ko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e accreditation in Australia and Hong Ko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omestic evaluation accredit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of Kis(2005), which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s in Tertiary Education Quality and Standards Agency(TEQSA) and Hong Kong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Qualifications(HKCAAVQ). The quality assurance approach in Australia and Hong Kong is common as ‘accreditation’ and focuses on other evaluation methods, evaluation data, nature of the report, evaluation purpose, evaluation result, and follow-up evaluation. Australia and Hong Kong had separate evaluation agencies for accreditation of higher education qualifications, degrees, and educational programs, and were performing accreditation at the independent institutions. Australia and Hong Kong do not agree with the evaluation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ause of different academic system and qualifications system from Kore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consider international interchange in terms of exchanging higher education human resources between countries.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ith reference to higher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도움 행동 관계에 대한 윤리경영 인사제도의 조절효과

        문현(Moon Hyun),정진철(Jinchul Jung),오민정(MinJung Oh) 한국비영리학회 2013 한국비영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종사자가 지각하는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의 윤리적 HR 제도가 구성원의 도움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론적 설명과 함께 실증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사회복지기관은 소명의식을 강조하고 구성원들의 상호호혜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들의 이타적인 행동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서번트리더십을 필요로 하며 또한 이러한 관계성은 조직의 윤리적 HR 제도와 상호작용할 때 강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가설되었다. 하지만 비영리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독립적으로 도움행동에 영향 미치지만, 윤리적 HR 제도와 동시에 회귀시키는 경우 그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으며 또한 서번트 리더십과 윤리적 HR 제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도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번트 리더십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력도 중요하지만 윤리적 HR 제도도 중요함을 알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실무적이고 이론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on the helping behavi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and ethical HR practice on the helping behavior in sampl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research, this research propose the empirical research model and surveyed into the employee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200 data were collect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oposed variables. This empirical research found the significant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helping behavior, and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and ethical HR practices on the helping behavior. From the evidence of this research, it is strongly suggested the necessity of servant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leaders to prevent the possible misconduc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to maximize the organization's core value.

      • KCI등재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최정윤(Jeung-Yun Choi),정진철(Jinchul Jeong),이정미(Jung-Mi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1

        대학의 기능 수행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되어 대학의 질 제고와 대학의 질 평가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의 질 개념을 정립하고, 정립된 질 개념에 터하여 대학의 질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종합적인 문헌분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목표/목적 달성, 고객요구충족, 가치부가 측면을 강조한 투입-과정-산출 체제로서의 대학의 질 개념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대학의 질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주요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관인증평가, 대학순위평가, 학생설문조사, 학습성과평가 등 4가지 유형의 질적 수준 분석 도구에 포함된 지표들(6개국 13개 평가도구)을 분석한 뒤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초안을 마련하였고, 전문가 검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최종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은 투입-과정-산출 차원에서 기관목표, 인적자원, 물적자원, 교육과정, 학습활동, 교육산출, 연구산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지표가 대학의 질 제고를 유도하는 순기능 역할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conceptual scheme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and to develop a set of structured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approaches in foreign countries. Reviewing extensive literatures regard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 conceptual scheme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in which three representative approaches such as a goal-accomplishment approach, a customer-satisfaction approach, and a value-added approach were emphasized, was proposed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was defined as a function of harmonization of input-process-output elements of universities. To develop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four types of approaches including university accreditation system, commercially- producted university ranking system, college student survey, and direct assessment of students' learning outcomes were reviewed. Finally thirteen sets of evaluation indicators out of six countr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analyses focused on the format, the content, and the primary concept of the quality in each instrument and a draft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structured. The draft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verified through a panel of professionals. The final indicators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consist of three dimensions and seven areas. The input dimension comprised institutional goals,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resources. In the process dimension, curriculum and learning process areas were included. And, finally, the output dimension consists of educational outputs and research outputs.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and utiliz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 KCI등재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정철영(Chul-Young Jung),정진철(Jinchul Jeong),이종범(Jongbum Lee),정동열(Dongyul Jeong),임효신(Hyoshin Lim),이서정(Seojung Lee),임정훈(Junghoon L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은 「① 진로교육 환경 및 정책 분석, ② 우리나라 초·중등 단계진로교육 실태 분석, ③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으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종합·분석, 전문가 검토를 거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진로교육 환경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회 환경 변화의 영역별로 직업세계와 고용·취업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진로교육 정책변화의 흐름과 국외 진로교육 정책 추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 · 중등 단계 진로교육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교육의 제도적 기반(담당인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주요 운영 방식(정규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진로심리검사 및 진로상담, 진로체험, 대상별진로교육 프로그램),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향과 세부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의 영역은 크게 4개 영역 「① 제도적 지원 장치 마련, ②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 지원 강화, ③ 학교-현장 연계 진로교육 활성화, ④ 진로교육 내실화 관리 지원」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세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We diagnosed the conditions of current career education systems in South Korea to reconstruct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curriculum initiatives. We reviewed literatures of ① environment and policies of career education, ② K-12 career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③ strategies of Korean career education with following comprehensive analysis and SME review. First, to identify existing career education system, we approached through the multiple layers of social environment which are occupations and employment related settings as well as the flow of Korean career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compared with foreign policy trends. Second, we structured the pros and cons of career education at K-12 school as policies (human resources and modules), programmes (career education in course, career inventory and counseling, heuristic method, and customized program) and career education evalu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and policies on career education and its details are ① to creat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career education, ② to emphasize the customized career education, ③ to activate school-work integration on career education, and ④ to facilitate the career education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