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순신 정론Ⅳ : 거북선 구조, 철갑문제

        정진술(Jeong Jin 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7

        거북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아직도 학자들 간에 그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몇가지 사항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로 여러가지 이견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접근하기 위하여 이해의 출발점으로 거북선의 인원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16세기 임란 당시 거북선의 승조원은 이순신과 나대용의 장계에 의해서 125~130명으로 알려졌다. 임란 당시 거북선의 승조원 직무는 명확히 나와 있지 않지만 이순신의 장계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승조원의 직무에는 사부(射夫), 격군(格軍), 방포장(放炮匠)이 있었으며, 이들 세 직무는 임란기 거북선의 구조 해석에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17세기에는 조총의 도입에 따라 포수 직무가 추가되고, 18세기에 이르면 거북선 승조원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정원은 148명으로 책정되었다. 또한 임란 때의 방포장 명칭이 화포장으로, 격군의 명칭이 노군으로 변화되었다. 이들 네 직무 즉 사부, 화포장(방포장), 포수, 노군(격군)은 조선 후기 거북선의 구조 해석에 중요한 고려 요소이다. 거북선의 승조원 명칭에 나타나는 무상(舞上, 無上)이 지금까지 범주(帆柱) 위에서 작업하는 사람 등으로 다양하게 주장되어 왔으나, 필자는 통영에서 발견된 조선 후기 수군문서와 임수간(任守幹)의 『동사일기(東槎日記)』 에 나타나는 통신사선의 선원 명칭을 분석하여 ‘무상’의 우리말 뜻이 ‘물래를 작동하는 선원’의 명칭이며, 조선시대의 군선에서는 대개 닻만을 다루는 정수(碇手)와는 별도로 선수에서 닻물래를 다루는 선원을 일컬었음을 밝혔다. 두 번째로 임란기 거북선의 포 설치 위치가 2층인가 3층인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거북선이 2층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보는 이들은 2층에, 3층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보는 이들은 3층에 포가 설치되었다고 보는데, 어느 주장이 올바른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이것을 밝히기 위하여 임진년 해전에서 거북선의 사상자 통계를 조사하였는데, 격군의 사상자가 23명인데 반하여 사부는 부상자 1명에 불과하였다. 이것은 명백히 방패로 보호된 2층에서 활동하는 거북선의 격군들이 적의 탄환 및 화살에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은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격군들의 이러한 피해는 그 원인이 방패에 뚫린 포 구멍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임란기 거북선은 격군의 노질 공간과 화포의 발사 공간이 동일한 2층에 위치하였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사부와 격군의 피해 정도가 현저하게 다른 것으로 보아 그들의 활동 공간도 서로 달랐으며, 2층에 위치한 격군과는 달리 사부는 3층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1795년에 발행된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통제영 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의 포 구멍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하겠다. 참고로 조선 후기의 판옥선 즉 『각선도본(各船圖本)』 의 전선도에는 2층 방패에 포혈이 나타나 있지 않다. 판옥선의 방패에 포혈의 유무는 화포의 발사 위치가 2층인가 3층인가 하는 의문을 일으킨다. 그런데 1633년에 경기 수사 최진립이 작성한 해유문서와 1778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풍천유향(風泉遺響)』 에는 포판과 상포판에서 모두 대포를 발사하였다고 했다. 또한 조선 후기에 그려진 수군조련도에도 판옥선의 2층 방패에 포혈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판옥선의 포혈이 2층 방패와 3층 여장에 설치되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임란이 끝난 후 조총의 사용이 보편화되므로서 판옥선에는 포를 다루는 화포장 외에 조총을 다루는 포수가 새롭게 편성되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판옥선의 2층 포혈은 화포를, 3층 포혈은 조총을 발사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었을가 추정된다. 세 번째는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거북선 그림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관해서이다. 오늘날 거북선에 관한 논란은 상당 부분이 그 그림에 대한 해석이 잘못된데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 거북선 그림들에는 2층 방패와 3층 개판에 포혈이 각각 배열되어 있으므로 그것은 3층 구조가 확실하다. 그런데 귀선도설의 거북선이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2층은 물론이거니와 3층도 전통(全通) 갑판이라면, 2층의 높이가 4. 3자(약 129cm)라는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기록은 이해될 수 없다. 동양식 노는 노군들이 서서 노질을 해야 하며, 조선 말기에 남자들의 평균 신장 실측치 163.8cm를 고려해 볼 때, 4. 3자 높이에서는 노군들이 자유롭게 노질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어려움 때문에 필자는 귀선도설 거북선의 3층 갑판이 전통 갑판으로 되어 있지 않고 노군들이 노질을 하는 머리 위 부분은 갑판이 비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네 번째는 거북선의 철갑 유무에 관한 문제이다. 거북선이 철갑선이었다고 주장하는 편의 주요 근거는 안골포 해전을 기록한 일본측 문헌인 『고려선전기(高麗船戰記)』 에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urtle Ship, I have reviewed several issues about it, which were controversial among historians and researchers. First of all, I took the personnel system of the Turtle ship as the starting point. It is known that there were 125 to 130 crew members of the Turtle Ship in those days of the Im-jin-wae-ran (壬辰倭亂) which was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upon Korea during 1592-1598. It was not clearly mentioned about the duties of all the crew positions of the Turtle Ship, bu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report written by Admiral Yi Sun Sin, there were three main positions which are important to understand its structure at the time. They are arrow-shooters who were called ‘Sa-bu(射夫)’, rowers who were called ‘Gyeok-gun(格軍)’ and gunners who were called ‘Bang-po-jang(放炮匠)’. In the 17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matchlocks created new shooters who were called ‘Po-su(砲手)’to the Turtle Ship, so the total number of crew members reached 148 in the 18th century. Therefore these four positions, ‘Sa-bu’, ‘Gyeok-gun’, ‘Bang-po-jang’ and ‘Po-su’, are important in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the Turtle Ship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diverse opinions regarding the job ‘Mu-sang(舞上 or 無上)’, mentioned in the personnel system, including a claim that it could mean the one working on the ship mast, but I found that it was named for the crew running a spinning wheel by collating and analyzing the naval documents written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Mu-sang’ was the crew that played a spinning wheel to weigh or drop anchor on the bow, unlike the job ‘Jeong-su(碇手)’, generally handling only the anchor in the battleship at the time. Secondly, I looked into the location of the cannons in the Turtle Ship used during the Im-jin-wae-ran. Some historians insisted that the Turtle Ship had been built two stories and fired its cannons placed on the second floor but others believing three-story Turtle Ship claimed that cannons had been installed on the third floor. Checking into the statistics of casualties of the Turtle Ship during the Im-jin-wae-ran in order to clar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cannons, it is found that while twenty-three ‘Gyeok-guns’ were killed and wounded, the total casualty of ‘Sa-bu’ was only one. It definitely shows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Gyeok-guns’ were damaged from gunshots and arrows even though they stayed on the second floor which were covered with the board wall. It is assumed that the damage was caused by the cannon crenels on the board wall. Therefore, both where ‘Gyeok-gun’ rowed out and cannons went off are considered to be locat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Turtle Ship. From the noticeable difference on the extent of the damage between ‘Sa-bu’ and ‘Gyeok-gun’, it is presumed that the working spaces for ‘Sa-bu’ and ‘Gyeok-gun’ are different: the third floor for ‘Sa-bu’ and the second floor for ‘Gyeok-gun’. It also means that the locations of the cannon crenels of the Turtle Ship during the Im-jin-wae-ran are identical according to the Gui-seon-do-seol(龜船圖說) of the Yi-chung-mu-gong-jeon-seo (李忠武公全書) written in 1795, which included pictures of both the Tong-je-yeong Turtle Ship(統制營龜船) and the Jeolla-jwa- su-yeong Turtle Ship(全羅左水營龜船). The third issue is about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drawing of the Turtle Ship found in the Gui-seon-do-seol of the Yi-chung-mu-gong-jeon-seo. I think that many of controversies about the Turtle Ship are derived from the misinterpretation of this drawing. Based on it, it is obvious that Turtle Ships found in the Gui-seon-do-seol have three stories as there are crenels on its board walls of the second floor and third floor. If it is a three-story Turtle Ship and both second and third floors are perfect decks, however, it is not convincing at all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floor is 4.3 feet(about 129cm) mentioned in t

      • 임진왜란 시기 거북선의 기능과 주요 해전

        정진술(Jeong, Jin-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4

        거북선은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1592년에 창제한 장갑함이다. 임진왜란 시기 그 거북선의 기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거북선은 함대의 선두에서 돌격선 기능을 수행하였다. 거북선 선장은 돌격장(突擊將)으로 전투편성 되었다. 둘째, 거북선은 함포 공격 기능을 수행하였다. 거북선은 대형 함포인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을 탑재하였다. 이들 총통은 통나무로 만들어진 대형 화살인 대장군전이나 장군 전 또는 탄환 수십발을 발사하였다. 셋째, 거북선은 목재 운반 기능을 수행하였다. 임진왜란 시기 거북선이 참전한 주요 해전은 사천 해전, 당포 해전, 당항포 해전, 한산도 해전, 부산포 해전이었다. 사천 해전은 거북선이 최초로 참전한 해전으로서, 적어도 2척의 거북선이 참전하였다. 이 해전에서 거북선은 조선 함대의 선봉선이 되어 함포 공격으로 일본 함대의 예봉을 꺾었다. 당포 해전과 당항포 해전에서 거북선은 일본 함대의 대장선을 집중하여 공격하였다. 그럼으로써 일본 함대의 지휘체계를 무너뜨리고 조선 함대의 승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한산도해전에서 거북선은 학익진의 좌・우 익단에 배치되어 적 함대를 포위 공격하였다. 그 해전에 참전한 거북선의 척수는 3척이었다. 부산포 해전에서 거북선은 종열진의 선두에서 진격하여 일본 함대의 예봉을 꺾고 승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거북선은 임진왜란 해전에서 함포 공격으로 일본 함대의 장기(長技)인 등선백병전을 무력화시켰다. The Turtle Ship was a armored ship and created by Admiral Yi Sun-sin in 1592, it is as follows that the results of the Turtle Ship s function researched; First, the Turtle Ship carried out the function of an assault boat at the front of the Yi Sun-sin fleet. Second, the Turtle Ship carried out the function of the attack by the various naval gun. She mounted Cheonja-chongtong, Jija-chongtong, Hyunja-chongtong, Hwangja-chongtong as large sized guns at that time. These chongtong guns fired a big arrow made of a log or bullets. Third, the Turtle Ship carried out the function of a lumber carrier. Next to, the Turtle Ship participated in several naval battles, for example, Sacheon, Dangpo, Danghangpo, Hansando, Busanp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battle of the Sacheon was the first war of the Turtle Ship, At least two Turtle Ships took part in that engagement. The Turtle Ships broke the brunt of the Japanese fleet in the battle. In the Dangpo and Danghangpo battles the Turtle Ships attacked the flagship of the Japanese fleet. Therefore the Turtle Ships succeed in breaking through the enemy’s chain of command and contributed largely toward victory of Joseon fleet. In the Hansando battle three Turtle Ships placed on the end of right and left of the eagle formation, so surrounded and attacked the enemy fleet. In the Busanpo battle the Turtle Ships advanced at the forefront of a column and broke the brunt of the Japanese fleet, so contributed largely toward victory of Joseon fleet. The Turtle Ships neutralized their specialty of the hand-to-hand fighting of Japanese naval ships by bombardment from naval gun.

      • KCI등재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정진아(Jin-a Jeong),정주향기(EstherJuhyangi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이 연구는 장애·비장애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을 세 차례 진행하고 질적 사례연구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초등학교에서 1차 등굣길 버스킹은 2023년 5월 7일~6월 5일까지, 2차 광장 버스킹과 3차 기관 버스킹은 10월 13일~12월 6일까지 주중 두 번으로 나눠서 2시간씩 연습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주요연구참여자 10명, 버스킹을 관람한 청중들과 학부모를 포함한 보조참여자 14명으로 총 24명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 ‘찾아가는 버스킹’을 통한 학생들의 경험 및 변화, 그리고 청중들의 변화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접근하고 있다. 자료수집은 25회기 동안 ‘찾아가는 버스킹’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심층면담을 주로 사용하였고, 참여관찰을 보조자료로 사용하였다. 질적연구의 진실성과 타탕도를 위하여 연구자간의 검토, 삼각 검증법, 전문가 회의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희망의 불씨가 되어’에서 음악으로 소통하는 등굣길 쉼터는 학생들에게 설레고 기대되는 공연이었고 결국 버스킹이 끝난 후에도 그 여운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것이 발판이 되어 앙코르 버스킹이 광장과 기관에서 열리게 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그 안에 숨겨진 보물찾기에서 너‘’와 ‘나’의 불협화음으로 인하여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갈등과 학부모와 학교의 부정적인 반응으로 총체적 난국이었다. 우리‘’라는 숨겨진 보석을 찾아내다에서 다름‘’을 넘어 고‘유성 은 ’장애·비장애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숨은 잠재력을 발산하는 동기부여가 되었다. 그리고 배움이 가슴으로 융화되는 통합교육은 선입견을 깨고 ‘우리’라는 정체성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양함’안에서 발견한 ‘고유성’은 비장애학생들 간의 관계 회복 및 친밀감 형성에도 도움이 되었고, 자신을 바라보는 생각이 확장되면서 자존감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셋째. ‘찾아가는 버스킹’으로 쓰는 편지에서 ‘퓨전 합창단과 ’청중 이‘ 함께 빚는 우리‘’라는 하모니는 음악적인 교감과 공감을 통해 모두 선순환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손의 언어 수어()로 음악의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음악은 언어보다 강력한 소통과 공감의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으로 통합을 이룬 나눔의 선순환 실현은 학생들, 학부모, 청중들 모두 ‘우리’가 되어 장벽없이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었다. 새로운 도약에서 학생들과 학부모 그리고 청중들은 음악 세계에서 우리가 품은 가능성에 날개를 다는 도전의 기회가 되었다. 교육자, 그 존재의 이유를 보면 버스킹을 진행하면서 힘들었던 과정들이 긍정적으로 바뀌며 모두에게 값진 경험이 되었고, 선생님과 학생의 관계에서 스승과 제자의 관계로 변화는 새로운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결론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은 음악으로 통합을 이룬 나눔의 선순환 실현을 통해 학생들, 학부모, 청중들 모두 음악 세계에서 우리가 품은 가능성의 날개를 다는 도전의 기회가 되었다. 최근들어 느린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통합음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통합음악교육의 실행에 대한 근거 및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perform ‘Busking Outreach’ for the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three times and examine the results i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choir practiced two hours a week for the first busking on the way to ?? Elementary School from May 7 to June 5, 2023, the second at the plaza, and the third at an institute from October 13 to December 6, 2023. Fourteen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ten major and subsidiary participants comprising the audience and parents. The experiences and changes in students and the audience were examined using specific cases in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the ‘Busking Outreach’.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hile practicing the ‘Busking Outreach’ through 25 session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were used as subsidiary data. For the fidelity and validity of the qualitative study, peer review, triangulation, and expert meetings were used. Results First, at the ‘Becoming the Embers of Hope,’ a resting place on the way to school, was a performance stu-dents anticipated, and its effect lingered even after the busking. Encouraged by the first busking, encore busking was held at the plaza and an institute. Second, the Hunt for Treasure Hidden in the Integrated Education was a total disaster due to the disharmony between ‘You’ and ‘I,’ the conflict between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and the negative responses from parents and the school. At the Hunt for Hidden Jewels, ‘Us,’ the idea of ‘difference’ was incorporated into the study, and ‘Uniqueness ’ became a motive to display the hidden potentials of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At the Integrated Education to Harmonize Learning into Heart, students broke preconceptions and created a harmonious atmosphere unlike before. The ‘uniqueness’ found in ‘diversity’ helped rebuild the relationship and form friendliness between students without handicaps and became a chance to increase self-esteem by expanding their view of themselves. Third. Writing a Letter through the ‘Busking Outreach,’ the harmony, ‘created by the Fusion Choir and the ‘audience,’ resulted in a virtuous cycle through musical communion and empathy. By delivering the message of music with the language of hands (sign language), it is con-firmed that music can become a stronger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empathy than language. The realization of the virtuous cycle of sharing achieved through music lets everyone, including students, parents, and the audience, become’ and enjoy culture and art, bringing more-than-expected outcomes. The New Leap gave a chance to chal-lenge students, parents, and the audience to give wings to their potential in the world of music. At the Educators, the Reason for Their Existence, the difficulties felt while performing busking had positive turns and became a val-uable experience for all, changing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o the master-apprentice relationship. Conclusions The Busking Outreach for the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without handicaps and slow learners became a chance to make challenges, which gave wings of potential to students, parents, and the audience in the world of music by realizing the virtuous cycle of sharing that achieved integration through music.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re were no previous studies on integrated music education, and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on slow learners recently. This study is deemed to become a base for and play a role in implementing integrated music education.

      • 이순신 백의종군로의 고증

        정진술(Jeong Jin-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7

        이순신 백의종군로는 서울 의금부에서 경상도 초계까지 이어지는 긴 노정이었다. 여기서는 편의상 익산 여산에서 남원 운봉까지의 노정만 다루었다. 이 노정은 백의종군 당시의 원형 거리가 108.6㎞ 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된 도로 여건으로 인한 대체로는 원형거리보다 약간 더 먼 114㎞이다. 이순신이 이동한 노정을 오늘날 지명 순서대로 살펴보면, 익산시 여산 동헌, 탄현, 통정, 완주우체국, 전주연탄, 풍남문, 안적교 삼거리, 상관교, 슬치리, 임실휴게소, 말치, 금암교, 사매교차로, 오성휴게소, 폐문교, 이백초등학교, 연재, 남원시 운봉읍 운봉초등학교에 이르는 노선이다. 익산시 여산 동헌부터 남원시 운봉읍 운봉초등학교에 이르는 백의종군로 전 노정은 조선시대 통영대로와 대부분 일치한다. Yi Sun Sin Baekeuijonggun-ro(白衣從軍路) was a long journey from Uigeumbu(義禁府), Seoul to Chogye-gun, Gyeongsang-do. This just handled the journey From Yeosan-gun to Unbong-hyeon for convenience’sake. It was the original distance was 108.6㎞ in his Baekeuijonggun. However, today, it is generally 114㎞ which is a little bit fart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distance due to the changed road conditions. If the journey that Yi Sun Sin moved is examined in order of today’s place names, the route is as follow : Yeosan-dongheon at Yeosan-myeon in Iksan-si, Tanhyeon Ridgeway, Tongjeong, Wanju Post Office, Pungnammun of the South Gate of Jeonju, Anjeogkyo samgeori, Sanggwan Bridge, Seulchi-ri, Imsil Resting Place, Malchi Ridgeway, Geuam Bridge, Samae Crossroad, Oseong Resting Place, Pyemun Bridge, Ibaeg Elementary School, Yeonjae Ridgeway, Unbong Elementary School at Unbong-eub in Namwon-si. Baekeuijonggun-ro From Yeosan-dongheon at Yeosan-myeon in Iksan-si to Unbong Elementary School at Unbong-eub in Namwon-si mostly accords with Tongyeongdaero(統營大路) the late of Joseon Dynasty.

      • ADAS Fail-Safe를 위한 센서 검출 오류 발생시 전방 차량 트랙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진한(Jin Han Jeong),송영훈(Song Young Hoon),김우영(Woo Young Kim),박장현(Jahng Hyon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9 No.5

        Ada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ADAS) use a variety of sensors as their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Errors from each sensor cause fatal malfunctions in the entire system. Therefore a multi-sensor Fail-Safe algorithm f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ADAS) has been considered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ensor track management system which diagnoses failure time of either Radar or Camera that lead to a fatal malfunction under the ADAS application performing. The system operates multi-sensor fusion with forward radars and a monocular camera under the supervision of Track Management System. The main purpose in this research lies in the field of track loss from vehicle detection fault. We have tested several simulation tests for analysis on the vehicle detection fault of time for ADAS Fail-Safe and three important tests of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erception module among the entire ADAS system has an important role and should keep on diagnosing the sensor fail to hand it over to the next decision and control.

      • KCI등재후보

        백서 심근에서 plasmid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 및 VEGF 유전자 발현의 특성

        정진옥 ( Jin Ok Jeong ),박선진 ( Sun Jin Park ),허정은 ( Jeong Eun Huh ),정은아 ( Eun Ah Jung ),오주현 ( Ju Hyeon Oh ),권현철 ( Hyeon Cheol Gwon ),이영주 ( Young Joo Lee ),김선영 ( Sun Young Kim ),박정의 ( Jeong Euy Park ),이원로 대한내과학회 2001 대한내과학회지 Vol.60 No.1

        N/A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ene expression among newly designed eukaryotic expression vectors, and to characterize the patter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expression using the most potent plasmids DNA vector. Methods : After exposure of a beating rat heart (Sprague-Dawley, 250-300g), 5 different types of plasmid DNA was injected directly into the myocardium. Reporter protein was analyzed by ELISA in the extracted heart. Results : The vector harboring cytomegalovirus (CMV) promoter and enhancer induced the strongest expression of reporter gene (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 CAT) compared to those of pC3.1, pEF1a, RSV, pActin in the rat heart via direct injection of plasmid DNA into the apex (p<0.001). Using pCN-CAT, gene expression showed a dose-dependent response over a range of 0.3-10 ㎍. CAT expression could be detected up to 30 days after 10 ㎍ of pCN-CAT injection with the maximal expression on day 5. In X-gal staining of injected pCN-lacZ gene, β-galactosidase was found only around the needle track in the apex. The expressed hVEGF121 had biologic activity with vascular permeability assay (Miles assay) in guinea pigs. After injection of pCN-hVEGF121 into the apex of the rat heart, the expression of VEGF protein was dose-dependent over the range of 25 and 500 ㎍. VEGF expression was detected up to 14 days with its peak on day 2 after injection of 250 ㎍ of pCN-hVEGF121. When plasmid was injected into the apex of the rat heart, the expression of VEGF in the heart showed concentration gradient from the apex to the base. However, the expression of CAT was detected only in the apex. Conclusion : Plasmids vector with hCMV IE promoter/enhancer will provide clear advantages over other previously developed plasmids an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behaviors of VEGF expression may be useful in angiogenic gene therapy of the heart.(Korean J Med 60:3-15, 2001)

      • KCI등재

        주름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과 Cog형 봉합사의 피부 주름 개선 검증에 관한 연구

        정진형(Jin-Hyoung Jeong),이상식(Sang-Sik Lee)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4

        고령화 사회의 진입과 더불어 인가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현대사회의 남성 및 여성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가장 외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얼굴의 주름이다. 이에 남녀를 불문하고 깨끗하고 주름이 없으면서 탄력성이 있는 건강한 피부를 갖기 위하여 사람들은 각종 시술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시술 중 하나의 방법으로 리프팅 시술 방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는데, 녹는실을 이용한 봉합사는 피하지방층에 주입하여 피부 속에 실을 고정할 수 있는 부위를 중심으로 비절개 형식으로서 피부 속으로 걸어 당겨주어서 리프팅을 시키는 방법이다. 이에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Cog형 봉합사의 리프팅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임상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Labview를 이용하여 주름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전임상 실험의 데이터는 봉합사 시술 후 8주째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의 시술 전 개체들이 평균 주름의 깊이는 4.15mm이었고, 8주가 지난 시점 대조군의 노화 진행으로 인하여 8.88mm로 주름의 깊이가 깊어졌다. 반면 봉합사 시술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술 전 주름의 깊이는 6.4mm이었고, 봉합사 시술 후 8주차에는 주름의 깊이가 5.66mm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the entry of an aging society, the average life span of accreditation has been extended. Therefore, interest in the appearance of men and women in modern society has increased. It is the wrinkles of the face that can judge the most outwardly. People tend to have various kinds of treatments to have a clean, wrinkle-free and resilient healthy skin regardless of sex. There is a lot of practice of lifting procedures in one of the procedures. A suture using a melting thread is a method of lifting by squeezing it into the skin as a non-incision type centering on a region where the thread can be fixed in the skin by injecting it into the subcutaneous fat layer. To evaluate the lifting efficacy of Cog - type suture for the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preclin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We developed a wrinkle evaluation program using Labview. Data from preclinical experiments were used at 8 weeks after suturing. The average wrinkle depth was 415.6 mm in the control group. At 8 weeks, the depth of wrinkles was deepened to 888.3mm due to the aging process of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depth of the wrinkles before surgery was 640.3 mm in the sutur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depth of wrinkles decreased to 566.5mm at 8th week after the suture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