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hibition of NF-κB prevents high glucose-induced proliferation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expression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정인경,Da Hee Oh,Seung-Joon Park,Ja-Heon Kang,Sunshin Kim,Myung-Shik Lee,Myung-Jun Kim,Yoo-Chul Hwang,Kyu Jeong Ahn,Ho-Yeon Chung,Min-Kyung Chae,유형준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1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3 No.12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clearly showed that early intensive glucose control has a legacy effect for preventing diabetic macrovascular complications. However, the cellular and molecular processes by which high glucose leads to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re poorly understood.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dysfunction due to high glucose is a characteristic of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s. Activation of nuclear factor-κB (NF-κB) may play a key role in the regulation of inflammation and proliferation of VSMCs. We examined whether VSMC proliferation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expression induced by high glucose were mediated by NF-κB activation. Also, we determined whether selective inhibition of NF-κB would inhibit proliferation and PAI-1 expression in VSMCs. VSMCs of the aorta of male SD rat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lucose (5.6,11.1, 16.7, and 22.2 mM) with or without an inhibitor of NF-κB or expression of a recombinant adenovirus vector encoding an IκB-α mutant (Ad-IκBαM). VSMC proliferation was examined using an MTT assay. PAI-1 expression was assayed by real-time PCR and PAI-1 protein in the media was measured by ELISA. NF-κB activatio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NF-κB reporter assay, and immunoblotting. We found that glucose stimulated VSMC proliferation and PAI-1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up to 22.2 mM. High glucose (22.2 mM) alone induced an increase in NF-κB activity. Treatment with inhibitors of NF-κB such as MG132, PDTC or expression of Ad-IκB-αM in VSMCs prevented VSMC proliferation and PAI-1 expression induced by high glucose. In conclusion,inhibition of NF-κB activity prevented high glucose-induced VSMC proliferation and PAI-1expression.

      • KCI등재

        1970-1990년대 미국 여성건강운동의 전개를 통해서 본 전문지식권력과 시민권의 정치

        정인경(Chung, In-Kyoung)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2

        본 연구는 1960년대 말 2세대 페미니즘의 부상과 더불어 광범위하게 전개된 미국 여성건강운동의 주요 요구와 실천을 역사적으로 검토한다. 여성의 육체에 대한 자기 통제의 원칙을 바탕으로 성적 자유와 재생산의 권리를 요구한 초기 여성건강운동은 기존 보건의료 지식과 관행에 내재한 성차별주의를 비판하면서 풀뿌리 행동주의에 기초한 대안적인 지식 및 실천을 발전시킨다. 그러나 1980년대 보수주의적 반격이 거세지면서 운동의 급진주의적 조류는 약화되는 한편 자유주의적 의제를 중심으로 여성건강운동은 전문화?제도화된다. 특히 국가의 재정 지원을 매개로 여성건강운동 조직들이 기존의 보건의료제도 내로 포섭되는 한편, 국가 부문을 통한 보건의료 개혁에 주력하는 경향이 강화된다. 그 결과 여성건강운동 초기의 전문지식권력에의 도전과 사회 변형적 성격은 탈각된다. 이후 여성건강운동의 주류는 생의학 분야 내 여성적 질병의 연구 확대와 의약품 및 의료 기기의 안전성 및 효과성에 주목하는 의료소비자 운동으로 변모하고 이 과정에서 여성건강운동의 전문지식권력에의 의존이 강화된다. 본 연구는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고려에서 제기된 사회 변혁적 쟁점들이 전문가가 주도하는 사회 관리의 의제들로 변모하는 과정을 시민권의 정치의 관점에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정인경(In Kyoung Chu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1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실을 인간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 보고자 한다. 생명공학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 조작 및 배아 복제 시도와 재생산 과정에의 개입 두 가지로 대별되지만 기술적 차원에서 양자를 구별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양자 모두 난자와 배아를 다루는 조작과 개입을 필수적이고도 핵심적인 절차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재생산 기술은 배란, 수정, 착상, 분만 등의 과정이 한 여성의 몸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일 필요가 없도록 만들었다. 난자 공여, 배아 공여, 대리모 등의 선택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이로써 여성이 남성과 성적으로 결합하여 임신·출산하는 것을 전제로 한 모성 개념이 더 이상 당연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활용은 여성을 그 직접적 대상으로 하며 그 영향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물학적·사회적 현실을 뒤흔들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현 재생산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것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여성의 시민권, 특히 재생산 권리와 재생산 건강의 측면에서 평가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 기술의 활용에서 여성의 욕구와 건강이 일차적인 고려사항이 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Considering the growing influence of biotechnology,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its implication in relation to human reproduction. Biotechnology is applied for two important medical areas: one is disease treatment, and the other is reproduction.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se two applications involves with dealing with oval and embryo, bio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reproductive technology. Reproductive technologies have developed rapidly; there is a wide selection of available reproductive options such as egg donation, embryo donation, or surrogacy. It means that the present reproductive technologies result in the fragmentation of natural and unified reproduction. In other words, the motherhood from the genetic contribution to the birthing process is being transformed by technological progress. These changes will potentially have impact on both biological and social condition of wome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se reproductive technologies on women who are the very objective of the intervention of those techn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citizenship, especially reproductive rights and health. This article suggests that women’s needs and health should be primary concern for developing and using reproductive technologies.

      • KCI등재

        과학 거버넌스와 과학 시민권: 이론적 검토

        정인경 ( In Kyoung Chu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2

        생태적·사회적 복잡성이 증대하는 오늘날 사회 진보의 동력이자 합리성의 독점적 원천으로서 과학기술의 표상은 위협받고 있다. 원자력 발전, 기후변화, 광우병, 유전자 조작식품, 인간배아복제 등을 둘러싼 공중의 위험 인식과 광범위한 불만은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신뢰가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이에 유럽 등지에서는 전문가와 정책 결정자 그리고 공중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지속적인 소통 및 개입/참여 전략이 강구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부상한 것이 과학 거버넌스와 과학 시민권에 관한 논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의 이론적 적실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과학 거버넌스와 과학 시민권을 논하는 시각은 다양하지만 과학기술과 정치, 특히 과학기술과 민주주의라는 거시적 의제로부터 출발하여 양자를 연계하는 문제의식을 심화 시켜 나가는 데에선 공통적이다. 과학기술적 전문성이 공적 의사 결정을 독점하는 시대에 정책 과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증대하려는 이러한 규범적 논의는 현대 민주주의에 대한 고민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and risk awareness of the issues relating to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areas affecting our safety and health in everyday life: climate change, genetically modified foods, nuclear waste and so on. In this regard, we can speak of crisis of confidence in science and scientific public policy. In Europe and beyond, to cope with this crisis of confidence, public engagement is actively advocated as a means of restoring public trust in science and of enhancing responsibility in the policy process. Along with this, the configuration of scientific citizenship has become a lively topic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iscussion on the governance of science and scientific citizenship,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se framework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science and democracy.

      • KCI등재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인터넷 여성혐오

        정인경(Chung, In-K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오늘 여성혐오의 새로운 점을 인터넷이라는 물리적 기반과 그것이 창조한 사이버 공간에 초점을 맞춰 다뤄보고자 한다. 수많은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는 사이버 공간에서 여성혐오는 흔히 관찰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온라인 여성 혐오의 특징은 그것이 안티 페미니즘을 표방한다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포스트페미니즘이라는 시대 규정 속에서 다뤄보고 페미니즘이 시대착오적 기획이라는 만연한 인식을 재점검해볼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인터넷 여성혐오 문화를 반성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으로서 성차의 윤리를 제시해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is new about the recent misogyny focusing on the internet culture. A great many communicative players are interacting in cyber communities where hatred toward women is not unfamiliar. It is also remarkable that the anti-feminism is the main element in this online misogyny. The article is to critically analyse the anti-feminist feeling in relation to the post-feminist notion that the feminist movement is unnecessary. The last part of the study is outlining the ethics of sexual difference as the resource for reflecting today’s misogyny.

      • KCI등재

        과학기술 분야 젠더거버넌스

        정인경(Chung, In-Kyo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1

        여성과 과학기술의 괴리는 여성을 배제해 온 역사를 빼놓고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1960년대 말 서구에서 부상한 2세대 페미니즘은 여성과 과학기술을 매개하는 이론적·실천적 시도를 발전시킨다. 페미니스트 과학연구와 성 평등 정치의 확산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이를 배경으로 출현한 미국과 한국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을 분석한다. 미국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은 명시적으로 동등기회를 추구하는 동시에 여성의 과소대표를 구조적 불의로 인식하고 이를 시정하려는 적극적 조치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역시 성 평등 정치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그 내용에서도 여성과학기술인의 수를 늘리기 위한 적극적 조치의 형태를 보이지만 공식적인 정책에서는 여성 인력의 효율적 활용 논리가 지배적이다. 본 논문은 이를 젠더주류화에 내재한 일반적인 위험으로서 성 평등 의제의 변용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변용을 통한 제도화는 평등의 제고에서 실효성이 낮은 데 비해 성 평등이 완수되었다는 착시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The acknowledged estrangement between women and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regarded as a historical result of the systemic exclusion of women. The second-wave feminism of the West in the 1960’s stimulated both theoretical and political attempts to deal with this. By referring to feminist science studies and the politics of gender equality, this study sets out to analyse the policies for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USA and Korea. The former has features of equal opportunity and affirmative action, while the latter has no clear declaration regarding gender equality or equal opportunities, notwithstanding some major programs relating to that goal. The article regards this blurring of gender equality as a general limitation of gender mainstreaming lacking the forces supporting that goal.

      • KCI등재

        젠더주류화와 여성의 시민권

        정인경(In-kyoung Chung)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4

        오늘날 젠더 평등은 사회 정의의 일환으로 수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국가들이 젠더 평등을 핵심적 정책 목표로 수용하는 현상은 일견 역설적인 듯 보인다. 젠더 평등의 목소리를 높여온 자율적인 여성대중운동은 침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페미니즘의 시대는 끝났다는 대중적인 인식도 팽배하며 더 나아가 여성의 권리 주장에 대한 보수주의적 반격도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자유주의 하에서 민주주의의 형애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시민권을 둘러싼 논쟁이 가열되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 보아도 젠더 평등의 확산과 제도화 현상은 역설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젠더 평등의 새로운 전략으로 간주되는 젠더주류화에 초점을 맞춰 이 같은 역설적 상황을 검토해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여성의 시민권을 진전시키려는 페미니스트 정치 전략의 주요 패러다임을 일별함으로써 젠더주류화 전략의 평가를 위한 이론적 쟁점을 추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여성 시민권의 측면에서 젠더주류화 전략이 지니는 이론적·실천적 의의 및 한계를 규명해볼 것이다. Over the last few decades, gender equality has been accepted by many countries as a crucial policy goal. However, it seems a little paradoxical for gender equality to spread as an international norm because women’s movement once actively advocating gender equality is not visible and moreover,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regress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under neoliberal policy refor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paradoxical phenomenon above mentioned by focusing on gender mainstreaming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new strategy aimed at enhancing gender equality and justice for past few decades. To do that, this article tries to arrange theoretical issues from the feminist debates on women’s citizenship and depending on these discussion, evaluat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좋은 삶과 노동: 기본소득 논의의 윤리적 가정 검토

        정인경(Chung, InKyou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0 문화와 정치 Vol.7 No.4

        기본소득은 한 사회의 모든 성원 개개인에게, 소득과 자산의 유무를 따지지 않고, 아무런 조건 없이, 현금의 형태로,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일종의 무조건적인 최저소득 보장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일자리와 소득의 불안정 심화로 기본소득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동시에 기본소득이 윤리적으로 정당하지 않다는 비판도 상당한데 노동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 노동 여부 및 노동 의사와 무관하게 소득을 지급하는 것은 게으름을 조장한다는 논리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무임승차’에 대한 거부감 및 ‘좋은 삶’을 노동과 관련짓는 노동윤리와 관련하여 기본소득 논의의 윤리적 가정을 검토해 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본소득이 제기되는 배경과 작금의 논쟁 지형을 개관해본다. 이어서 좌파 기본소득 논의의 핵심적인 가정과 윤리적 정당화 논거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기본소득 논의가 제기하는 도전을 노동윤리 및 호혜성의 원리와 관련하여 검토하고 그 의의를 제시해보도록 한다. Basic income is a sort of unconditional minimum income guarantee. The idea of basic income is drawing global attention, but has not been accepted as a feasible policy alternative. A strong argument against it is estimated budget constraint. Apart from this fiscal viability, however, there are also considerable criticisms regarding basic income as unethical. The main point is that it is not just to give income to people with labor abilities, regardless of their will to work.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deas of basic income in relation to the notions of the work ethic which privilege work as an essential source of good life. To that end, firstly it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current debates around basic income and the primary reasons of each camp. Then, the leftist reasons of basic income will be reviewed in relation to the work ethic and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 KCI등재

        시민권의 페미니즘적 개조를 위한 시론

        정인경(Chung, In-Kyoung)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오늘 여성은 정치공동체의 일원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법적 지위의 측면에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향유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상적·형식적 지위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가족 내 의존자로서 여성의 현실은 여전하며 여성을 둘러싼 다양한 실천과 관념은 여성을 이등 시민으로 만든다. 이처럼 형식적 포함에도 불구하고 열등성을 경험하는 여성의 상황을 ‘내부적 배제’로 규정할 수 있다. 내부적 배제란 시민권이 명시적으로 부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규범적인 시민의 형상에서 벗어나는 차이가 지적·정치적 역량의 지표로 간주되면서 열등성과 배제가 정당화되는 불완전한 시민권을 가리킨다. 여성 시민권 옹호의 기획으로서 페미니즘은 이러한 내부적 배제의 현실을 다루는 데 성공적이지 못했다. 기존의 시민의 형상을 그대로 둔 채 포함을 요구한 ‘동화의 전략’이나 여성의 차이를 무매개적으로 옹호한 ‘변이의 전략’의 한계는 여성의 고유성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시민권의 보편성과 연계하는 방식을 찾지 못한 것과 관련된다. 본 연구는 여성의 시민권을 효과적으로 확립할 수 있는 대안적 논의를 추구한다. 그것은 보편적인 ‘여성 시민(citoyenne)’의 동일성(identity)을 가공하여 기존의 시민권을 개조하려는 이론적 기획으로 요약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리가레(Luce Irigaray)의 논의에 기대어 성차(sexual difference)를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여성의 고유성이 인간성에 상응하는 문화적 의미를 획득하고 공적 영역에서 적합하게 표상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실현 방안으로서 제안된 모성의 권리와 처녀성의 권리는 동화와 변이의 딜레마를 넘어 여성이 ‘여성으로서’ 시민의 지위를 향유할 수 있도록 시민권의 모형이 변형되기를 전망한다. This study claims that to deal with the internal exclusion of women adequately it is necessary to criticize the way universal ideal of modern citizenship works. And this study intends to elaborate an alternative citizenship model that is predicated on an appreciation of sexual difference. It does this through the work of Luce Irigaray who theorize sexual difference as both ontological and anthropological difference. It is obvious that human civilization owes its reproduction to the basic natural reality of sexual difference. Also this difference, however, does not belong only to the realm of nature. It has been given its meaning only through the cultural notions. According to the prevailing cultural notions, the specificity of the women, that is maternity and sexuality, is reduced to a natural function which is seen as falls short of the mark of human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argues that an invention of the cultural symbol is needed to do justice to the feminine and make women’s civil identity possible. This is an attempt to formulate women"s right to their selves, specifically the right to their maternity and sexuality which could get the prevailing male-biased notion of citizenship to be transformed. In brief, this is a theoretical plan to revise modern citizenship by maintaining that in reality an individual is either a woman or a man, that is to say, the neutral individual actually has a s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