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기반 멀티미디어서비스에 있어서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위험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윤정(Yoon Jeong Jeong),최일영(Il Young Choi),상균영(Jun Yong Xiang),문현실(Hyun Sil Moon),김재경(Jae Kyeong Kim) 한국IT서비스학회 2013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2 No.2

        Recently, due to the proliferation of smartphones, users of mobile multimedia services which are based on wireless internet without constraint of the time and place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multimedia and the user behavior, we analyse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mobile multimedia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use the model which is based on Technology Accepted Model (TAM) and add two constructs; the perceived enjoyment and the perceived risk. A survey data for 280 students at the K cyber university i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perceived enjoyment,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affect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n the other hand, the hypothesis which the perceived risk would affect adversely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is rejected.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provide the useful implications for the mobile multimedia servic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y for them.

      • KCI등재

        ‘약한 남성’의 표상과 지배적 남성성의 공모가 만드는 젠더 전략의 사회적 함의

        정윤정(Yoon Jung Jeo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1

        본 연구는 남성전문 라이프 스타일 채널을 표방하는 케이블 채널 XTM의 <수컷의 방을 사수하라>에 대한 텍스트분석을 수행하면서 한국사회에서 아버지 · 남편 · 남성의 위기의식이 어떠한 가치들을 발현하며 독특한 남성성을 구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수컷의 방을 사수하라>(이하 <수 · 방 · 사>)는 가정 내에서 잃어버린 가장의 공간을 찾겠다는 의뢰인 남성과 그를 돕는 남성 프로그램 진행요원들이 아내 몰래 집을 남성취향대로 리모델링하는 프로젝트를 표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 · 방 · 사>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통해서 텍스트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을 살펴보고 이 개별 장치들의 배치가 이 텍스트에서 남성성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수 · 방 · 사>에서의 남성은 권위적인 남성의 모습, 강한 남성의 모습, 요리를 하거나 육아를 하는 연성화된 남성의 모습과 ‘전혀’ 다른 ‘찌질하고’, 아내에게 한마디 못하면서도 취미를 향유할 수 있는 자기만의 공간을 욕망하는 남성성의 표상으로 등장한다. 의뢰인 남성이 자기만의 공간을 사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남성연대는 약한 남편에 대비되는 기센 아내라는 대립구도를 활용하여 그들만의 남성연대를 꾸려간다. 지배적 남성성 그리고 연성화된 남성성과 거리를 두며 <수 · 방 · 사>에서의 남성들은 개별화된 약한 남성들, 그리고 여성적대를 동력으로 하는 남성연대와 이 관계를 유지시켜주는 계약관계를 통해 독특한 남성성을 구성한다. 이와 더불어 의뢰인 남성은 취미를 즐길 공간을 사수하는 과정에서 가장으로서 가정과 맺는 관계를 거부하는 동시에 사적 영역인 가정으로 파고들어 (가족)공동체와 분리된 개인으로 존재하려고 한다. 남성중심 사회에서 약한 남성의 표상들이 어떻게 지배적 남성성과의 공모를 통해서 남성지배질서를 재생산하고 있는지를 진단함으로써 한국사회 젠더정치를 이해하는데 참조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critically overviews the Korean cable show Macho House (In defense of macho’s room, Sukotouibangeulsasuhara) and analyzes how masculinity of ‘oppressed’ married men is represented in customized for male media context. Macho House is a reality show which aims to defend male client(married man)’s own space within his house without consent from his wife when changing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house in his taste. By doing so, this TV show intends to give the male client confidence and gives back the traditional male role as the “genuine” breadwinner. In general, masculinity-related texts mainly deal with binary images of men, the strong masculinity(the traditional patriarchal model) and the softened masculinity that shows his interests toward child-caring and cooking. The masculinity presented in Macho House, however, appears to have different form of masculinity; the male agents and client in individual show weak and anxious attitude toward client’s wife. But this unique defected and week representation of breadwinner in Macho House is suspected of contributing to reconsolidate the hegemonic masculinity; the solidarity of weak men based on misogyny is found as most salient strategy. Another interesting finding is that male client, as breadwinner whose rights and obligation comes from the family and his position from public sphere(outside of house), is eager to find his ‘individual position’ from private sphere(inside house). The male client’s attempts to keep his private life(hobby) from obtaining segregated space within house may be interpreted as the symptom of collapse of contemporary patriarchy model which is based on public-private division(sex role). This article suggests that more researches on masculinity studies should be done to problematize the power strategy of masculinity to solve current distorted struggle of ‘gender equality’ and backlash of men power.

      • KCI등재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음악의 러시아 민속음악적 요소에 관한 연구: Scherzo a la russe, Dumka and Invitation to the Trepak을 중심으로

        정윤정 ( Yoon Jeong J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1

        본 논문은 러시아 대표 작곡가인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독주곡 중 Scherzo a la russe (Op.1 No, 1), Dumka,Op. 59, Invitation to the Trepak, Op. 72, No. 18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세 곡은 작곡가의 피아노 작품중 민속적 요소를 함유한 대표적인 작품이며, 본 논문은 세 곡에 나타난 러시아의 여러 민속 요소가 어떻게 작품에 표현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이를 바탕으로 연주자의 곡에 대한 이해와 표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악곡 분석에 앞서 그의 민속음악 작곡기법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는 유년시절과 교육 환경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그가 민속음악을 접하게 된 계기와 그에 대한 관점들을 다루었다. 악곡분석에서는 민속노래, 민속악기, 민속춤 등을 소개하고 이들이 악곡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본논문을 통해 작곡가가 작품에 표현한 민속 요소들을 연주자가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Tchaikovsky’s Russian solo piano music, Scherzo a la russe, Dumka and Invitation to the Trepak. Tchaikovsky grew up in the small town and was educated in the cosmopolitan city of St. Petersburg. From these environments, hiscompositional technique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is analysing folkelements in these three works and helping performers’ understanding and giving ideas for a deeper interpretation ultimately. This document addresses Tchaikovsky’s exposure to Russianfolk music in his early years, and his approach to folk music.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 and analyse the use of folk songs, folk dances and folk instruments in three pieces. Tchaikovsky’s piano writing as they appear in three works pianis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quality.

      • KCI등재

        음악 교과의 핵심 질문 개발에 관한 연구 - 2015개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정윤정(Yoon Jeong Jung) 한국문화교육학회 202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탐구를 통해‘영속적인 이해’에 이르게 하는 핵심 질문의 의미와 특징을 McTighe and Wiggins(2013, 2016)에 근거하여 고찰하고 2022 음악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핵심 질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교육과정에 기반한 현행 음악 교과서의 질문을 추출하여 핵심 질문으로서 가능성이 있는지 탐색하였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의 핵심 질문을 개발하고 그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총체적 수준의 핵심 질문은 핵심 아이디어와 성취기준에서 62개를 도출한 후, 전문가 검증을 통해 선정된 44개의 총체적 수준의 핵심 질문에서 도출이 가능한 한정적 질문의 예를 제시하였다. 2015년도와 2022년도 개정 교육과정이 기반으로 하는 Wiggins and McTighe(2005)의‘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백워드 설계’에서는 교과의‘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그리고 핵심 아이디어’에 이르게 하는 것이 바로 핵심 질문이라고 소개한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의 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핵심 질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용하며, 각 과정에 맞게 핵심 질문을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더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questions that lead learners to‘enduring understanding' through inquiry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o develop essential questions suitable for music curriculum To this en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questions from the current music textbook were extracted to explore their potential as essential questions, and developed overarching essential questions for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re ideas and performance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ubsequently, developed overarching essential questions went through a process of validating their appropriateness. Among the 62 overarching essential ques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examples of topical essential ques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44 overarching essential questions finally select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were presented.‘Understanding by Design’and‘Backward Design’by McTighe and Wiggins(2005), which are the basi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troduce essential questions as questions leading to core concepts, generalized knowledge, and core ideas. Starting wit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teachers and learners will recognize and utilize the importance of essential questions, designing those questions in various forms tailored to each stage.

      • 현대사회 주거 공간에 관한 연구 : 1-2인 가구를 위한 주거 형태를 중심으로

        정윤정 ( Yoon-jeong Jeo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36 No.0

        오늘날의 주거는 인구의 감소와 도시화, 정보화 등 사회 변화로 더 많은 기능과 역할과 함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최근의 사회적 트렌드인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 등은 주거 환경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어, 주택 유형에 대한 선호도 또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 살아가는 필수적인 의식주 중 하나인 주거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1~2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소형주택의 유형을 확인하고 현대인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협소주택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한다. Today's housing is becoming more important along with more functions and roles due to social changes such as population decline, urbanization, and informatization. Recent social trends such as low birth rate, aging, and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ausing major chang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and preference for housing types is also affected. In this paper, by investigating housing, one of the essential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humans, we will identify various types of small houses for one or two-person household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and explore narrow houses that can reflect the needs of modern people.

      • KCI등재후보

        질문형성기법을 적용한 음악 수업 연구

        정윤정 ( Jung Yoon Je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로스스타인과 산타나(Rothstein & Santana)의 질문형성기법을 적용한 음악교과 교수·학습과정안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이 생성하는 질문의 가치와 종류를 고찰하고, 질문 생성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와 규칙을 탐색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생활화 영역의 주제인 ‘음악과 건강’과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저작권’을 주제로 선택하였다. 구안된 수업안은 전문가 3인을 통해 타당성과 현장에서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어 개선점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 할 점을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과 삶의 긴밀한 관계, 음악의 기능, 그리고 올바른 음악 활용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무엇보다 질문형성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익숙하지 않은 교사 및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생이 주도하는 질문중심 음악 수업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music class teaching and learning plan applying Rothstein and Santana's question formation technique.For this purpose, the value of questions and types of students' questions were examined, and specific procedures and rules for how to generate questions were explored. The teaching plan consisted of ‘music and health’, for elementary school 5th-6th graders, and ‘music copyrigh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signed class plan secured validity through three experts and received positive opinions on its usefulness in the field. Then,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on the points for improvement, points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were considered.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life, the function of music, and the correct use of music. Above all, It is expected that by presenting specific methods to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led question-oriented classes will be activated

      • KCI등재후보

        어린이미술관의 전시해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를 중심으로 -

        윤선영 ( Yoon Sunyoung ),정윤정 ( Jeong Yoon Jeo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2

        최근 미술관들은 관람객 중심의 다양한 전시해설 프로그램으로 적극적으로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다. 전시해설의 유형에는 도슨트부터 모바일 앱에 이르기까지 종류와 특성이 다양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미술관에서는 어린이의 특성을 이해하여 해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어린이 관람객에게 있어서 상호소통 및 체험적 요소가 중요함에 따라 전시해설은 직접 사람과 소통하는 도슨트 방식이 효과적이다. 또한 모바일 앱의 활용도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현대어린이책미술관에서의 시범운영을 시행한 결과, 어린이관람객은 도슨트에 적극적이었으며, 도구를 활용한 해설에 흥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어린이관람객에게 적합한 도슨트 전시해설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Recently, art museums actively attract visitors with various exhibition interpretation programs centered on visitors. There are many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interpretation ranging from docent to mobile apps, and they are developing rapidly. Children's art museums need to develop interpretation program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s mutual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factors are important for children visitors, the docent's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people is effective. Also, mobile app's potential is growing. As a result of the pilot operation at MOKA (Hyundai Museum of Kids’ Books and Art), children visitors were active in docents and interested in interpretation using tools. As a result, a suitable method of docent's interpretation program for children visitors is required.

      • KCI등재

        리얼리티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이 재현하는 아이돌 되기의 자격

        홍지아(Jia Hong),정윤정(Yoon Jung Je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2

        이 연구는 Mnet 아이돌 데뷔 서바이벌 〈프로듀스 101〉을 대상으로 대중이 아이돌을 선택하는 이유와 기준은 무엇이며 데뷔를 원하는 10대 소년/소녀 연습생들이 대중이 원하는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스스로를 어떻게 통제하고 재현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토도로브(Todorov)의 갈등구조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출연자 가운데 데뷔에 성공한 최종 11명의 갈등서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걸그룹 서바이벌인 시즌 1과 보이그룹 멤버를 뽑는 시즌 2를 비교해 아이돌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시즌 1과 2 모두 공정한 경쟁에 대한 믿음과 노력을 통한 성장이라는 신자유주의 질서의 주체되기를 충실히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권 연습생의 성장스토리는 두 시즌 모두에서 ‘하면 된다’는 신화를 키우며 연습생들의 발언 및 연습노트, MC 특강, 트레이너들의 질타를 통해 재생산된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강조하는 노력을 통한 성공서사는 소수의 제한된 출연자에게만 적용될 뿐, 대부분의 탈락자에게는 노력이 갈등해결 요인이 되지 못함이 발견되었다. 연구진은 이를 노력의 결과가 성공이라고 주장하지만 같은 논리로 실패의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며 패자를 위한 안전망이나 공정한 경쟁 시스템의 구축을 외면하는 신자유주의의 모순과 닮은꼴로 해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은 구조의 부조리함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며 구조보다 자신에게 책임을 묻는 이른바 ‘인성 좋은’ 출연자를 부각시킴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허점을 은폐하였다. 한편 시즌 1과 2의 비교를 통해 여성 연습생에게 남성보다 더 엄격한 외모와 몸매의 규율이 요구되며 보이그룹에는 없는 걸그룹의 전형화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net idol debut program Produce 101, this study identifies the reasons and standards behind the public"s choice of idols, and how teenage idols restrict and produce themselves to meet those standards. The study also tries to find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genders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an idol. The analysis reports that both season 1 and 2 of the program follows the principles of faith in fair competition, hard work, growth and success to present program contestants as an agent of neo-liberalism. Meanwhile, female contestants are forced to comply with the contradict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nocence and sexiness, while also being subjected to stricter regulations of beauty and figure than that of the male contenders. Also in areas such as dance, songs and behaviors of an idol there was a standardization of certain behaviors in girl groups which did not exist in boy groups.

      • KCI등재

        시대를 대표하는 이야기꾼이자, 전방위적으로 활동했던 비평가, 그리고 행동하는 양심이었던 존 버거를 기리며

        이기형(Keehyeung Lee),박주화(Juhwa Park),정윤정(Yoon Jung Jeong),황경아(Kyong Ah Hwa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4

        우리는 이 글에서 90여 해에 달하는 긴 삶 속에서, 사회경제적인 쟁점과 상흔들의 진단, 정치적 개입과 정의의 추구, 그리고 사회적 타자들과의 연대 등의 녹록하지 않은 주제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관점과 비판적 사유를 일관되게 개진해 온 존 버거의 작업을 조명하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그는 예술부문과 사회비평의 영역을 종횡으로 가로지르면서, 당대의 주요 사안과 갈등적인 쟁점들을 대상으로 매우 유려하고 창의적인 동시에 결코 움츠려들지 않는 용기와 감응이 배어든 글쓰기를 도모해온 시대를 대표하는 비평가이자 출중한 글쟁이였다. 비평적 에세이에서 소설과 르포, 그리고 그밖에 장르를 특정하기 어려운 실험성과 상상력 그리고 대안성이 번뜩이는 글을 독자들에게 제시하면서, 동시에 그는 지리학적·인종적인 경계를 넘어, 자신의 관심과 도움이 필요한 이들과 적극적으로 교감하고 연대를 모색한 활동가이기도 했다. 필진은 이 글에서 특히 공적 지식인으로서 수많은 유산을 남긴 존 버거의 결집된 노력과 다기한 역할을 파악하는 데 유용할 《다른 방식으로 보기》와 《제7의 인간》과 같은 핵심적인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가 수행한 통찰력이 지대한 비평작업과 요동치는 현실에 관한 개입적인 동시에 정제된 글쓰기의 함의를 상세하게 논하고자 한다. In this lengthy review, we would like to introduce John Berger(1926∼2017) and his various intellectual-critical works as an independent writer and a public intellectual. He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ritics and respected writers of our time. Expecially his much creative, compassionate, and willed writings come to epitomize the very best of committed storytelling that would put enormous efforts and impassioned energy as well as keen observations on the various types of social sufferings and crucial political matters. In doing so, Berger has solidified his unique role and international status as a towering and inspiring storyteller whose collective works have tremendously influenced a number of social subjects. By focusing on and exploring his well-known works, especially Ways of Seeing and A Seventh Man, this paper will illuminate his much significant, insightful, and valiant efforts that have formed far-reaching intellectual legacies and resonances across many different generations of people.

      • KCI등재

        봉독의 HIF-1α 발현감소를 통한 혈관신생 억제효과

        Jae-Moon Shin(신재문),Yun-Jeong Jeong(정윤정),Kwan-Kyu Park(박관규),Jung-Yoon Choe(최정윤),Sang-Mi Han(한상미),Kwang-Gill Lee(이광길),Joo-Hong Yeo(여주홍),Il-Kyung Chung(일경),Young-Chae Chang(장영채)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

        봉독은 동양의학에서 관절염, 류마티즘 및 각종 암을 포함하여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최근 봉독의 신생혈관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정확한 분자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보고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봉독이 인간결장암세포인 HCT116세포에서 신생혈관생성과 종양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IF-1α와 VEGF 발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봉독은 CoCl₂로 유도한 저산소 상태에서 VEGF와, HIF-1α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HIF-1α의 promoter 영역인 HRE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봉독의 HIF-1α 발현억제효과는 ERK1/2의 인산화 조절을 통한 것이며, 봉독은 p38, JNK, AKT의 인산화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또한 봉독의 효과를 나타내는 단일물질 탐색을 위해 봉독의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진 아파민과 멜리틴을 조사한 결과, HIF-1α와 VEGF 억제효과는 아파민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예상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봉독의 혈관신생 억제에 대한 새로운 신호전달기전 및 인간 결장암세포 전이 억제제로서의 잠재성을 확인하였다. Bee venom (BV) has been used in medicine to treat a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arthritis, rheumatism, and various cancers. Recent reports indicate that BV has anti-angiogenic effects, but the precis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effects of BV against colorectal cancer remains to be elucidated. We examined the effects of BV and its major components (melittin and apamin) on tumor angiogenesis and found that BV significantly decreased protein levels of hypoxia-inducible factor-1α (HIF-1 α), an important factor involved in angiogenesis and tumor progression, in human colorectal carcinoma HCT116 cells. BV also suppressed the transcription of HIF-1α under hypoxia,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 major target gene of HIF-1α. We also found that these effects were mainly elicited by apamin, but not melittin. BV specifically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ERK1/2 without changing the total levels of this protein, but had no effect on kinases of p38/JNK and AKT. Our results suggest that BV may inhibit human colorectal cancer progression and angiogenesis by inhibiting HIF-1α and VEGF expression, thereby providing a novel potential mechanism for the anticancer action of B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