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보호요인(적응적 평가, 사회적 지지 및 보상적 경험) 효과 검증

        정소연(Jung Soyon),김정인(Kim Jeong In)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2

        본 연구는 가족이 경제적 어려움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가족원의 의료 및 돌봄문제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가족의 적응적 평가, 사회적지지 및 보상적 경험이 보호요인으로서 기능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시 S구의 474가족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론적으로 가정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독립 변수들은 가족적응과 부적(-)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과 ‘가족원의 의료 및 돌봄 문제’가 가족적응의 위험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응적 평가, 사회적 지지, 그리고 보상적 경험은 가족 적응과 정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과 가족적응 간 관계에 있어서 세 변수들의 조절적 보호요인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의료 및 돌봄 문제’와 ‘가족적응’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보상적 경험은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예상과는 달리 이 상호작용항들의 회귀계수가 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 내 의료 및 돌봄문제가 심각한 가족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보상적 경험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가족 내 의료 및 돌봄 문제가 심각하지 않은 가족에 비해 더 약함을 의미한다. 논의에서는 가족정책 및 서비스와 관련한 본 연구의 함의와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실천적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1) Are financial difficulties of familie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amily adaptation?: (2) Do adaptive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compensatory experience function as family protective facto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financial difficulties and family adaptation?: (3) Are family members’ medical problems and its related caregiving burden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adaptation?: and (4) Do adaptive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compensatory experience function as family protective facto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medical problemㆍcaregiving burden and family adapt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74 families living in S-Gu, Seoul, Korea utilizing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s.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As expected,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family adaptation, indicating that ‘financial difficulties of families’ and ‘family members’ medical problems and related caregiving burden’ are risk factors for family adaptation. Adaptive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compensatory experience were also linked positively to family adaptation. However, no moderating protective effects were observed. It implies that adaptive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compensatory experience have only compensatory protective effects(main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I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association and family members’ medical problem and related caregiving burden,’ social support and compensatory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s bu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ose expected. Implications for family services and polic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영케어러의 돌봄활동과 그 영향: KBS 1TV <동행> 출연 가족 사례 분석

        정소연(Soyon Jung),서홍란(Honglan Seo),홍순혜(Soonhae Hong)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숨겨진 집단(hidden group)’으로 묘사되는 영케어러(young carers)가 어떤 환경에서 어떠한 돌봄활동을 하고 있는지 규명하고 그러한 활동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BS ITV <동행>에 출연한 가족사례에 대해 양적⋅질적 내용분석을 실행하였다. 먼저, 지난 2년 간(2020년 7월~2022년 6월) 방영된 99편 중 가족원을 돌보는 아동이 있는 41개의 사례를 선정한 후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을 통해 영케어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정환경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연령에 비해 과도한 수준의 돌봄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된 30명의 영케어러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돌봄활동을 파악하였으며, 질적분석을 통해 돌봄활동이 영케어러에게 미친 영향을 조명하였다. 영케어러들은 가사, 가족원 돌봄은 물론 가정관리, 정서적 지원, 경제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돌봄활동을 수행하였는데, 설거지, 요리 및 상차림, 애정과 감사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 청소, 빨래 등이 특히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돌봄활동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으로는 학습활동에 투입할 에너지와 시간 부족, 친구관계 형성 및 유지의 어려움, 박탈당한 놀 권리, 가족상황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진로선택, 장기간 지속되는 돌봄을 둘러싼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이 확인되었으며,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성숙함과 어른스러움, 경제개념과 삶의 지혜 터득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영케어러를 위한 개입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사회복지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 what environment and what kind of caring activities are performed by young carers, described as a ’hidden group’,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such activities on the children. To this end,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family cases appearing in the KBS ITV <Dong-Haeng> program. First, among the 99 episodes aired over the past two years (July 2020 to June 2022), 41 case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taking care of family members were sele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 were identified. Then, 30 young caregivers who were evaluated to be performing an excessive level of caregiving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their specific car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using a mixed method. Young carers have performed caring activities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domestic tasks, sibling care, personal care, household management, emotional care, and financial care. Specifically, washing dishes, cooking and table setting, expressing verbal affection and gratitude to care receivers, cleaning, and laundry were observed most frequently in the cases. The impact of caring activities on young carers was illumina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Negative effects of caring activities are more dominant and categorized as follows: lack of energy and time to invest in learning activities, difficulty in forming and maintaining friendships, deprivation of right to play, education and career choice influenced by family situations over individual need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surrounding long-term care. As positive effects, maturity, sense of economy and life wisdom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terventions for young caregivers are suggested in multiple dimension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정소연(Soyon Jung),서홍란(Honglan Seo),김정인(Jeong In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삶의 질이라는 개념이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념이라고 하는 Felce와 Perry(1995)의 모형에 기초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은 장애인복지분야의 3명의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에 대해 평가를 받았으며 그 평가와 피드백에 기초하여 수정·보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3개 장애인이용시설과 거주시설의 협조를 받아 430명의 성인발달장애인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상관 및 기술 분석을 통해 개별문항의 분포적 특성과 문항간 상관성이 검토되었으며, 그결과와 이론적 타당성에 기초하여 각 하위요인별로 4문항씩, 총 20개의 문항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완성된 척도의 Cronbach의 α값은 .87이었다. 또한 개념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확인적요인분석 결과는 5개 요인으로 구성된 이 척도의 모형적합도가 만족스러운 수준임을 입증하였다. 한편 척도의 기준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척도의 하위요인별로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기준(criterion)을 선정한 후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등을 통해 각하위요인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는데, 모든 분석에서 유의미한 상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그리고 척도의 활용 방안 등이 검토되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scal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generated a initial item pool composed of 62 item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Felce and Perry (1995). The initial items were evaluated by three reviewers, and then the items were revised based on their feedbacks. Utilizing a survey questionnaire including the scale items, data on 430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ollected in collaboration with 33 social welfare agenci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evant theories, the qualities of each item were examined, and then the best 20 items were selected. Cronbach’s α for the final scale was .87.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5-factor model fitted the data reasonably well, In addition, criterion validity of each subfactor of the scale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employing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In discu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 KCI등재

        가족임파워먼트 척도(Family Empowerment Scale)의 요인구조 검증 및 단축형 척도 개발

        정소연(Soyon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Koren, DeChillo와 Friesen(1992)이 장애아동 부모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가족임파워먼트척도(Family Empowerment Scale: FES)의 심리측정적 성격을 파악하고, 단축형 FES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소속 회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가 활용되었다. FES 원척도의 경우 내적일관성신뢰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이 척도의 이론적 요인구조를 지지하지 않았으며 수정보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등 기초적인 분석을 통해 척도 문항의 특성 및 원척도의 제한점을 파악하였다. 이론적 근거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단축형 척도에 포함될 문항을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가 완성되었다. 이 단축형 척도는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모형적합도 지수에서 ‘양호’이상의 기준을 충족하였다. 본 연구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FES의 요인구조를 파악한 첫 번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뿐 아니라 구성개념 타당도와 내적일관성 신뢰도가 좋은 단축형 FES를 개발함으로써 척도 콘텐츠 개발 및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imar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One i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Family Empowerment Scale(FES) developed by Koren, DeChillo and Frisen(1992). The other is to develope a short-form FES. Data collected from 337 members of Parents’ Solidar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used. FES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but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did not support the theoretical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Basic analyses such as correlation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tems and identify the limitation of the orignal FES. In addition, a series of CFA were carried out to develop a short-form FES. Finally 15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oretical rationale and the results of CFA. Cronbach’s α and the model fit indices for the short-form FES indicated that this measure has good construct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In discussion, usefulness and potenti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content development in the area of measuring instruments.

      • KCI등재

        자녀의 장애가 가족에게 끼친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

        정소연(Jung, Soyon)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2

        본 연구는 장애인부모연대 경기지부 회원을 대상으로 2011년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장애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인지적 평가에 따르면 가족에 대한 장에의 부정적 영향을 경제적인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두드러졌으며 긍정적 영향을 주로 철학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었다. 즉, 자녀의 장애로 인해 어머니들은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고, 많은 시간을 장애아동을 돌보는데, 사용함으로써 사교적인 활동 참여가 줄어들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많은 수의 어머니들이 자녀의 장애로 인해 삶에서 가치 있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정신적으로 성축해졌다는 것에 동의를 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장애자녀의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영향은 서로 유의미한 관련이 없는 독립적인 요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다회귀분석결과에서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자녀장애의 부정적 영향과 관련성이 확인된 요인은 장애자녀의 일상생활 의존도, 사회적 능력, 어머니가 주로 담당하는 가사업무 수‘ 부부만족도, 서비스체계 관련 가족 역량 및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이었으며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장애자녀의 긍정적 영향과 관련성이 검증된 요인은 장애자녀의 연령과 사회적 능력 아버지의 장애자녀 돌봄 시간, 부부만족도, 서비스체계 관련 가족역량이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의 항의와 함께 장애인가족의 적응을 원조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hood disability on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impacts perceived by mothers. For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data collected from 337 members of Parents' Solidar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mothers' cognitive appraisal, negative impacts of childhood disability were salient in the economic and social aspects whereas positive impacts were prominent in philosophical and mental aspects. That is, most mothers reported that disabilities of their children caused economic burden and reduced the mothers' social activities. At the same time, however, many respondents agreed that they could realize what was more important in life and could mature from the experience with their disabled childre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negative and positive impacts of childhood disability was non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y are independent constructs to each other.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impact of childhood disability perceived by mothers were associated with care demands and social competence of a disabled child, the number of housework tasks that mothers took the main responsibility for, marital satisfaction, family empowerment in social service system,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positive impact of childhood disability perceived by mothers were related to age and social competence of a disabled child, fathers' time spent on child care,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empowerment in social service system. In discus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의 가출횟수 및 청소년쉼터 이용경험에 따른 집단 특성 검증

        김지(Kim, Jiyon),정소연(Jung, Soy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가출횟수와 청소년쉼터 이용 등에 있어 차이가 있는 청소년들을 몇 개의 집단으로 범주화한 뒤, 각 집단이 인구사회학적 특성, 적응 및 비행행위에 근거할 때 서로 유의미하게 다르다고 할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데이터에 대한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에서는 먼저 가출횟수에 따라 청소년들을 무가출, 가출1회, 반복가출 집단으로 구분한 뒤 판별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 이 세 집단이 서로 유의하게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 쉼터 인지 및 이용경험에 따라 가출청소년을 쉼터미인지, 쉼터비이용, 쉼터이용 집단으로 구분한 뒤 동일한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도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할 때, 반복가출 및 청소년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또래에 비해 평균연령이 높았고, 남자, 비(非)양친가정, 빈곤가정의 비율이 높았으며, 부모와의 갈등, 학교폭력 피해, 지위비행, 성비행, 폭력비행 경험 역시 높았던 반면 생활만족도와 학업성적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출경험 및 청소년쉼터 이용에 따라 구분된 청소년집단에 대해 차별화된 개입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본 연구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Are non-runaway youth, one-time runaway youth, and repeated-runaway youth, the three groups categorized based on the frequency of running awa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so, how are they different?; (2) Are the three runaway youth groups categorized based on whether they knew of and/or have ever used shelter service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so, how are they differen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dataset ‘Youth’s Exposure to Deviant Behaviors and Harmful Environment’(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Korean Government, 2012), and multivariate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youth groups. Specific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peated runaway youth and runaway youth who had used shelter services were more likely to be children from poor and non-intact families, to have had experience of family conflict and school violence, and to have been involved in various problem behaviors such as cigarette use and fighting, compared to their peers. Based on the results, a number of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드림스타트 사업의 성과, 성공요인 및 한계

        홍순혜(Hong, Soonhae),정소연(Jung, Soyon),유영림(You, Yonglim),김정인(Kim, Jungin),한정은(Han, Jeonge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5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드림스타트 사업을 수행한 경기도 G시를 대상으로 드림스타트 사업의 성과, 성공요인 및 한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드림스타트 사업의 아동통합사례관리사와 사업대상 아동의 양육자, 아동복지기관협의체 위원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G시 드림스타트 사업의 성과, 성공요인 및 한계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의 견해를 취합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업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세 가지 상위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전반적 드림스타트 사업성과와 관련한 상위주제는 ‘삶에 대한 희망과 꿈을 찾아준 드림스타트’였고, 둘째, 드림스타트 사업 성공요인에 대한 상위주제는 ‘모든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와 협력’이었다. 마지막으로, 드림스타트 사업의 한계를 나타내는 상위주제로는 ‘지속적이고 질높은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하는 관리체계’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드림스타트 사업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 success factors, and limitations of the Dream-Start program that G-City, in Gyeonggi-do, Korea launched in 2010.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were the case managers of the Dream-Start program, the parents of the service’s target children, and the members of the G-City Council of Child Welfare Organizations. After collecting the data, the views of the three stakeholder groups on the performance, success factors, and limitations of the Dream-Start program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reached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With regard to the performance of the Dream-Start program, the theme was,”The program leading children and families to have hopes and dreams for the future. “In terms of the success factors, the theme was,”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all stakeholders in G-city’s Dream-Start program. “The theme in relation to program limitations was, ‘’In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keeping the Dream Start program from providing high-quality services. In conclusion,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focusing on the Dream-Start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형사절차단계에서 범죄피해청소년의 경험과 정책 개선방안 : 인권관점을 중심으로

        김지(Kim, Jiyon),정소연(Jung,Soyon),김혁(Kim, Hyeok) 한국피해자학회 2020 被害者學硏究 Vol.28 No.1

        2018년 대검찰청 범죄분석에 따르면 전체 범죄피해자 가운데 7세 이상 20세 이하 범죄피해자는 11만 명을 넘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N. 아동권리협약에 의거할 때 아동에 해당하는 18세 미만 범죄피해자 통계가 따로 생산・관리되지 않아 정확한 규모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보호와 연구윤리 문제로 범죄피해청소년에 대한 접근도 용이하지 않아서 이들에 대한 인권실태 파악을 시도한 연구는 그동안 극히 제한적이었다. 폭력 등 일부 범죄의 경우 피해경험이 제대로 치유되지 않아 피해자가 가해자로 전이되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아동・청소년기 범죄피해경험은 이후 생애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국가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사안이다. 범죄피해청소년의 인권보호는 시민적 권리측면에서 당연한 조치일 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사회적 비용 감소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범죄피해청소년이 형사절차단계에서 경험한 인권보호실태를 통해 근거기반(evidence)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수사단계, 처분결정단계, 재판단계(보호 및 공판) 등 형사절차단계별 실무지침 개선(안)과 법률 개정을 포함한 중・장기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importance and need for personal protection work for crime victims is growing day by day. The police are struggling in their own way, but there are many different issues raised with their personal protection work.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s of the police currently in force, identify their issues 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and review their improvement tasks. The study first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personal protection by the police, sorted out the issue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ir implications. It then gave an overview of ten personal protection measures implemented by the police and checked their actual operation. The ground laws,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personal protection measur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garding frequent cases in the field. A proper interpretation theory was developed for each case, and issues due to the limitations of current laws were examined in practical affairs. For improvement plan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alternatives in the aspects of legislation, the study made an argument to enact a general law(provision) on personal protection with no restriction of application for victims, secure efficiency in the compilation and execution of a budget in proportion to the importance of duties, and prepare an effective procedure for insubordination and relief of right, proposing specific legislation models for them.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강사들의 경험과 인식: 경기도형 발달장애인평생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정은(Jeong Eun Han),정소연(Soyon Jung),서홍란(Honglan Seo)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4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1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발달장애인평생교육(지원)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강사들의 특성과 경력 등을 파악하고 강사로서 경험과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우리 사회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와 초점집단인터뷰(FGI)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약 2주간 진행되었는데, 온라인 설문조사에는 93명의 강사가 응답하였고, 3회에 걸쳐 진행된 FGI에는 총 18명의 강사가 참여하였다. 연구진은 양적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분석(descrptive analysis) 및 상관분석을 활용하였고 질적자료에 대해서는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료분석을 통해 강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발달장애인 대상의 평생교육 강사로 참여하게 된 계기, 사전교육 경험, 교육 진행의 어려움과 영향 요인, 발달장애인평생교육(지원)센터의 역할 및 강사관리 체계에 대한 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강사들은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과 중증장애인 교육의 어려움을 토로하였으나, 강사대상의 사전교육, 평생교육(지원)센터의 역할 및 지원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제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진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강사의 역량 강화와 발달장애인에 특화된 교육서비스 제공을 위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교재 및 매뉴얼 개발, 강사 자격기준에 대한 규정 마련, 강사양성 및 교육에 있어 광역센터와 지역센터의 역할 이원화, 강사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 프로그램 보조 인력의 적절한 역할을 제안하였다.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career back- ground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structors working at the Gyeonggi-do Lifelong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GLE Centers). Research Method: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with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data was collected from 93 online survey responses and 18 participants in three FGIs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2023. Quantitative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and correlation analyses, while qualitative data underwent content analysis. Research Findings: Data analysis revealed instructo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ivation, prio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hallenges in education delivery, and perceptions of the GLE Centers' roles and management systems. Instructors reported their struggle in dealing with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 learn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ADDs) but, in general, positively evaluated GLE Centers' role in communities, education for ADDs, and support for instructors.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analysi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The recommendations include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establishing instructor qualifications, providing feedback on instructor activities, defining support personnel roles, and differentiating central center's role from those of regional cent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