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파국적 항인지질항체증후군과 관련된 소장의 괴사 1예

        이현애 ( Hyun Ae Lee ),김성은 ( Seong-eun Kim ),정도영 ( Do Woung Jung ),변주란 ( Ju Ran Byeon ),최아름 ( A Reum Choe ),태정현 ( Chung Hyun Tae ),문창모 ( Chang Mo Moon ),정혜경 ( Hye Kyung Jung ),심기남 ( Ki Nam Shim ),정성애 ( S 대한소화기학회 202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7 No.6

        Catastrophic antiphospholipid syndrome is a highly fatal condition characterized by widespread thromboembolism subsequent to a triggering factor (e.g., infection, trauma, and neoplasia) in antiphospholipid antibody-positive patients.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a 29-year-old male without the underlying disease who developed extensive mesenteric thromboembolism and jejunal necrosis during the treatment for acute enteritis. The patient’s condition was improved with low-molecular-weight heparin and an intravenous Ig treatment with emergency surgery. The serum antiphospholipid (anticardiolipin IgM) and lupus anticoagulant antibody tests showed positive results. Acute infectious enterocolitis is generally considered a mild disease. On the other hand, aggressive evaluation and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f the clinical conditions do not improve and deteriorate rapidly despite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acute immunological complications, such as catastrophic antiphospholipid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2021;77:294-299)

      • KCI등재

        마우스의 급성 DSS 장염 모델에서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의 치료 효과

        송은미 ( Eun Mi Song ),정성애 ( Sung-ae Jung ),이고은 ( Ko Eun Lee ),장지영 ( Ji Young Jang ),이강훈 ( Kang Hoon Lee ),태정현 ( Chung Hyun Tae ),문창모 ( Chang Mo Moon ),주양희 ( Yang-hee Joo ),김성은 ( Seong-eun Kim ),정혜경 ( Hy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9 No.2

        목적: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으로 대표되는 염증성 장질환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재발과 악화를 반복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악화시킨다. 줄기 세포 치료는 최근 염증성 장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잠재적인 치료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새롭게 개발된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MSC)는 줄기 세포 고유 기능을 모두 가지며 비교적 채취가 용이하고 여러 기증자로부터 받은 세포가 잘 융화되어 자란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MSC를 dextran sulfate sodium (DSS)로 유도된 만성 장염 마우스 모델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57BL/6 마우스를 각각 정상 대조군, DSS 장염군(DSS+PBS), T-MSC 투여군 (DSS+T-MSC)으로 나눠서 급성장염을 유도하였다. T-MSC 투여군에서는 급성 장염 유도 3일째에 복강 내로 T-MSC 1×106을 투여하였다. 장염의 평가는 임상 증상과 장길이, 조직학적 호전 정도로 평가하였다. 대장조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PKH26으로 표시된 T-MSC의 위치를 생체 내에서 추적하였다. 결과: T-MSC의 투여에 의하여 급성 장염 유도 마지막 날DAI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11.3±1.5 vs. 8.3±1.9, p=0.015)장염 증상에 의한 체중의 감소도 완화된 소견을 보였다(-17.1±5.0% vs. -8.1±6.9%, p=0.049).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였을 때 T-MSC 투여군은 염증 세포 침투의 감소, 염증 범위의 감소 및 선와 손상의 완화 등 염증의 호전 소견이 관찰되었다 (22.6±3.8 vs. 17.0±3.4, p=0.039). 염증성 사이토카인인IL-6 and IL-1β 수치 또한 T-MSC 투여에 의하여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 T-MSC의 위치를 생체 내에서 추적하였을 때 급성 장염이 유도된 대장 점막에서 T-MSC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급성 장염 모델에서 T-MSC의 투여는 장염의 증상 및 조직학적인 염정 소견을 호전시켰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T-MSC의 생체 내 위치와는 무관한 소견으로 향후 T-MSC의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re multipotent progenitor cells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for its efficacy as the treatm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MSCs) as a novel source of mesenchymal stem cells and traced their localization in a murine model of acute colit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DSS). Methods: C57BL/6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he normal control group, DSS colitis group (DSS+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T-MSC group (DSS+T-MSCs, 1x10<sup>6</sup>). The severity of colitis was assessed by determining the severity of symptoms of colitis, colon length, histopathologic grade, and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T-MSCs labeled with PKH26 were traced in vivo. Results: The T-MSC group, compared with the DSS coliti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disease activity index (11.3±1.5 vs. 8.3±1.9, p=0.015) at sacrifice and less reduction of body weight (-17.1±5.0% vs. -8.1±6.9%, p=0.049). In the T-MSC group, the histologic coliti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DSS colitis group (22.6±3.8 vs. 17.0±3.4, p=0.039). IL-6 and IL-1β,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after a treatment with T-MSCs. In vivo tracking revealed no PKH26-labelled T-MSCs in the colonic tissue of mice with acute colitis. Conclusions: In the acute colitis model, we demonstra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T-MSCs ameliorates inflammatory symptoms and histology. Moreover,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MSCs were independent of gut homing. (Korean J Gastroenterol 2017;69:119-128)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부식제로 인한 상부위장관 손상: 단일 3차 기관의 20년간의 후향적 분석

        송혜경 ( Hye Kyung Song ),심기남 ( Ki Nam Shim ),윤혜원 ( Hye Won Yun ),태정현 ( Chung Hyun Tae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5 No.1

        목적: 부식제는 상부위장관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며 드물게는 사망까지 이르게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부식제 음독에 관한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단일 기관의 20년간 부식제 음독 환자를 분석하여 상부위장관의 내시경적 점막손상 정도를 포함한 임상 양상 및 치료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부식제 음독으로 이대목동병원을 방문한 14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조기군으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후기군으로 정의하여 두 군 간의 상부위장관 내시경상 점막손상을 포함한 임상 양상 및 치료를 비교하였다. 결과: 부식제 음독환자의 평균 연령은 43.7±17.4세(범위18-88세)이며, 남성이 40.7%였다. 부식제 음독의 연도별 발생건수는 줄지 않았다(연간 발생 건수 범위, 2-22건). 조기군은 50명, 후기군은 90명으로 후기군에서 염기성 부식제 음독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고(20% vs. 65.6%, p<0.001), grade 2b 이상 식도 점막손상의 빈도가 낮았다(41.3% vs. 20.7%, p=0.012). 두 군 간에 연령, 성별, 음독 동기(자살 또는 우발사고) 및 급성 합병증이나 협착의 발생은 차이가 없었다. 치료에 있어 후기군에서 위 세척(p<0.01), grade 2b 이하 점막손상 환자에서 광범위 항생제 사용(p=0.03)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었으나, 스테로이드 사용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국내에서 부식제 음독 발생은 지난 20년간 줄지 않았고 염기성 부식제 음독 비율이 증가하였다. 내시경적 식도 점막손상 정도는 감소하였으나 급성 합병증이나 협착은 줄지 않았다. 위 세척, 광범위 항생제 사용은 감소되었으나 스테로이드 사용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부식제의 엄격한 안전 관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치료에 관한 숙지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Caustic ingestion can cause severe injury to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s of caustic injury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linical features of caustic injury over the past 20 years including pattern of endoscopic mucosal injury and treatment modality.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from patients with caustic injury from September 1993 through December 2012.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year when caustic ingestion occurred: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rom 1993 to 2002 (early group) and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rom 2003 to 2012 (late group). Results: A total 140 patients were included (early group [n=50] vs. late group [n=90]). Annual number of caustic ingestions did not show decreasing tendency over the past 20 years. Alkali ingestion increased (20.0% vs. 65.6%, p<0.001) and cases with more than grade 2b of esophageal mucosal injury decreased (41.3% vs. 20.7%, p=0.012) in late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ex, age, proportion of accidental ingestion, and systemic/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Use of gastric lavage (p<0.01) and broad spectrum antibiotics (p=0.03) decreased in la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use of steroid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In this study, overall caustic ingestion did not decrease and ingestion of alkali agents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Tighter legislation on caustic agents is required and we need to be alert to the best management of caustic injury.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노인 위암 환자의 임상적 및 병리적 특징과 수술 시행에 따른 생존율 차이

        최주영 ( Ju Young Choi ),심기남 ( Ki Nam Shim ),노선희 ( Sun Hee Roh ),태정현 ( Chung Hyun Tae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김태헌 ( Tae Hun Kim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문일환 ( Il Whan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8 No.1

        목적: 노인 위암 환자는 장년 환자에 비해 전신상태가 좋지 않고 동반질환의 비율이 높아 수술 시행률이 낮고 수술 후 예후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노인 위암 환자에서 암의 특징을 알아보고 수술 시행에 따른 생존기간의 연장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목동병원에서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에 따라 65세 미만의 장년층과 65세 이상의 노년층으로 구분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두 군의 임상적 및 병리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수술 시행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와 생존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기준에 합당한 370명 중 노년층이 44.6%, 장년층이 55.4%였다. 노년층은 장년층에 비하여 어지러움, 구역, 피로, 체중감소의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위암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았다. 기저 질환은 노년층에서 심장질환의 빈도가 높았으며 수술 시행률은 장년층에 비해 낮았다. 고분화암은 노년층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수술을 하는 경우 노년층과 장년층 간에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 합병증 발생률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술받은 위암환자에서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tumor-node-metastasis (TNM) 병기였는데, 노년층과 장년층 간에 병기의 차이는 없었다. 노년층 환자에서 생존기간과 관련된 인자는 TNM 병기와 수술시행 여부였으며, 수술을 받으면 보존 치료를 받은 군에 비해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결론: 노년층의 위암 환자에서 동반 질환의 비율은 장년층에 비해 높지만 수술 합병증 발생은 장년층과 차이가 없고, 수술을 시행한 군의 생존율은 보존 치료를 한 군보다 높다. 따라서 고령의 환자에서도 더 적극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It has been known that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show worse general condition and higher comorbidities. Therefore, few elderly patients undergo surger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in elderly patients and evaluate their survival improvements by the surgical treatment. Methods: Gastric cancer patients, diagnos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2000 to 2004,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aged ≥65 years vs. <65 years.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survival time of patients in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otal 370 patients were subjected and divided into the elderly and the younger group (55.4% vs. 44.6%). The elderly group showed higher incidences of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elderly group (19.0% vs. 10.0%, p=0.025).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operation time (242.6±70.7 vs. 257.3±83.8 min, p=0.115),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15.8±10.6 vs. 14.7±9.8 days, p=0.361), and incidence of any complications (6.7% vs. 9.9%, p=0.309) between the two subgroups.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with the elderly patient`s survival were the tumor-node-metastasis (TNM) stage (stage I, hazard ratio [HR] 1.00; stage II, H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0.44-3.72; stage III, HR 4.06, 95% CI 2.08-7.92, stage IV, HR 9.78, 95% CI 4.97-19.26; p<0.001) and the treatment modality (laparoscopy, HR 1.00; open surgery, HR 3.90, 95% CI 2.43-6.26; p<0.001). The elderly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cancer surgery showed prolonged survival on TNM stage I, II, and III than those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Conclusions: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ose who had received surgical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than those who had treated conservatively. Therefore,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even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11;58:9-19)

      • KCI등재

        관해에 도달한 류마티스 관절염 속발성 유전분증에 의한 난치성 설사

        권정미 ( Jung Mi Kwon ),장지은 ( Ji Eun Chang ),이지수 ( Ji Soo Lee ),조영주 ( Young Joo Cho ),정성애 ( Seong Ae Chung ),한운섭 ( Woon Sup Han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3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0 No.1

        Intractable diarrhea associated with secondary amyloidosis in rheumatoid arthritis (RA) is a serious clinical entity with poor prognosis. We describe a 39-year-old male RA patient who presented with intractable diarrhea. Biopsy findings of terminal ileum and colon revealed amyloidosis secondary to RA. Effectiv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resulted in remission of intractable diarrhea caused by amyloid protein deposition.

      • 부인암 환자에서 발견되는 대장 선종의 특징

        전정현,정성애,김성은,이종수,남승현,신정은,문혜성,김승철,유권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1

        연구목적 : 2형 Lynch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부인과 종양 환자에게 대장암과 대상 선종의 검사 필요성이 언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의 부인과 종양 환자에서 병기 결정을 위해 시행되어지는 S상 결장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대상 선종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3년 9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본원에서 부인과 종양을 진단받고 대장 증상 없이 병기 결정을 위해 S상 결장경검사를 시행한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자궁경부암 139명, 난소암 35명, 자궁 내막암 13명) 정상대조군으로는 대장 증상 없이 건강 검진 목적으로 대장경 검사를 시행한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부인과 종양 환자 187명 중 21명에서 대장 선종이 발견되었고(11.2%) 다발성 선종이 있어 모두 26예의 선종이 관찰되었다. 정상 대조군 58명에서는 3명에서 선종이 발견되었고(5.2%) 다발성 선종은 없었다. 부인과 종양 중 자궁 내막암 환자군에서 선종의 빈도는 38.5%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진행성 선종의 빈도도 자궁 경부암 환자 12.5%, 난소암 환자 25.5%, 정상 대조군 33.3%에 비해 자궁 내막암 환자 83.5%로 유의하게 많았다. 부인과 종양의 선종 위치는 직장이 23.1%, S상결장이 76.9%였다. 결론 : 부인과 종양 환자의 대장 선종 빈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그러나 자궁 내막암 환자군에서는 다른 부인과 종양 환자나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선종과 진행성 선종의 빈도를 부였다. 따라서 부인과 종양 환자에게 대장경 검사를 통한 대장 선종 유무 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 In Lynch syndrome Ⅱ, colon cancer was associated with endometrial and ovari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an evaluation for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rectosigmoid adenomas on preoperative sigmoidoscopy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Methods : A total 187 gynecologic cancer patients(139 cervical, 35 ovarian, 13 endometrial cancer) and 58 normal controls were reviewed sigmoidscopic finding and pathologic reports retrospectively from September 1993 to March 2001. Results : The mean age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as 54(38-82) year-old and normal controls was 50(20-68) year-old. Total 26 adenomas were in 21 patients(11.2%) and 3 adenomas were in 3 normal controls(5.2%). The incidence of adenomas was 9.4% in cervical cancer, 8.6% in ovarian cancer and 38.5% in endometrial cancer. Multiple adenomas were in 5 gynecologic cancer patients and 0 normal controls. The incidence of advanced adenoma was 12.5% in cervical cancer, 25.5% in ovarian cancer, 83.5% in endometrial cancer and 33.3% in normal controls. The location of adenoma was 23.1% in rectum and 76.9% in sigmoid colon.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adenomas and multiple adenomas were higher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but not significantly. The incidence of advanced adenoma and adenom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ndometrial cancer than normal controls. Colonoscopic evaluation of whole colon will be recommanded in gynecologic cancer than sigmoidoscopy.

      • 대량 출혈을 유발한 공장게실 1예

        전정현,이선영,이나란히,신정은,주미순,정성애,한호성,유권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2001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4 No.1

        A case of massive intestinal bleeding from jejunal diverticulum is describe. A 62-year-old man was refer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melena and anemia. After admission, he showed massive hematochezia with unstable vital sign. Esophagogastroduodenocopy and colonoscopy, selective abdominal angiography, and RBC bleeding scanning were performed to seek the cause of the intestinal bleeding, but none of these studies revealed the source of bleeding. The examination of small bowel with methylcellulose showed multiple small jejunal diverticuli and a large diverticulum. Resection of the involved portion of jejunum was performed. On pathological examination, two mucosal loss lesions were detected, but ulcer or arteriovenous malformation were not seen in the resected jejunal diverticulum. The patient showed no more intestinal bleeding after operation. Although jejunal diverticuli are rare, the careful search for this complication in a patient with intestinal bleding is important.

      • 부식성 식도염의 지연성 진행에 의한 사망 1예

        김혜인,심기남,조형원,최주영,이신아,이민진,오다연,노선희,태정현,김성은,정혜경,김태헌,정성애,이선영,유권,문일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2

        저자들은 부주의에 의해 강알칼리를 마신 후 초기에 내시경 검사에서 식도, 위, 십이지장의 점막에서 IIa-IIa-0 정도의 손상을 보였던 환자가, 발생 9주째에 부식성 손상에 의한 상부 위장관 괴사로 진행되어 사망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Ingestion of corrosive substances can produce severe injury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can even result in death in the acute phase. The extent and degree of damage depends on the type and amount of substances. There are occasional reports of severe contiguous injury to the esophagus and stomach caused by strong alkali ingestion in the acute phase. Usually the deaths occur within a couple of days due to multi-organ failure after ingestion of relatively much amount of agent for a suicidal attempt. But death due to late progression is very rare. We have reported a case of 60-year-old female patient who was diagnosed as corrosive esophagitis after accidental ingestion of strong alkali. Initial endoscopic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IIa-IIa-0(according to Zargar’s classification) in the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respectively. After several weeks of supportive care, her subjective symptoms were much improved during she had been wating for the operation of colon interposition due to esophageal stricture. Metabolic acidosis and thrombocytopenia developed abruptly probably due to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necrosis and she died when 60 days had passed after the occurrence of initial esophageal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