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정선아(Sun-A Jung),하양숙(Yang-Sook Ha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본 프로그램에 동의한 두 개의 초등학교 한부모 가정아동 중 지원자를 받아 A학교를 실험군(12명)으로, B학교를 대조군(13명)으로 임의 배정하고 프로그램 시작 전에 자아존중감과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감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군 12명을 6명씩 2집단으로 나누어 주 1회 4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군, 대조군에게 자존감과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에서 실험군 1명의 자료가 결측되어 최종 실험군 11명, 대조군 13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대조군 보다 실험군이 유의한 수준에서 자아존중감이 증가(z=-2.499, p<.012, ES(d)=0.7)하고, 우울이 감소(z=-2.145, p<.032, ES(d)=-0.4)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testify the effect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on their self-esteem and depressio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n=11) and a control group(n=13). Data were analysed by using Mann-Whinet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 Cohen’s d with SPSS(PASW)18.0 program.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ores for self-esteem(z=-2.499, p<.012, ES(d)=0.7) and depression(z=-2.145, p<.032, ES(d)=-0.4) in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should be used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help them and to improve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 KCI등재

        자두과원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 패턴

        정선아,라릿,안정준,김영일,정철의,Jeong, Sun-A,Sah, Lalit Prasad,Ahn, Jeong Joon,Kim, Young-Il,Jung, Chuleui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경북의 자두 주요 생산지인 경산시와 의성군내 8개의 자두과원을 선정하여, 2010년과 2011년에 주요 심식나방류인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상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경산지역에서는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된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내외부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경산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발생은 의성보다 약 1주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은 3월 하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4월 하순 최성기를 이루었으며, 이후 세대는 6월 중순, 7월 중순, 8월 중순에 성충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복숭아심식나방은 두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6월 상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2-3회의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2010년은 전형적인 2회 최성기를 보였으나 2011년에는 3회 최성기를 보였다. 연간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량비는 경산지역에서 63-47:16-35:20-18%였고, 의성지역은 51-46:18-13:31-36%로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경우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량의 차이는 없었다. Fruit borers such as Grapholita molesta, G.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are major pests of plum in Korea. Population densities and seasonal occurrence were monitored using the synthetic sex pheromone trap in Uiseong and Gyeongsan, two important major plum growing area in Korea. In 2010 and 2011, adults of G. molesta were caught from mid April with the peak of late April, and then undergone three more generations in Gyeongsan. Grapholita dimorpha appeared from late April and they showed three peaks until late September. Both Grapholita species occurred a few days later in Uiseong than in Gyeongsan where the latitude is $1^{\circ}$ low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phenological occurrence of C. sasakii between Gyeongsan and Uiseong, showing the same patterns of two or three peaks. Population size was in order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with 63:16:20 and 47:35:18 in Gyeongsan and 51:18:31 and 46:13:36 in Uiseong, in 2010 and 201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Grapholita species caught in the trap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orchards.

      • KCI등재

        에니어그램 집단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선아(Sun-A Jung),왕희정(Hee Jung Wa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에니어그램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대상 논문은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 및 수기검색으로 수집하여 선정 및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선별하였다. 그 결과 총 14편의 논문과 29개의 효과변인이 선정되었으며, R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패키지인 ‘meta’를 활용하여 효과크기, 이질성, 그리고 출판편향을 분석하였다.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Hedges’g=0.70(95% CI:0.50-0.90)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상당한 이질성(Q=95.92, df=28, P<.001; I2=71%)을 나타냈다.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자아변인(g=0.68, 95%CI:0.40-0.96)과 적응변인(g=0.73, 95%CI:0.44-1.0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 회기 수는 7-8회기(g=0.78, 95%CI:0.78-0.57)가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가장 큰 효과를 보인 중재 시간은 1050-1200분(g=1.14, 95%CI:0.71-1.57)이었다. 마지막으로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test 그리고 trim-and-fill analysis를 통해 출판편향을 분석한 결과 심각한 출판 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에니어그램 집단 프로그램은 효과적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적용 및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a meta-analysis planned to exam effects of enneagram group program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earch for relevant articles included several electronic databases and hand-search from article references. 14 studies and 29 effect variables met inclusion criteria from 107 studies. R with the ‘meta’ package was used to analyze effect sizes, investigate possible causes of heterogeneity and check publication bias. Results: Overall effect size of enneagram group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medium(Hedges’g=0.70, 95%CI:0.50-0.90) and medium heterogeneity(Q=95.92, df=28, P<.001; I2=71%). Meta-regression and meta-anova were performed to estimate causes of heterogene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odulating effec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lf variable(g=0.68, 95% CI: 0.40-0.96) and the adaptation variable(g=0.73, 95% CI: 0.44-1.03), but the effect size was medium. 7-8 sessions(g=0.78, 95% CI: 0.78-0.57) and 1050-1200minutes(g=1.14, 95% CI: 0.71-1.57)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inally, a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test and trim-and-fill analysis were performed to check for publication bias, but no significant bias was detect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enneagram group program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n be considered t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improving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bility.

      • KCI등재

        국내 아동청소년 자아탄력성 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정선아 ( Jung Sun-a ),이고운 ( Lee Kowoo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6 정신간호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is study was a meta-analysis planned to exam effects of ego-resilience intervention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Methods: Search for relevant articles included several electronic databases and hand-search from article references. Thirteen studies met inclusion criteria from 1,638 studies.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 and Review Manager (version 5) were used to analyze effect sizes, investigate possible causes of heterogeneity and check publication bias with a funnel plot and its trim-and-fill analysis. Results: Overall effect size of ego-resilience interventions were medium (Hedges’g=0.66) and medium heterogeneity (I2=54%).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causes of heterogeneity. The effect size for normal populations (g=0.70) was larger than for risk populations (g=0.64). Intervention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g=0.74) were more effective than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g=0.51). Interventions in the community (g=0.72) shown larger effect size than intervention at school (g=0.51). Art therapy (g=0.79) had a better effect than cognitive behavior therapy (g=0.62). Interventions with over 1,000 minutes (g=1.10) and intervention with over 11 sessions (g=1.40) were effective.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publication bias. Conclusion: Based on current findings, there is obvious evidence that ego-resilience intervent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ing ego-resilie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섭식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정선아(Sun-A Jung),이고운(Kowoon Lee)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국내 섭식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된 메타분석연구이다. 분석 대상 논문은 국내 석사, 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국내 데이터베이스와 수기검색을 통해 수집하여 선별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선별하였다. 그 결과 총 1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RevMan(Review Manager, Version) 5 program,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ersion) V3을 사용하여 효과크기, 이질성, 그리고 출판편향을 분석하였다.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Hedges’g=1.73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간정도의 이질성(I2=36%)을 보였다. 하부 그룹 분석 결과 정신치료(g=2.82), 인지행동치료(g=1.72), 마음챙김 기반 중재(g=1.28)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신간은 1000분 이상(g=1.62) 보다 1000분미만(g=1.76)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논문은 심각한 출판 편향을 보이지 않았다(Fail-safe N=245). 본 연구 결과 국내에서 시행된 섭식장애 대상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섭식장애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a meta-analysis planned to exam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eating disorders in Korea. Methods: Search for relevant articles included several electronic databases and hand-search from article references. Ten studies met inclusion criteria from 2,504 studies. Comprehensive Meta-Analysis(version 3) and Review Manager(version 5) were used to analyze effect sizes, investigate possible causes of heterogeneity and check publication bias with a funnel plot and its trim-and-fill analysis. Results: Overall effect size of eating disorders interventions were high(Hedges’g=1.73) and medium heterogeneity(I²=36%).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causes of heterogeneity. The effect size for diagnosed eating disorder populations(g=1.94) was larger than for risk populations(g=1.78). It appeared high in the order of PT(g=2.82), CBT(g=1.72), MBI(g=1.28). Interventions with under 1,000 minutes(g=1.76) had significantly higher effect than interventions with over 1,000 minutes(g=1.62).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publication bias. Conclusion: Based on current findings, there is obvious evidence that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eating disorders have significant effects in decreasing symptoms of eating disorders in Korea.

      • KCI등재

        MBTI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생을 중심으로

        정선아(Sun-A Jung),강민수(Min Soo Ka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3 발달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시행된 MBTI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의 동향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선정 기준에 따라 총19편의 논문에서 33개의 효과변인을 도출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 효과크기(Hedges’ g)는 0.93(95% CI [0.71, 1.15])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이질성은 I2=75.9%로 상당한 이질성을 나타냈다(Q=132.85, df=32, p<.001).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상은 ‘대학생(g=1.11, CI [0.60, 1.62])’, 중재 회기 수는 ‘10회기 초과(g=1.26, CI [0.51, 2.01])’, 중재 시간은 ‘600분 이상 1,000분미만(g=1.16, CI [0.56,1.76])’, 중재 효과변인은 ‘진로(g=2.38, 95% CI [0.87, 3.40])’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국내 MBTI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아, 적응 및 진로 관련 역량강화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초·중·고 및 대학생을 위한 맞춤형 MBTI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used meta-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MBTI implemented in Korea for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9 articles(33 effect variab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selection criteria and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meta and meta for’ package in R4.3.1 were used to analyze mean effect sizes, heterogeneity, the modulating effect and publication bias. Results: The mean effect size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MBTI for students was large(Hedges’ g=0.93, 95% CI [0.71, 1.15]) and it showed considerable heterogeneity(I2=75.9%, Q=132.85, df=32, p<.001).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using meta-variance analysis and meta-regression analysis, the largest effect size was seen in exceeding 10 sessions(g=1.26, CI [0.51, 2.01]), 600-1000 minutes(g=1.16 CI [0.56, 1.76]), college students(g=1.11, CI [0.60, 1.62]) and career effect variable(g=2.38, 95% CI [0.87, 3.40]). Finally results of checking publication bias using a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test and trim-and-fill analysis, there was some tendency for publication bias. But i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MBTI for domestic students is considered an effective program in strengthening students' ego, adaptation, and career-related cap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evidence-based data needed to develop and apply a customized MBTI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Female Toll Booth Workers’ Emotional Labor on Exhaus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

        장정우(Jung Woo Jang),정선아(Sun A Chung),조영림(Young Lim Cho)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톨게이트 여성근로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정책적 제언과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5월 2일부터 5월 27일까지 할당추출법으로 표집한 169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감정노동은 소진의 하위요인 중에서 감정적 고갈, 비인격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성취감 저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감정노동과 감정적 고갈, 감정노동과 비인격화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톨게이트 여성근로자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정도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고,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감정적 고갈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비인격화를 초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돌발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업무매뉴얼을 만들어야 하며, 감정노동에 의해 직무스트레스가 심화되어 소진이 유발되기 전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의 제공 등과 같은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female toll booth workers on exhaus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to search for policy suggestions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 2016 to May 27, for four wee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labor had a meaningful impact on emotional depletion and depersonaliz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xhaustion, an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ed sense of accomplishment. Second,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depletion, and depersonalization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emotional labor can be a factor of emotional exhaustion and impersonalization. Therefore, we have created a work manual that would help female toll booth workers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and we recommend the introduction of th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to mitigate emotional labor and to prevent burnout, and job stress on behalf of female toll booth workers.

      • KCI등재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의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왕희정(Hee-Jung Wang),정선아(Sun-A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을 대상으로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일개 대학교 여자신입생 22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IBM SPSS 21.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은 106.14점으로 보통수준이었고, 우울은 평균 10.22점, 신경성 폭식증은 61.84점,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10.46점으로 나타났다. 여자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우울(r=-0.409, p<.001), 신경성 폭식증(r=-0.133, p<.048)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우울은 신경성폭식증(r=0.391, p<.001), 신경성 식욕부진증(r=0.302, p<.001)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과 섭식장애 정도가 클수록 대학생활적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학초기에 우울과 섭식장애에 대한 선별검사를 통해 학교부적응 대상자를 예측하고, 이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 on college adjustment in female freshmen. Two hundred twenty one subject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 March to April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llege adjustment in female freshmen was 106.14, depression was 10.22, bulimia nervosa was 61.84, anorexia nervosa was 10.46. Depression (r=-0.409, p<.001) and bulimia nervosa(r=-0.133, p<.048)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college adjustment and bulimia nervosa(r=0.391, p<.001) and anorexia nervosa(r=0.302, p<.001)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Female freshmen with high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 had lower college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needs to do a screening test for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s, predict maladaptation and help their college adjustment in freshme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대수식과 디자인의 연결과정에서의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 분석

        권오남 ( Oh Nam Kwon ),정선아 ( Sun A J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 Vol.51 No.1

        Students can infer mathematical principles in a very natural way by connecting mutual relations between mathematical fields. These process can be revealed by taking tasks that can derive mathematical connections.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make expression and design it and derive mathematical principles from the design. This study classifies the mathematical field of expression for design and analyzes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by connecting mathematical fields. To complete this study, 40 gifted students from 5 to 8 grade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and given 4 hours of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s their personal worksheets and e-mail interview. The students make expressions using a functional formula, remainder and figure. While investing mathematical principles, they generalized design by mathematical guesses, generalized principles by inference and accurized concept and design rules. This study proposes the class that can give the chance to infer mathematical principles by connecting mathematical fields by desig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