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시 전방천자의 유효성

        정민수,장우혁,Min-Su Chung,Woo-Hyok Chang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8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nterior chamber paracentesis in intravitre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IVTA).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on 30 eyes of 30 patients undergoing IVTA. Ey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ich had undergone anterior chamber paracentesis (Group 1, 15 eyes) and those which had not (Group 2, 15 eyes). We analyzed postoperative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in each group. Results: In group 1, the mean preoperative IOP was 15.33±1.72 mmHg; postoperative IOP at 2 and 15 minutes was 7.80±1.47 and 11.73±1.67 mmHg, respectively. In group 2, there was significant elevation of IOP (46.73±8.26 mmHg) 2 minutes after the injection, although this was reduced to the normal range (16.13±2.61 mmHg) within 15 minutes. Conclusions: Routine anterior chamber paracentesis seems to be inappropriate considering the brief elevation in IOP that immediately follows IVTA.

      • KCI등재

        기혼여성 시간제일자리의 상태의존성 (state dependence) 변화

        정민수 ( Min Su Chung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8 勞動經濟論集 Vol.41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시간제, 전일제 등 근로형태가 오래 지속되는지 아니면 근로형태간 이동이 활발한지를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 추정을 통하여 살펴보고, 최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태적 다항로짓모형(dynamic multinomial logit model) 추정결과 시간제와 전일제 상호간 이동성이 최근 낮아지면서 각 근로형태의 상태의존성은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시간제일자리는 전일제와 미취업 사이에서 근로형태간 이동을 활발하게 하는 디딤돌 또는 쉼터의 역할이 약화되고 전일제 외에 노동시장 참여 옵션을 제공하는, 전일제와는 구분된 추가적 일자리형태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tries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state dependence of the three labor supply choices (part-time, full-time, and the state of unemployed) in Korean married women's labor market by estimating the dynamic multinomial logit model based on MSL (maximum simulated likelihood) method. A component representing individual’s unobserved characteristics has been introduced, because it is crucial to control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in assessing the state dependenc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state dependences of the three alternatives have strengthened recently. Therefore, part-time job has become more likely to be functioning as an extra op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rather than a bridge(stepping stone) or shelter between unemployment and full-time job.

      • KCI등재

        Treatment of Dyrk1A-dependent Mental Retardation of Down Syndrome: Isolation of Human Dyrk1A-specific shRNA

        Min-Su Jung(정민수),Yeun-Soo Kim(김연수),Juhyun Kim(김주현),Joung-Hun Kim(김정훈),Sul-Hee Chung(정설희),Woo-Joo Song(송우주)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3

        다운증후군은 추가적으로 존재하는 인간염색체 21번에 위치한 유전자의 과발현으로 발병한다.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보이는 여러 증상들 중 학습과 기억능력 저하와 같은 뇌기능 저하는 다운증후군 환자가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인간염색체 21번에 위치하는 Dyrk1A는 신경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Dyrk1A를 과발현 하는 형질전환 생쥐에서 심각한 해마 의존적 학습과 기억 장애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Dyrk1A를 과발현 하는 형질전환 생쥐와 RNA interference (RNAi) 방법을 이용하여 endogenous mouse Dyrk1A의 발현은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exogenous human Dyrk1A 발현은 특이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인간 Dyrk1A 과발현에 의한 학습과 기억 능력저하를 회복시킬 수 있는지 동물모델에서 검증하기 위한 첫 단계로 인간 Dyrk1A 특이적 lentiviral short hairpin RNA (shRNA)를 발굴하였다. 발굴된 shRNA를 이용한 형질전환 모델생쥐에서의 증상의 회복 가능성 검증은 다운증후군의 뇌기능저하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Down syndrome (DS) results from overexpressed genes on an extra copy of human chromosome 21. Among various phenotypes seen in DS patients, mental retardation, such as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is a major factor that prevents DS individuals from leading fully independent lives. The Dyrk1A gene that plays a critical role in neurodevelopment has been isolated from chromosome 21, and transgenic mice with over-expression of Dyrk1A show severe hippocampal dependent learning and memory defects. In the present study, as an initial step to test the treatment of Dyrk1A dependent mental retardation phenotypes in model animals, we isolated human Dyrk1A specific lentiviral short hairpin RNA (shRNA) that inhibits the exogenous human Dyrk1A expression, but not the endogenous mouse expression in transgenic mice with human Dyrk1A overexpression. This limited and specific repression of exogenous human Dyrk1A will prove to be valuable information, if Dyrk1A dependent learning and memory defects in DS patients could be treated or at least ameliorated in vivo.

      • KCI등재

        Electrostatic Spray를 이용한 Synbiotic 소재 함유 곡류 팽화 제품 개발

        정민수(Min Su Jeong),오정현(Jeong Hyeon Oh),임청하(Chung Ha Lim),안준배(Jun Bae Ahn),이춘미(Chun mi Lee),정준영(Jun Young Jeong),김광엽(Kwang Yup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GABA를 함유하며 장내 미생물에 유익한 영향을 줄 수 있는 synbiotic 소재를 함유하는 곡류 팽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동정을 위해 API 50 CHL kit에서 당 발효실험을 진행하여 API web program에 입력한 결과 L. brevis로 판명되었으며, 정확한 species 확인을 위해 16s rRNA sequencing을 진행한 결과 L. brevis(I.D. 99%)로 동정되어 L. brevis CFM21로 명명하였다. 최적 생장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L. brevis CFM21을 MRS broth에서 배양한 결과 37°C, 24시간이었다. 균주의 GABA 생성량은 311.03 ㎍/mL였으며 전구체인 MSG를 0.8%(w/v) 첨가했을 때 926.42 ㎍/mL의 최대 생산량을 보였다.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실험결과 pH 2에서 내산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담즙산 내성은 확인되었다. 팽화 제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곡물 소재를 열수추출한 후 분리 균주와 배양하여 생육증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CLSM의 Z-stack 기능을 이용하여 곡물 소재에 균주가 부착한다는 것을 시각화하여 곡물 소재의 프리바이오틱스 특성을 확인하였다. 4종의 에센셜 오일을 10%(v/v)의 농도에서 paper agar diffusion method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Citrus sinensis oil을 선별하였으며, 5종의 균주에 대해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했을 때 C. perfringens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고 1.25%(v/v)를 장내유해균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농도로 선정하였다. 미강 추출물에 탄소원으로 dextrose 2%(w/v), 질소원으로 soytone 2.5%(w/v), 무기염류로 potassium chloride 0.2%(w/v)를 첨가하여 배지로 사용하였으며, 고농도 GABA 생산을 위해 MSG를 첨가한 결과 0.6%(w/v)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524.77 ㎍/mL로 가장 높은 GABA 생성량을 확인하여 최적화 배지로 사용하였다. 최적화 미강 배지에 L. brevis CFM21을 배양시켜 고농도의 GABA를 생산하였으며, 장내 유해균 억제를 위해 선별한 Citrus sinensis oil을 첨가하여 곡물 소재 팽화 제품에 적용하였다. Electrostatic spray 처리를 통해 팽화 제품에 적용한 결과 GABA 함량이 10.78 ㎍/g에서 112.10 ㎍/g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유익균 증진 활성을 지니는 곡물 소재를 이용한 팽화 제품에 electrostatic spray 처리로 L. brevis CFM21과 미강 배지를 통해 생산한 GABA 및 Citrus sinensis oil을 코팅함으로써, 장내 미생물 군총의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되는 synbiotic 기능성을 지닌 제품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ynbiotic materials and apply them to puffed grain products using electrostatic spraying technolog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selected through tests of acid resistance, bile-salt resistance,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The isolated Lactobacillus brevis CFM21 produced the highest GABA production up to a concentration of 926.42 ㎍/mL when grown in MRS broth containing 0.8% MSG. The possibility of coated grains as a prebiotic material was evaluated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Rice bran extract containing 2% dextrose, 2% soytone, 0.2% potassium chloride, and 0.6% MSG produced 524.77 ㎍/mL of GABA. Citrus sinensis oil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Electrostatic spray showed much higher effectiveness than conventional spray in coating the puffed grain product through CLSM. Applying a rice bran culture and Citrus sinensis oil to puffed grain product using an electrostatic spray can help promote the intestinal health of consumers.

      • KCI등재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설계 및 구현

        정민수(Min-su Jung),정상화(Sang-Hwa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9 No.6

        본 논문에서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카메라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적응적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내의 트래픽이 가장 집중되는 구간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수와, 중앙 모니터링 노드에서 카메라 노드까지의 홉 수 및 각 메쉬 라우터 노드의 채널 부하 값을 기반으로 카메라의 비디오 인코딩 대역폭을 알려줌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전체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혼잡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예방한다.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프레임 로스율이 9.6% 낮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트래픽의 변화에 따라 가용 대역폭에 맞게 비디오 스트림 대역폭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sign and evaluate Network-adaption protocol, a wireless mesh network architecture that can efficiently transport real-time video streams from multiple sources to the central monitoring node. The protocol is able to announce the existence of monitoring node in order to get routing information and channel-load value. Through routing information, central monitoring node can recognize the route of video streams and bottle-neck congestion in an interface. It calculates the available bandwidth and informs the video stream rate of each camera node. Our protocol can reduce the lost frame of video stream about 9.6 percentage and has flexible stream-rate with variation of traffic bandwidth.

      • KCI등재후보

        Advanced Surface Ablation-Photorefractive Keratectomy (ASA-PRK): 각막두께가 얇은 경중등도 근시안에서의 수술 효과 및 안전성

        이상범,정민수,Sang Bumm Lee,Min Su Chung 대한안과학회 2006 대한안과학회지 Vol.47 No.8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clinical outcome, and change in higher-order wavefront aberrations (HOAs) of Advanced Surface Ablation-Photorefractive Keratectomy (ASA-PRK) for the correction of mild to moderate myopia in cases with a thin cornea. Methods: ASA-PRK was performed, using a rotary epithelial scrubber, post-laser chilled BSS? irrigation, and bandage contact lens, in 127 eyes of 70 patients who had a pre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within -7.0 D and who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six mont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by ultrasonic pachymetry (Group Ⅰ: CCT≤520 ?m, 32 eyes, mean 506.6±8.6 ?m; Group Ⅱ: CCT>520 ?m, 95 eyes, mean 552.3±24.8 ?m). The clinical outcomes of Group Ⅰ and Ⅱ were compared. Results: At six months, 100% of Group I (32/32 eyes) and 93.7% of Group II (89/95 eyes) had an UCVA of 1.0 or better (p>0.05). At six months, a spherical equivalent within 0.5 D of emmetropia was observed in 100% (32/32) of the eyes in Group I and in 94.7% (90/95) of the eyes in Group II (p>0.05). At the 12-month follow-up, all eyes showed good stability of the refractive errors, and none showed corneal haze of grade 1 or more, loss of two or more lines of BSCVA, or serious iatrogenic keratectasia. The magnitude of total HOAs, spherical ablation, and coma were significantly higher six and 12 months after surgery in both groups (p<0.05). The postoperative changes in the HOAs at six and 12 month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0.05). Conclusions: ASA-PRK performed o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myopia and a thin cornea (≥ 490 ?m) showed a high level of efficacy, predictability, stability, and safe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gically induced HOAs between Groups I and II. The authors suggest that ASA-PRK be used for the correction of mild to moderate myopia, especially in cases with a thin cornea.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safety of this procedure for thinner corneas in surface keratorefractive surgery.

      • KCI등재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김기승 ( Gi Seung Kim ),정민수 ( Min Su Chung )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2013 경제연구 Vol.31 No.2

        지방의 인적자원의 유출은 지역경제의 활력을 떨어트리고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부산지역의 인력유출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유출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가를 실증분석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인적자원 유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의 전략을 모색한다. 분석결과, 수도권으로의 인력유출이 대학진학을 위해 그리고 대학졸업 후 취업을 위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래소득(임금)이 고용가능성 보다는 더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인적자원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지방 중소기업의 초임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고급 인적자원을 위한 별도의 정보관리 및 중개시스템 구축을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The economic vitality and growth potential could be weakend by the out-migration of the human capital of the regional area.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trends of the out-migration of the human capital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and try to find out the determainants of the human capital migration. In addition to these, we suggest the soulution to the problems caused by the out-migration in the area and reduce the out-migration rates. Some of the main results are the first out-migration are caused when they are highschool graduates entering college and the second trend occured when they are trying to get a job. The main determinant was the future income (i.e., wage) rather than the employability. To reduce the high rate of out-migration, the regional government would do better to support the real wage of small size enterprise of the area. And also, the government would do better to establish a center for job matching for the job-seeker and the job vacancy for the high quality human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