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선생예설분류(五先生禮說分類)』의 편차와 그 의의

        정경주 ( Kyeong Ju Ju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이 글은 한강 정구의 저술인 『오선생예설분류』의 당초 편찬 과정과 편차를 중심으로 이 책의 편찬 의도를 살펴봄으로써, 이 책의 편찬 의의를 밝히고, 한국예학사에서 이 책이 가지는 중요성을 천명하려는 의도에서 집필되었다.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선생예설분류』는 宋代 道學者들에 의하여 제기된 禮學 이론과 그들에 의하여 講究된 각종의 禮制에 대한 논의를 체계적으로 集成 分類 정리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예학 논의와 연구의 바탕을 마련한 책이다. 이 책은 가정의 의식 표준을 제안하는 데 그친 『주자가례』의 정해진 體例와는 달리, 국가의 儀典과 가정의 儀式을 冠婚喪祭와 雜禮라는 하나의 통일된 체계로 분류함으로써, 가정의례와 국가의 典禮를 통합하는 예학체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고에서는 이 책이 송대 성리학자들의 예설을 분류 정리함으로써 성리학자들의 예학 관점과 예설 取捨의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조선예학의 학문논의의 전환점을 여는데 무엇보다 중대하게 기여하였다는 데 주목하였다. 이 책은 『가례』에 명시되지 않은 주자의 예설과 『가례』의 내용을 비교 검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자 예학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주자가 『가례』를 편찬한 본디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주자의 평소 또는 晩年 定論에 의거하여 『가례』를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주자가례』의 관혼상제 세부 節次와 器物 규정의 해석에 골몰하였던 당시 학자들에게 예학을 통한 修齊治平의 이상 실현이라는 예학 實用의 시야를 열어줌으로써, 조선후기 예학 담론의 수준을 끌어올려 禮書 편찬과 예학 논의의 새로운 典範을 보여줌으로써 예학 논의의 시야를 확대하고 그 정밀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The book named as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cholars` comments about Li-xie in Song dynasty[五先生禮說分類]」, was one of the innovative writings for Li-Xie in Joseon dynasty. That was written by Han-gang[寒岡] Jung-gu[鄭逑], one of the famous Li-Xie scholars. This book contains nearly every major statements of the five scholars such as Zhang-zai[張載], Cheng-hao[程顥], Cheng-Yi[程이], Si-ma Guang[司馬光], and Zhu-Xi[朱熹] in Song[宋] dynasty, for rituals. Jung-gu[鄭逑] classfied it into five chapter, such as Coming-of-age ceremony[冠禮], wedding[昏禮], funeral rites[喪禮], ancestral rites[祭禮], other manners[雜禮]. And there are such comments about family ritual[家禮], ritual of school[學校禮], community ritual[鄕禮], ritual of contries and kingdoms[邦禮], court ritual[王朝禮] and etc in the book. Due to this, many scholars suspected it that has received the main impact of the book, 「The conprehensive Exegesis of the text and commentaries on the Yi-Li[儀禮經傳通解]」, written by Zhu-Xi[朱熹]. In this paper, I do demonstrate the mistakes of that argument, and I point out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as designed to provide methods and principles in the study of Li-xie[禮學] for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of that were the principles of propriety[義起之禮], and the etiquette to follow the changing times[禮從時].

      • KCI등재

        녹농균 임상균주의 쿼럼 센싱 관련 표현형 분석

        정경주,최유상,하창완,신정환,이준희,Jung, Kyung-Ju,Choi, Yu-Sang,Ha, Chang-Wan,Shin, Jeong-Hwan,Lee, Joon-Hee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3

        그람음성 간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비뇨기, 결막(conjunctiva), 호흡기(respiratory system), 화상부위 등에 광범위하게 감염하며, 병원성의 발현에 세균의 세포밀도 인식기전인 쿼럼 센싱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진 기회감염성 병원균이다. 국내의 환자들에게 감염하는 녹농균에서 쿼럼 센싱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백병원의 환자들로부터 189종의 녹농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 임상 균주들에서 쿼럼 센싱 신호 물질의 발현을 리포터 균주를 이용한 고체 배지 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임상 균주의 79.4%가 녹농균 야생형균주와 비슷하게 쿼럼 센싱 조절의 가장 상위 신호인식-조절단백질인 Las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키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반면 4.2% 정도는 신호물질을 합성하지 못하는 녹농균 돌연변이주와 비슷하게 Las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한편, 전체의 72.5%가 또 다른 쿼럼 신호인식-조절 단백질인 Qsc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야생형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한 반면, 9%가 Qsc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임상 균주들 중 특히 녹농균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서 유래한 74종을 선정하여 병독인자로 중요한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44.6%에서 프로테아제 활성이 낮아져 있었으며, 12.2%에서는 프로테아제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같은 균들을 대상으로 만성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물막 형성 능력을 확인하였을 때, 대부분이 야생형보다 생물막 형성능력이 떨어져 있었다. 또한 이 균주들의 운동성을 살펴본 결과 많은 균주들이 swarming과 twitching 능력이 저해되어 있었으며(전체의 51.4%가 reduced swarming activity, 전체의 41.9%가 reduced twitching activity), 관찰되지 않는 수준의 균주도 상당부분 있었다(전체의 28.4%가 swarming negative, 전체의 28.4%가 twitching negative). 본 연구결과는 쿼럼 센싱을 정상적으로 하는 임상 균주들 중에서도 상당 부분은 프로테아제 생성, 생물막 형성, 운동성 등의 특징들이 저해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일부 임상 균주들은 그들의 쿼럼 활성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독특한 패턴의 프로테아제 생성능과 생물막 형성능 및 운동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aeruginosa is a Gram (-)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causing a wide variety of infections on lung, urinary tract, eyes, and burn wound sites and quorum sensing (QS), a cell density-sensing mechanism plays an essential role in Pseudomonas pathogene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QS in the Pseudomonas infections of Korean patients, we isolated 189 clinical strains of P. aeruginosa from the patients in Pusan Paik Hospital, Busan, South Korea. The QS signal production of these clinical isolates was measured by signal diffusion assay on solid media using reporter strains. While most clinical strains (79.4%) produced the QS signals as similar level as a wild type strain, PAO1 did, where LasR, the initial QS signal sensor-regulator was fully activated, a minority of them (4.2%) produced much less QS signals at the level to which LasR failed to respond. Similarly, while 72.5% of the clinical isolates produced QS signals enough to activate QscR, an another QS signal sensor-regulator, some few of them (9%) produced the QS signals at much lower level where QscR was not activated. For further analysis, we selected 74 clinical strains that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under suspicion of Pseudomonas infection and investigated the total protease activity that is considered important for virulence. Interestingly, significant portion of them showed very low protease activity (44.6%) or no detectable protease activity (12.2%). When the biofilm-forming ability tha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chronic infection was examined, most isolates showed lower biofilm-forming activity than PAO1. Similarly, significant portion of clinical isolates showed reduced motility (reduced swarming activity in 51.4% and reduced twitching activity in 41.9%), or non-detectable motility (swarming-negative in 28.4% and twitching-negative in 28.4%). Our result showed that the clinical isolates that produced QS signals at the similar level to wild type could have significantly reduced activities in the protease production, biofilm formation, and motility, and some clinical isolates had unique patterns of motility, biofilm formation, and protease production that are not correlated to their QS activity.

      • KCI등재후보

        5-Fluorouracil, Leucovorin과 병용 투여된 Oxaliplatin의 Dose Intensity가 재발된 전이성 대장암 치료에 미치는 영향

        정경주,최승기,오정미,Jeong, Kyong-Ju,Choi, Seung-Ki,Oh, Jung-Mi 한국임상약학회 2004 한국임상약학회지 Vol.14 No.1

        Studies of oxaliplati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in pretreated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howed that oxaliplatin dose intensity is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objective response rates and progression-free-survival (PFS). To evaluate response rates, PFS and toxicity according to oxaliplatin dose intensity,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from patients with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received oxaliplatin,5-fluorouracil, leucovorin regimens. Sixty-three patients were reviewed in this study, 42 patients received low dose intensity oxaliplatin (LDI: $\leq85\;mg/m^2/2wks$) and 21 patients high dose intensity oxaliplatin (HDI: $>85\;mg/m^2/2wks$). Objective responses occurred in 10 $(47.7\%)$ HDI patients and 9 $(21.4\%)$ LDI patients (p = 0.014). Median PFS was 24.7 weeks in HDI group, with $45.1\%$ of HDI patients progression free at 6 months, and 20.5 weeks in LDI group, with $33.5\%$ of LDI patients progression free at 6 months (p = 0.344). Increased oxaliplatin dose intensity was not associated with neutropenia, thrombocytopenia, neuropathy, nausea and vomiting. This study showed that oxaliplatin dose intensification significantly improves objective response rate in pretreated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without increasing severe toxicity.

      • KCI등재

        性齋 許傳의 士儀 禮說에 대하여

        정경주(Jung.Kyung-j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조선 말기의 학자 許傳의 禮學 학설을 정리한 것이다. 그의 예학 이론에 관한 학설은 그가 저술한 『士儀』21권에 잘 나타나 있다. 성재 허전은 조선 후기의 실용적 학풍을 계승한 학자이다. 그는 그보다 앞시대의 眉嫂 許穆과 星湖 李瀷 등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선배들의 실용적 학문 노선은 그에게 많은 영향을 남겼다. 조선후기의 학자들은 주희가 저술한 朱子家禮를 교조적으로 준수하였다. 사회 윤리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그들은 주자가례가 최선의 도덕규범이라 믿었다. 그들은 그 책의 주장이 모두 정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許傳은 주자가례를 완성된 저술이라고 믿지 않았다. 그 책에는 여러 가지 일치하지 않는 모순들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고 보았다. 허전은 예학의 중요한 목표가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는 데 있음을 주목하였다. 허전은 학문의 중요한 과제가 인간관계의 원만한 구현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그의 저술 사의에서 冠婚喪祭의 절차를 다양하고 깊이 있게 고찰하였다. 그는 그 학설의 근거를 고대의 儀禮經傳에 찾고, 당대의 국가 제도와 민간의 관습을 참작하였다. 예컨대 收養母服에 대한 성재의 학설은 매우 독특한 것이다. 조선 왕조의 학자들은 가례의 예학 이론에 대하여 수많은 논의를 전개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허전은 종합하여 검토하였다. 허전은『士儀』를 통하여 이런 학설들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출하였다. 이러한 성재의 학설은 조선 말기 예학의 건실한 면모를 잘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arrange the courtesy scriptures theory[禮學] of a scholar Hujun[許傳] of the end of Chosun[朝鮮]. The courtesy scriptures theory of the Hujun appears well in his Saui[士儀] which he writes. He was one of the scholar to succeed practical academic traditions of Chosun latter tenn. He succeeded the study of the back of Sungho[星湖] than him with the Misu[眉嫂] of the period of the front. Practical study route of seniors left many influence to him. The scholars of Chosun latter term observed Gare[家禮], that is a kind of famous courtesy classics writing which the Juheui[朱熹] writes, to the founder of religion. They believed in maintaining a society ethics that Gare was a best’s morality rule. They the contention of the book has all just basis. But Hujun did not believe that Gare was the writing to be accomplished. In the book, various contradictions not to agree are existing variously. Hujun paid attention to that there is most important subject of the study of the courtesy scriptures theory even though it establishes perfect human relation. He considered the procedure of the rite variously in his writing with the coming-of-age ceremony with a wedding ceremony funeral services. He was the basis of the theory in the scriptures of the ancient the withdrawal. And he valued with a nation system of the day highly the custom of the private. For example the theory of mourning dress about the adopted son and the foster-mother of the Sungjae is very peculiar. The scholars of Chosun dynasty exploded many discussion about the wrong theories in Gare. Hujun put together and examined such problem. Hujun criticized many theories and submitted fit conclusion through Saui[士儀]. Such Hujun’s theory shows steady countenance of the study of the courtesy scriptures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조선조 禮樂文明과 점필재 金宗直의 위상

        鄭景柱(Jung Kyung-J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조선 초기 문화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점필재 김종직에 대하여 세간에 제기되고 있는 두 가지 문제를 변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세상에는 간혹 道學者로서의 점필재의 위상을 의심하거나 부정하고 또 그의 문학에서 당대의 훈구문인들과 대립되는 특성을 찾기가 어렵다고 논하는 사람이 있다. 점필재가 조선조 사상사에 있어서 道統의 전수자로 운위되는 것은 그가 시서예악과 孝悌忠信의 도리를 통하여 문명사회를 건설 한다는 조선 초기 성리학의 신념을 충실하게 이어받아 『小學』과 『家禮』를 실천하고 전수한 데서 말미암은 것이고, 그의 문학 또한 학문 수양으로 배양된 굳건한 역사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인간과 자연에 대한 갚은 통찰과 애정을 담은 典雅하고 雄建하면서 사실성이 풍부한 문예미를 창출하여 훈구파는 물론 다른 시대의 다른 작가에서 보기 어려운 독특한 국면을 보여 주었다. 도학자로서의 그의 위상과 사림파로서의 그의 문학적 특성은 서로 갚은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15세기 후반기 당대의 시대정신을 보여주는 표상이다. 그러므로 이 두 측면은 모두 점필재 김종직 문학의 특성으로 정당하게 평가되어야 마땅하다 This paper, I tried to realize discussion about two problems about the status of Jeompiljae[?畢齋] Gimjongjik[金宗直] who dominates important weight in literary history in beginning of Chosun Dynasty. Today, there are such scholars who deny Jeompiljae"s status as a neo-confucianist, and that he was no characteristic that is compared with other writers in same age. But, Jeompiljae was the most faithful neo-confucianist in latter term of 15th century in Chosun Dynasty, and he educated great many scholar who practice confucianism seriously. Therefore he was spoted as orthodox acceder who inherit confucianism in the front age. He executed Garye [家禮] that Zhu-Xi[朱熹] wrote to guide ritual standards, and he observed Sohak[小學] that Zhu-Xi writes to educate morality for children. Lyrics and epics that he wrote were famous in his age by that is very impressive and aesthetic superiority. His literary works are very excellent in side of moral sense of values. As confucianist as well as the most excellent poet in Chosun Dynasty, his fame can say that is involved deeply with the literary moral superiority. Moral superiority of his lyrics and proses originated in sincere practice of confucianism.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機張의 人文 位相과 인물

        Jung Kyeong Ju(鄭景柱)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기장은 예로부터 고을의 규모가 작아 기장에 관련된 문헌 기록은 다른 고을에 비하여 매우 엉성하다. 이 글에서는 기장의 인문 사적, 특히 기장 출신의 인물과 관련된 몇 가지 문헌 자료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기장 문화의 한 특성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삼국사기』의 거도(居道) 일화의 장토야(張吐野)와, 『삼국유사』의 영취사(靈鷲寺) 일화에 나오는 굴정현(屈井縣)이 기장의 옛 지명일 가능성이 있으며, 차성(車城)과 기장(機張) 및 갑화량곡(甲火良谷)이 여기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에 편찬된 기장읍지의 기록으로 보면, 기장의 사회 경제적 조건이 동남 지역 다른 고을에 비하여 그리 나은 편은 아니지만, 근검 질박한 풍속으로 독득한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 기장에서는 17세기의 학자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에 연원을 두고 월천(月泉) 신오(辛澳)와 그 문도들로 이어지는 하나의 학맥이 있었으며, 그 학문과 문학의 기풍이 19세기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오정일고』와 『월천일고』 및 심노숭(沈魯崇)의 『남천일록』과 신광호(辛光浩)의 『풍월축』 및 김봉희(金鳳喜)의 『碧梧集』 등의 문헌으로 확인하고 연관된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장의 독특한 인문 정신과 그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대적인 문헌 발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 토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In this essay I introduce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County Gijang[機張郡] in Korea, and introduced some major historical characters in that area. First, I pointed out that Chaseong[車城] the old name of County Gijang[機張郡] have derived from Temple Chwijeongsa[鷲井寺]. Next, I pointed out th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County Gijang was reportedly very frugal and hardworking as that appears in many old books and documents. Gim-Banghan[金邦翰], Sin-Oh[辛澳], Sim-Nosung[沈魯崇], Sin-Gwangho[辛光浩], Gim-Bonghui[金鳳喜] and other important figures are included in there. Next I introduced several figures who lived in that area. Finally, to define the loc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unty Gijang[機張郡], we need more close collection of literature in there.

      • KCI등재

        청옹 이명기의 생애와 문학

        정경주 ( Gyung Ju Ju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2 No.-

        청옹 이명기는 17세기 후반 숙종조 조선왕조의 사대부들 사이의 당쟁이 격화되고 있었던 시기에, 중앙정부의 정치권력에서 점차 더욱 멀리 소외되 고 있었던 밀양 사림을 대표하였던 인물의 한 사람이다. 그는 임진란 전후로 밀양의 내진리에 정착한 벽진이씨의 후예로서, 한강 정구 및 여헌 장현광의 학문 연원에 접속하였던 부형들이 전수한 家學을 토대로 학문을 성취하고, 부형들로부터 이어진 世交를 이어받아, 과거를 통하여 중앙정부의 관직에 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25세의 젊은 나이에 진사가 되었는데, 집안의 喪故와 경신환국과 임술고변, 기사환국, 갑술환국 등 더욱 격화되어가는 당 쟁의 와중에 到記科에서 直赴會試의 은전을 받았지만 실현되지 못하였고, 예순이 넘은 만년에 문과에 급제하였지만 그 또한 관직에 임용되지 못한 채 로 별세하였다. 나는 이 글에서 청옹의 생애 전 과정이 숙종조의 당쟁이 격화된 시점과 맞 물려 있음을 주목하고, 그 생애 이력의 파란이 당쟁과 관련이 있음을 방증하 는 한편, 당쟁의 시대에 지방 학교의 건설과 교육에 종사하였던 지방 사림의 역할과 그 시문의 문학적 성취와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려고 하였다. 이를 위 하여 『청옹문집』에 실린 시문을 개관하는 한편,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시문 십여 건을 찾아내어 그 내용을 소개하였고, 또한 청옹의 시문은 시어가 平順 하고 義理가 雅正하다는 기왕의 논평을 기반으로, 이와 관련됨직한 몇몇 시 문을 예로 들어 그 의미와 의의를 유추하여 논증하고, 산문으로 「紅紙說」 한 편을 분석하여 당대의 인재등용에 대한 풍자의 의의와 小品文으로서의 의의 와 특징을 논하였다. The fortunes of certain areas and a family often depends on the activities of the special characters, such as an educator and scholar, or politician or religion, etc. Such trends are more evident in the 17th century Joseon society. Such as one of the typical example, Byeokjin-Lee(碧珍李氏) family in Mil-yang[密陽] area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cases. Cheong-Ong(聽翁) Li-MyeonGi(李命夔) was one of the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in the Mil-yang area of early 17th century Joseon-Dynasty. He inherited learning from his father and his uncles, and he has passed twice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owever, the Joseon dynasty was never appointed him as a bureaucrat. That`s because of factional fighting that was so have severe in the end of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As like his father and his uncles, he belong to a Party of South[南人], and the party was then excluded in the core of political power of King Sukjong`s royal court[肅宗朝]. During most of his life, he has devoted himself to educ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local school in his hometown. In this paper, I explained a summary for his life, and I offered here a list of his works that I founded out some of his works that had been missing and forgotten in his collection of works. And I pointed out some particular points of his poems which appeals to the imagination. In conclusion, my assessment for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his poems is as follows. His poems had been depicted the rural life very comfortably with very plain and easy words. His poetry is well described the delicate moral sensibilities that include the love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the friendship between brother and brothers. I think that was one of the way of self-expression, that had been frustrated by the intense political parties conflict reflection of An excuse for passing certificatewhich lasted in his lifetime.

      • KCI등재

        기획논문: 경상우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학단(學團)을 중심으로 :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학문 사상과 그 학술사적 위상

        정경주 ( Gyung Ju Ju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1 No.-

        성재 허전은 조선 말기에 활동한 성호학파의 후기 실학자로서 조선말기 유학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인물이나, 지금까지 그다지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제출된 성재에 대한 저술과 논문을 토대로, 성재의 학문과 사상 행적과 관련된 주요한 논점 다섯 가지로 요약하고 관련 제설을 검토하여 비판하여 그 학술사적 위상을 논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이렇다. 성재 허전은 조선말기 성호학맥을 계승하여 수많은 문도를 받아들여 성호학의 저변을 확대시키고, 정상우도 일원에 침체되었던 학풍을 크게 진작시켰으며, 당대에 빈발한 민란과 관련하여 전체개혁을 위한 항산전론을 창안하여 제기하였고, 한편으로 「종요록」을 저술하여 증민사상에 입각한 경학의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성호 순암을 거쳐 형성된 주체적 역사인식 하에 침략적 외세를 배격하고 서학을 배척하면서 자국의 국체와 문화를 보존하려고 하였다. 그는 위기의 시대를 당하여 경세치용의 실학 정신을 실천하고, 그 저변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으므로 宏博과 應用救時의 經世致用을 증시하는 성호학통을 충실하게 계승 전파한 후기실학자라 함이 합당하지, 성호학의 실학적 관심에서 벗어나 道學에로 복귀하였다는 일부의 논평은 적절치 않다. Seong-jae[性齋] Heo-jeon[許傳] is an eminent scholar in the end of Joseon Dynasty. He succeeded to the study by Seong-Ho[星湖] Lee-Ik[李瀷], and also became the most successful scholars in the school of Seong-Ho[星湖] who was most famous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Until now, many scholars have presented papers that discussed his ideas and learning quite a lot. However, the evaluation of his academic achievements have been made of the somewhat conflicting views. In this paper, I summarize it into five different issues, and I criticized their comments through fact-based empirical demonstration, and there I drew five conclusions. First, he is the most faithful successor for Seong-Ho School[星湖學] that called as Silhak[實學]. He is the only successor of Seong-Ho School, and his educational influence was carried out of numerous followers. The followers published books of their masters, and contributed to spread their ideas inherited from their predecessors. Second, he was an innovative theorist who argued that land reform based on the equal redistribution of farmland, which was called as Hangsanjeon[恒産田]. In this regard, he chose to compromise far more effective than his predecessors. His point of view is well expressed in Jongyorok[宗堯錄] and Samjeongchaek[三政策] that was some of his notable writings. Third, as a result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he argued that some sort of citizen sovereignty that proposed national politics for the king. Although his views on the country`s political institutions have not escaped from medieval kingship, the idea of his conception of politics for the people is obviously modern than the previous confucian scholars in his age. Fourth, he considered imperialist military aggression as an evil, and this, he was strongly rejected. Because of that, his followers against the foreign forces actively struggle for their national independence. Fifth, his studies on the rules of propriety [禮學] well compromise the important issues that spent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preceding period, and presented the new and unique views. That was published in name as Sa-Ui[士儀] that`s one of his notable wri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