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의 정신건강 현황과 정책 과제

        전진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보건복지포럼 Vol.283 No.-

        이 글에서는 아동의 정신건강 현황을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과 불안 및 공격성, 자살생각, 문제적 게임 이용률을 통해 살펴보았다. 아동의 정신건강은 아동의 성별,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며, 아동이 속한 가구의 소득 수준, 가구 형태 등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인다. 특히 취약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가진 아동일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낮게 나타난다. 아동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예방과 더불어 취약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가진 아동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개입과 예방이 필요하다. 또한 이 글에서 살펴보지 못한, 아동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아동 정신건강 문제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근거에 기반해 지원하기 위해서는 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에 대한 분석 역시 필요하다.

      • KCI등재

        기부 캠페인 목표 달성 수준이 기부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 해석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전진아,조연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oal progress of a donation appeal and the individual's self-construal on the attitude toward donation appeal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donation. Specifically,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compatible with promotion focused goals showed a higher positive attitude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need-focused appeal (vs. bandwagon appeal). Conversely,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compatible with prevention focused goals showed a highe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bandwagon appeal (vs. need-focused appeal).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donation research by considering self-construal as a psychological variable, along with the type of donation appeal, and provides guidelines to marketers of non-profit charity organizations.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의 목표 달성 수준과 개인의 자아 해석간의 적합성이 기부 캠페인 및 기부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기부 캠페인은 목표 달성 수준에 따라 목표 달성의 초기 단계로 많은 도움이 필요한 유형인 need-focused appeal과 이미 많은 참여를 하여 목표 달성의 후기 단계를 의미하는 bandwagon appeal로 나눌 수 있다. 조절 초점 연구에 따르면 목표 추구 단계에 따라 활성화되는 초점이 다른데, 목표 달성의 초기에는 향상 초점이 활성화되는 반면, 목표 달성의 후기에는 예방 초점이 활성화된다. 자아 해석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것으로,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으로 자신을 정의하는 독립적 자아 해석과 타인과의 관계과 사회적 맥락 속에서 자신을 정의하는 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자아 해석은 문화적으로 양성되지만, 상황이나 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활성화되기도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양립하는 조절 초점이 다른데, 독립적 자아 해석을 하는 사람들은 향상 초점의 성향이 강한 반면, 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을 하는 사람들은 예방 초점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의 유형이 기부 캠페인에 대한 태도와 기부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의 자기 해석이 조절할 것으로 예상했다. 구체적으로 성공, 달성을 중요시하는 독립적 자아 해석 집단에게는 향상 초점과 양립하는 목표 추구의 초기를 의미하는 need-focused appeal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더 높은 기부 참여 의사가 나타날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반대로 책임과 의무 등을 중요시하는 상호의존적 자아 해석 집단에서는 예방 초점과 양립하는 목표 추구의 후기 단계를 의미하는 bandwagon appeal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더 높은 기부 참여의사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문화적으로 양성된 자아 해석과 기부 캠페인 유형의 상호 작용 효과가 기부 캠페인에 대한 태도와 기부 참여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1), 이러한 효과는 점화 작업을 통해 일시적으로 자아 해석을 활성화했을 때에도 (실험 2)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의 유형과 함께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 변수로 자아 해석을 고려함으로써 기부 관련 연구에 실증적으로 기여하였으며, 비영리 기부 단체의 마케터들에게 기부 캠페인 유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수행동이 중학생의 동기조절과 과제참여에 미치는 효과: 기본욕구이론 관점

        전진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teaching behavior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the psychological needs, motivational regulation, and task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within Basic Need Theory (Deci & Ryan, 2000). Methods Participants were 485 students (321 males, 164 females) from three middle school in Korea.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eaching behaviors, need satisfaction-frustration, motivation, and task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esting the hypotheses. Result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student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the psychological needs and autonomous-controlled regulation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need supportive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lso student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the psychological needs and autonomous-controlled regulation nega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need controlling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effects of teachers’ need supportive and controlling teaching behaviors on task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via student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the psychological needs and autonomous-controlled regulation were invariant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Conclusions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need-supportive teaching behavior is more important for students’ task engagement behaviors in the fulfillment of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본욕구이론(Basic Need Theory; Deci & Ryan, 2000)을 체육수업에 적용시켜 중학생들의 자율성과유능성, 관계성에 대한 심리적 욕구의 만족과 좌절 및 동기조절이 지각된 교수행동과 과제참여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 남녀 집단 간의 교차 타당도를 평가하는데 두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3개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485명의 학생들(남학생=321명, 여학생=164명)이었다. 조사도구는지각된 욕구지지-통제 교수행동, 기본욕구만족-좌절, 동기조절 및 과제참여를 측정하는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1) 중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좌절과 자율적-통제적 동기조절은 체육교사의 욕구지지 교수행동과 과제참여 간의 관계를정(+)적으로 부분매개의 역할을 한다. (2) 중학생들의 지각된 욕구통제 교수행동은 심리적 욕구만족-좌절과 자율적-통제적 동기조절을 통해 과제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체육시간에 지각된 교사의 욕구지지-통제행동이 욕구만족-좌절과 자율적-통제적 동기조절을 통해 과제참여에 미치는 효과는 남녀 중학생들 간에 차이가 없다. 결론 본 결과는 체육교사가 중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과제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자율적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관계성 및 유능성에 대한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교수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아동의 학교생활: 학교생활 만족도, 비행 및 폭력경험 실태를 중심으로

        전진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보건복지포럼 Vol.220 No.-

        본 원고는 2013년에 실시된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 비행행동, 사이버 폭력을 포함한 학교폭력에 초점을 두어 리뷰하고 재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아동의 학교생활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의 전반적인 학교생활 만족도는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으나, 약 10%의 아동이 하나 이상의 비행행동을 경험하고, 약 30%의 아동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이들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예방 및 치료·치유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비행 문제 감소를 위한 온라인 메타버스 형식 기반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

        전진아,배성훈 한국발달지원학회 2024 발달지원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비행 청소년의 비행 행동 감소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온라인 메타버스 형식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메타버스 내에서 진행할 수 있는 중학생용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기존에 개발된 오프라인 중학생용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와 비교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내 중학교에서 비행 문제로 의뢰된 60명의 남자 청소년이다. 청소년들은 실험집단인 온라인 메타버스 형식 기반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에 30명, 비교집단인 기존 오프라인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에 무선적으로 배정되었다. 집단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행행동,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정서조절능력을 각 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정서조절능력이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비행행동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집단 프로그램 만족도가 비교집단의 만족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메타버스 형식 기반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이 기존의 오프라인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메타버스 형식 해결 중심 집단 프로그램은 기존의 오프라인 프로그램보다 공간 제약 문제와 경제성과 흥미도 면에서 이점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in a metaverse format to reduce delinquent behavior and improve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among middle school delinquents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 To this end, a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t can be conducted within an online metaverse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 previously developed offline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male adolescents who were referred to a middle school in Chungcheongbuk-do for delinquency. Thirty adolesc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 online metaverse based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and 30 to the comparison group, an existing offline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 delinquent behavior,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group program.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social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regulation in all groups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delinquent behavior.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the group therap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nline metaverse based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is a viable substitute for traditional offline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Online metaverse based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may have advantages over traditional offline group program in terms of space constraints, affordability, and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