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물의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 : 시스템 구축 및 기초성능 평가

        전준용,박기태,이진옥,허광희,이우상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2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의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프로토타입 (Prototype) AMD 시스템을 결합하여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구성된 제어시스템의 기초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MEMS 센서 소자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기반의 무선 가속도 센서 유닛, 실시간 가속도 응답획득 및 제어법칙에 근거한 제어출력을 구현하도록 구성한 운영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AC 서보모터를 이용해 기동되도록 설계한 프로토타입 AMD 및 모터 드라이버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이용해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2층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의 진동제어 실험을 수행하여 목적된 구조물의 진동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형 구조물의 1차 및 2차 공진주파수 그리고 랜덤주파수 등의 실험조건에서 명확한 진동저감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국적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AMD 시스템이 향후 여타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real-time feedback vibration control of building structures. The study developed a wireless acceleration sensor system based on authentic technology capacities, to integrate with the Prototype AMD system and ultimately construct the feedback vibration control system. These systems were used to evaluate the basic performance levels of the control systems within model building structur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first developed a wireless acceleration sensor unit that integrates an MEMS sensor device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lso, the study developed an operating program that enables control output based on real-time acceleration response measurement and control law. Furthermore, the Prototype AMD and motor driver system were constructed to be maneuvered by the AC servo-motor. Eventually, all these compositions were used to evaluate the real-time feedback vibration control system of a 2-story model building, and qualitatively measure the extent of vibrational reduction of the target structure within the laboratory validation tests. As a result of the tests, there was a definite vibrational reduction effect within the laboratory validation tests. As a result of the tests, there was a definite vibrational reduction effect within 1st and 2nd resonance frequency as well as the random frequency of the model building structure. Ultimately, this study confirmed the potential of its wireless acceleration sensor system and AMD system as an effective tool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ive vibration control of other structures.

      • KCI등재

        LCCA 및 LCA 분석을 이용한 오피스 빌딩에 지능형 대기전력제어시스템 도입의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전준용,이석중,최혜미,김경환,김주형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6 No.2

        Recently,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defects of quiescent power shutdown system, smart quiescent power controlsystem has been developed. However, due to its higher investment costs, feasibility evaluation must be conducted. While LCCA (Life Cycle Cost Analysis) model is useful to estimate net savings of alternatives that differ with respectto initial costs and operating costs, the environmental burdens are not considered. On the contrary, LCA (Life CycleAssessment) model is suitable to assess environmental impact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a product’s life but itdoes not consider costs.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smartquiescent power control system is conducted by using LCCA and LCA model. In addition, sensitivity analysis iscarried out to quantify accuracy of estimates. 기존의 대기전력차단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지능형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기존의 시스템 보다 투자금액이 높은 문제로 도입에대한 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CCA및 LCA를 이용하여 경제적 측면 및 환경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결과의149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고효율 전동기를 다중이용시설 환기설비에 도입하기 위한 LCCA 및 LCA 분석

        전준용,최수호,권태환,최혜미,김주형,김재준,Quan, Junlong,Choi, Sooho,Kwon, Taehwan,Choi, Hyemi,Kim, Juhyung,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6 No.4

        다중이용시설의 환기부문 에너지소비량이 전체 에너지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40%로서 상당히 크다. 환기설비분야의 에너지절약방안으로는 주동력원이자 주요에너지소비원인 전동기를 고효율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인버터를 이용한 가변운전을 통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이런 방안들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설비보다 높은 초기투자비가 필요하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경제성평가가 요구된다. 경제성평가 방법으로 생애주기동안 지출되는 모든 비용을 예측하는 LCCA(Life Cycle Cost Analysis)가 적절하지만 LCCA는 분석내용이 단순 비용절감측면에 치중되어 있어, 환경영향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환경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LCA(Life Cycle Assessment)있지만 이는 주로 건축물에만 사용되어왔고 또한 환경적인 측면만 치중하여 경제적은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CCA 및 LCA를 이용해 경제적 측면 및 환경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다중이용시설 환기설비에 고효율 전동기 도입의 타당성 검토를 진행하고자 한다.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in air ventilation systems of public facilities accounts for 40% of their total energy consumption. To reduce their energy consumption, applying variable speed operation controlled by an inverter with a high-efficiency motor is suggested. Since these methods require higher initial investment costs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s, economic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While LCCA(Life Cycle Cost Analysis) model is useful to estimate net savings of alternatives that differs with respect to initial costs and operating costs, the environmental burdens are not considered. On the contrary LCA(Life Cycle Assesment) model is suitable to assess environmental impact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a product's life but it does not consider costs. In this study, the high-efficient motors are introduced into the air ventilation system of a subway station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proposed method is conducted by using LCCA and LCA model.

      • KCI등재

        칩브레이크 선정을 위한 Taguchi방법의 적용

        전준용,고태조,김희술 한국공작기계학회 1998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7 No.3

        Chip control is a major problem in automatic machining process, especially in finish turning operation. In this case, chip breaker is one of the important to be determined. As unbroken chips are grown, these deteriorate the surface roughness, and process automation can not be carried out. In this stydy, to get rid of chip curling problem while turning internal hole, optimal chip breaker is selected from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is planned with Taguchi's method that is based on the orthogonal arrary of design factors. From the response table, cutting speed, feedrate, depth of cut, and tool geometry turn to be major factors affecting chip formation. Then, optimal chip breaker is selected, and this is verified as good enough for chip control from the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