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상 합성 시스템 동향 분석

        전미선,이만재,장호욱,이의택,Jeon, Mi-Seon,Lee, Man-Jae,Jang, Ho-Uk,Lee, Ui-Tae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2 No.1

        영상 합성 기술이란 영화 및 비디오 제작에 있어 비디오 화면을 다양한 효과를 사용하여 편집하는 기술이다. 비디오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어 사용된 이 기술은 영상 산업을 급격히 변화시키는 응용 기술의 하나로 본 고에서는 이 분야에서 현재 사용되는 시스템의 특징과 그러한 시스템의 공통된 기술을 분석하여 이 분야의 기술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 공공기관의 조정 역할: 공기업과 지역균형발전을 중심으로

        전미선 ( Jeon Mi Seon ),윤병훈 ( Yun Byung Hun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4 분쟁해결연구 Vol.22 No.1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지역사회의 공동이슈를 해결하는 노력은 그 중요성에 비해 학술적 논의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거버넌스와 지역균형 발전의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요건과 주체별 역할을 검토하였다. 특히 공공기관(공기업)은 수익성뿐만 아니라 공공성이라는 가치창출의 맥락에서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주체로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공공기관 중 대표적으로 국가(중앙) 공기업과 지방공기업의 지역사회 기여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현재 대부분의 공기업은 재원 및 교육 중심의 프로그램들을 이행하고 있으나, 공공기관간 연계 및 협력이 부족하여 제한적인 성과가 도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통해 중앙조직형(Lead-organization)과 자치형(Self-governance) 유형별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의 연계프로그램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Collaborative governance is an effort to resolve common issues in local communities, but there is a lack of academic discussion in relation to its importa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s the requirements and roles of actors through a literature survey. In particular, we found that public institutions (public enterprises) are very important as acto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creating value for profitability and publicnes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ommunity contribution cases of national (central) public corporations and local public corporations as representatives of public corporations and drew implications. As a result, we found that most public enterprises are currently implementing financial and education-oriented programs and lack active network connections and cooperation. Through these finding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various governance network forms, including lead-organization and self-governance,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issue and create synergistic effects through various linkage programs.

      • KCI등재

        지역별 건강불평등과 정책지원

        전미선(Mi Seon Jeon),한승혜(Seung hye Han) 한국정책개발학회 2022 정책개발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gional policy demand characteristics affect the support program for medically vuln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policy reality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s do not have a single hospital bed available for childbirth,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support project for areas with poor medical care. As for policy demand,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ize of childbirth beds as an infrastructure environment, the female population as an availability factor, and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as a policy necessity were considered. The unit of analysis is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2019 to 2021, and a pan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olicy time lag. As a result, only the infrastructure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a support program that systematically reflects the regional policy demand is needed, and discussions on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personnel and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정책 수요 특성이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지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분만가능한 병상이 하나도 없는 기초 자치단체가 다수인 정책 현실을 고려하여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중 분만의료 취약지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이행하였다. 독립변수인 정책 수요 는 인프라 환경으로 분만 병상 규모, 이용 가능성 요인으로 가임여성 인구, 그 리고 정책의 필요도로 모성사망 비중을 고려하였다. 분석대상은 기초자치단 체(시․군․구)이며, 분석기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3개년으로 정책 시차를 1년 고려한 패널로짓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프라 요인만 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의 정책적 수요를 체계적으로 반 영하는 취약지 지원사업이 필요하며 의료 인력 및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되는 관련 정책과의 연계 및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외식슈퍼바이저의 운영관리능력이 신뢰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1인 소비 트렌드를 조절변수로

        전미선(Jeon, mi-seon),김형일(Kim, Hyeong-il)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외식슈퍼바이저의 운영관리능력과 신뢰 및 재방문 의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1인 소비 사회 트렌드가 조절역할을 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외식업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9년 7월 1달간 수거한 27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 요인, 신뢰,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영관리능력과 신뢰는 유의한 영향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와 재방문의 영향 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관리능력과 신뢰와의 영향 관계에 1인 소비 트렌드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ingle-person consumption social trends will play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ies of restaurant supervisors and their trust and intention to revisit. 273 copies collected for one month in July 2019 were used for analysis for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restaurant companies. Using SPSS 21.0, frequency, factor, tru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y and trus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revisi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one-person consumption trend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y and trust.

      • KCI우수등재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은 지역의 고용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동태적 패널모형을 활용한 일자리사업 예산과 유형별 성과 분석 -

        전미선 ( Mi Seon Jeon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2

        본 연구는 일자리사업에 대한 지역단위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이 지역고용의 양적, 질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시·군)를 대상으로 하여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의 예산규모와 사업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의 지역별 정책적 노력을 사업의 총예산과 지역의 지방비사업 예산비중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의 종류 중에서 취약계층의 소득보조라는 특징이 있는 직접일자리 사업을 공공형 일자리 유형으로 간주하여 사업유형의 효과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종속변수는 고용의 양적 지표인 취업자수, 고용률, 실업률과 함께 질적 변수로서 지역별 고용보험 가입자 수와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포함하였다. 정책시차와 변수들 간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동태적패널모형(dynamic panel model)의 일반화된 적률법(system GMM)을 통한 실증분석을 이행하였다. 분석결과, 지방비사업의 비중은 부분적으로 지역고용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재정지원일자리사업 총예산과 직접일자리 사업의 비중은 통계적인 유의미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지역차원의 고용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맞춤형 사업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는 재정의 자율권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he financial aid job program 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of the region in the absence of regional regional empirical research on job projects. Specifically, information on the budget size and business type of the financial support job project from 2014 to 2017 was collected through the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for basic municipalities (city, county, ward). As independent variables, we examined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financial support job program, the total budget for each region, the scale of autonomous finance through the proportion of local budget projects, and the type of direct job program where publicity such as income support exis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qualitative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employed, the employment rate, and the unemployment rate, which are quantitative indicators of employment. To compensate for the endogenous problem among variables,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generalized modulus method (system GMM) of the dynamic panel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local budget projects partially affected the performance of regional employmen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roportion of the total budget and direct job budget for the financial aid job.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nomy of finance to plan and operate regional customized projects is important to improve employment performance at the regional level.

      • KCI등재

        지방정부의 정책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를 중심으로

        전미선 ( Mi Sun Jeon ),정용찬 ( Yong Chan Jung ),강혜연 ( Hyeyeon Ka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4

        정책의 성공을 위해 수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개념적 논의에 비해 구체적인 정책사례를 통해 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의 지역별 정책수단선택에 대하여 Howlett(2005)이 제시한 정책하위시스템과 정부역량에 따른 정책선택 차이를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지역별 일자리 정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을 통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선, 군집분석을 이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부역량과 정책하위시스템이라는 기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ANOVA 분석에서는 시장 또는 보조금 수단을 제외하고 직접일자리, 정보제공, 자발적 공동체 또는 가족 의존 수단에서는 각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인 유의미성이 나타났다. 또한 각 수단 유형별 t-test를 한 결과, 정부역량이 높고 정책하위시스템이 복잡하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일자리 창출의 예산 비중이, 정부역량이 낮고 정책하위시스템이 복잡한 경우에는 정보제공 수단의 예산 비중이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되었다. 하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Howlett(2005)의 이론적 모형과 결과가 상이하였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의 직접적인 예산이 투입되거나 관료제 조직을 활용하는 정책 수단에서만 정부의 역량과 정책하위시스템이라는 맥락적 요인이 고려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책수단의 선택에 관하여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기술적인 논의를 보충하는 이론적, 실증적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의 고유한 맥락적 요인을 반영하여 정책수단의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고용정책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분석과 지역고용거버넌스의 활용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해 볼 수 있었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mployment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features has continued, the 'Disclosing System of Regional Job Creation' has been introduced, systematic research on this issue is lacking.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oice of ‘Disclosing system of Regional Job Creation’ policy instrument in Korea according to the model of Howlett(2005). To be more specific empirical studies, we conducted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he level of state capacity’ and ‘the level of policy-subsystem complexity’ which is the standard of the theoretical model of Howlett(2005). As a result, it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we conduct ANOVA analysis and examine the difference of budget ratio between four groups, which is stated in the model of Howlett(2005). As a result, although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except for the ‘market or subsidy’ instrument, it was hard to examine empirically which instrument shows the largest ratio of the budget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the government capacity and policy subsystem. To complement this, we conducted t-test. As a result of the t-test, if the government capacity is high and the policy subsystem is simple, the budget ratio of direct job creation is high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if the government capacity is low and the policy subsystem is complicate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budge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instrument is high. In other cases, however, the theoretical model of Howlett(2005) a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Through this, direct job cre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instrument, which local government directly uses the bureaucracy or the government budget, the contextual factors such as government capacity and policy subsystem are rationally consider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each region needs rational review or evaluation of the basis of the choice of instrum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possible to draw policy implications such as policy effort needed to identify the unique employment policy environment, establishing local employment governance.

      • KCI등재

        지역고용정책 연구에 관한 탐색적 논의: 사람중심과 장소중심 접근

        전미선 ( Mi Seon Jeon ),정솔 ( Sol Jeong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0 정부학연구 Vol.26 No.3

        사람중심과 장소중심 정책 접근은 지역단위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할 때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하지만, 사람중심과 장소중심 접근에 대한 논의는 아직 학술적으로 체계화되어 발전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람중심과 장소중심 접근에 대한 기존 논의를 종합하고 지역개발의 주요 이슈인 지역고용정책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사람중심 정책은 정책대상 개인의 특성에 주목하여 미시적 차원의 집행이 이루어지는 반면, 장소중심 정책은 장소의 공간적 특수성을 고려해 중 범위 수준의 정책지원을 통한 정책목표달성을 도모한다. 이때 장소적 특성은 지역 인프라와 같은 물리적 특성과 장소감 등 무형의 특성을 포함한다. 지역고용은 정책의 궁극적 대상자로서 사람에 대한 특성도 중요하지만 장소성 또한 정책의 효과성을 좌우하므로 두 접근 모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사람중심과 장소중심접근의 개별적 특수성을 보다 주의 깊게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People-and place-centered approaches are important criteria for prioritizing directions when planning and implementing regional policies. However, the approache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reviewed. Therefore, this study synthesized the existing discussions of people-and place-centered approaches and explored how they can be applied to regional employment policies, which are the main issues of regional development. While people-centered polic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affected by the policy and is executed at the micro level, place-centered policy seeks to achieve policy goals at the mid-rage level and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including physical aspects, such as local infrastructure, and intangible aspects, such as sense of place. Regional employment is the ultimate target of the policy. For regional employment policy,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are important, at the same time those of the place als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pplying both people-and place-centered approaches to achieve the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regional employment policy.

      • 도시재생에서의 거버넌스 구축 사례 연구

        전미선 ( Misun Jeon ),황재훈 ( Jeahoon Hwang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23 建設技術論文集 Vol.42 No.1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 거버넌스가 어떻게 구축되고 어떤 특징으로 나타나는지 현장 중심적으로 이해하고자 거버넌스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거버넌스는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파트너십의 성숙도와 주도권의 정도에 따라 통치형 거버넌스, 친화형 거버넌스, 대립형 거버넌스, 참여적 거버넌스, 협력적 거버넌스, 협업 거버넌스로 구분된다. 도시재생에서 거버넌스는 궁극적으로 ‘정책집행단계에서 정부가 주도’하는「참여적 거버넌스」나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할 때 비정부 이해관계자들을 직접적으로 개입’시키는「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거버넌스 참여 경험이 없거나 통치형거버넌스, 대립형거버넌스, 친화형거버넌스 등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A시○○동 도시재생 거버넌스인 ‘주민협의체 운영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들은 각자의 다른 거버넌스의 경험은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 과정에서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 의사결정 방식, 공공 영역과의 협력 방법 등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참여자들은 거버넌스를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에서 정의하는 ‘집합적인 의사결정과 집행과정’에서 공공과 민간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호작용 과정에서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적 거버넌스」나 도시재생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협업 거버넌스」의 운영 목적을 이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of governance and examine it through case studies to understand how governance is established and manifested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takes a field-centered approach to comprehend the governance'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First of all, governance is classified into Reign governance, Friendly Governance, Confrontational governance, Participatory governance,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Cooperative governance based on the maturity of the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and the degree of leadership. In urban regeneration, governance inherently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governance, where the government takes the lead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or collaborative governance, which involves direct involvement of non-government stakeholders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e 'Resident Consultative Committee' of A City-○○Dong's Urban Regeneration Governance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either not having participated in governance or participating in Reign governance, confrontational governance, friendly governance, and other forms of governance. These participants demonstrated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governance,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methods of collaboration with the public sector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governance building process, stemming from their varied experiences with different forms of governance. It was observed tha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overnanc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as not smooth, as defined by 'collaborative governance,' which involves collective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The participants' analysis indicated an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which aims to 'resolve public issues,' or 'Cooperative governance' for achieving the common goal of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대두유와 Glyceryl Monooleate의 효소적 반응을 이용한 Diacylglycerol 함유 유지의 생산

        전미선(Mi-Sun Jeon),이초롱(Cho-Rong Lee),이기택(Ki-Tea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1

        SBO와 GMO의 몰비율 1:2의 기질에 Lipozyme RMIM을 총 기질 질량의 10%를 사용하여, impeller를 장착한 회분식 반응기를 통해 DAG 함유 유지의 대량합성을 실시하였다. 반응시작 후 1 hr부터 6 hr까지 total DAG의 함량은 25.4~27.7 g/100 g oil로 나타났으며, 6 hr 반응하였을 때 TAG의 함량은 32.2 g/100 g oil으로 감소하였다. 반응 완료 후 분자증류를 통해 MAG와 FFA를 제거하였으며 NP-HPLC를 통해 분자증류 전과 후의 TAG와 DAG 함량변화를 알아보았다. 분자증류 전의 TAG와 DAG의 함량은 각각 7, 59 area% 였으며, 분자증류 후에는 각각 29, 71 area%로 나타나 TAG와 DAG의 함량이 분자증류를 하기 전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분자증류를 거친 DAG 함유 유지의 주요한 지방산은 C18:1과 C18:2로 그 함량은 각각 44.36%와 37.36%로 나타났으며, trans 지방산의 함량은 1.72%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자증류를 거친 DAG 함유 유지의 산가와 요오드가는 각각 0.13과 112.6이었다. SFC분석 결과, 분자증류를 거친 DAG 함유 유지는 SBO보다 높은 온도인 25℃에서 대부분 융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융점 피크는 -25.0, 0.1, 11.2℃에서 나타났고, 결정화 피크는 -16.2℃에서 보였다. Scaled-up production of oil containing diacylglycerol (DAG), so called diacylglycerol-oil, was produced by lipase-catalyzed reaction. Mixture of soybean oil and glyceryl monooleate with 1:2 molar ratio was esterified with Lipozyme RMIM in a batch-type reactor at 55℃ and 300 rpm during 6 hr. After short-path distillation for removal of monoacylglycerol and free fatty acid as reaction by-products, diacylglycerol-oil mainly consisted of DAG (29 area%) and TAG (71 area%). The major compositional fatty acids in diacylglycerol-oil were oleic (44.36 wt%), and linoleic acids (37.36 wt%). Acid value and iodine value of diacylglycerol-oil were 0.13 and 112.6, respectively. Solid fat content (SFC) of diacylglycerol-oil was observed afte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alysis in which three melting peaks at -25.0, 0.1, and 11.2oC were sh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