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하윤 대중가요 가사의 양상과 특성 고찰

        장유정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general aspects of Lee, Ha Yoon’s works. He has written a total of 176 pieces, of which 162 have lyrics His work deals with the subjects of opposite sex, life, nature, and the political situation. A predominant theme is affection expressed towards an absent lov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image of water. Second, the evocation of aural image. Last, the use of the natural correlative. Water appears in his work poetic descriptions such as tears, sea, rain, liquor etc. In those cases, water is used in order to convey a feeling the of sadness and deeper sorrow. Especially, his works make a comparison between active man and passive woman.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his works can be defined as 'melancholy'. 본고는 이하윤이 작사한 작품의 전반적인 모습과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이하윤이 작사한 작품은 목록에서 확인되는 것만 176곡이며, 이 중에서 가사를 찾을 수 있는 곡은 162곡이다. 162곡을 주제별로 살펴보면, 이성, 인생, 자연, 시국 관련 작품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이성 관련 작품은 임이 부재한 상황에서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노래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이하윤의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을 ‘물의 부정적인 이미지’, ‘청각이미지의 환기’, ‘자연 상관물의 활용’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작품에서 ‘물’과 관련된 이미지는 눈물, 바다, 비, 술 등의 시어로 나타났다. 이때의 물은 애상과 슬픔의 정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부정적인 이미지의 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떠나가는 남성의 능동성과, 그를 기다리는 여성의 수동성을 대비해서 보여주었다. 이하윤 작품의 특성은 ‘비극적 낭만성(melancholy)’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하윤의 작품에서 청각이미지를 환기하는 시어와 자연 상관물로 등장하는 갈매기와 같은 바닷새도 주로 작품의 비극적 낭만성을 강화시키는 기제로 활용되었다.

      • KCI등재

        1950년대 대중가요의 이국성(異國性) 고찰

        장유정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This paper tries to look into an aspect and meaning of the exoticism with the popular song lyrics. Particularly, it tries to pay attention with 1950's popular songs. The various Western civilizations which are flowed in through U.S. Armed Forces after the Korean War exert an effect on the popular song. Just, it comes into the civilization of not only U.S. but also Asia, Europe and Islamic area and it is loaded together and the popular song in 1950's shows the a bit peculiar appearance. That is, while the local customs and exogenous get mixed, the crop causes to be peculiar thing of the unknown nationality. A close analysis shows that it is not enough merely to say that they are strange. Recently, there was the attempt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xotic and unique of Korean popular music by the musical aspect in 1950's. However, there was still nearly no attempt to look into this kind of the exoticism through the lyric analysis on a full scale. Because the words of a song reflect the culture of the present age, it can become the important analysis object. Therefore, the significance tries to verify the substance of the exoticism in the popular song through the lyric analysis. 본고는 1950년대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나는 이국성의 양상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이국성을 정의내리고 이국성을 이국정취와 이국정서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양상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국정취가 이국의 풍물을 통해 이국의 풍경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면, 이국정서는 이국적인 풍물을 감정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기제로 활용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국정취를 보여주는 노래가 궁극적으로 재미와 연결이 된다면, 이국정서를 표현한 노래는 감응을 통한 감정의 동요와 상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이국적인 여성을 소재로 한 노래를 통해서 그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시아계 여성과 서구 여성에 대한 당대 대중들의 이중적인 시선을 엿볼 수 있었다. 아시아계 여성을 소재로 한 노래는 주로 하층 계급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국정취를 드러내고 있다면, 서구 여성을 소재로 한 노래는 작중 화자가 사랑하는 대상으로 설정한 이국 여성을 통해서 이국정서를 표현하였다. 이국 여성에 대한 이러한 이중적인 시선은 한국 남성들이 미국의 제국주의적인 시선을 답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제까지 1950년대 대중가요의 이국성은 대체로 미국 지향성으로 설명되었으나 실제로는 이국으로서의 미국에 대한 동경은 생각처럼 많지 않았다. 1950년대는 한국이 전쟁 후에 다양한 나라의 수많은 사람들을 직·간접적으로 만날 수 있었던 시기이다. 과도기적이고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대중가요는 당대인들의 이국에 대한 환상과 욕망을 담아냈다. 그리고 이는 대체로 이국정서보다는 ‘재미’를 추구하는 이국정취의 형태로 나타났다. 획일화되지 않은 다양성의 공존, 이국에 대한 발칙한 상상과 호기심 등을 통해서 당대인들은 타자를 인식하고 주체를 형성해가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1950년대 대중가요에 나타나는 이국성은 당대 대중들의 타자 경험에서 비롯한 자기 인식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현대 트로트의 특성 고찰 -2004년 하반기 인기곡을 중심으로-

        장유정 한국구비문학회 2005 口碑文學硏究 Vol.0 No.20

        본고는 2004년 하반기에 인기를 얻었던 트로트를 중심으로 하여 현대 트로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 트로트는 일제 시대에 생성된 초기의 트로트에서 상당한 변화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었다.현대 트로트는 가수와 창법, 그리고 리듬의 측면에서 이전 시기 트로트와는 다른 점을 드러냈다. 신세대 가수들이 트로트계로 진출하였으며 창법은 가성이 아닌 진성을 활용하는 통성창법을 주로 활용하였다. 또한 리듬은 예전에 비하여 매우 빨라지고 흥겨워졌다. 다음으로 현대 트로트 노랫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현대 트로트 노랫말의 특성으로는 주제의 편파성과 기존 남성성 여성성의 붕괴를 지적할 수 있다. 트로트는 다른 장르의 대중가요와 마찬가지로 주로 사랑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특이한 점은 트로트가 여타의 대중가요와 달리 부부간의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사랑의 슬픔을 다룬 현대 트로트는 그 이전의 트로트와 달리 이별을 매우 가벼운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시대적 흐름의 변화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트로트가 댄스가요의 영향을 받으면서 나타난 현상으로도 볼 수 있다.아울러 현대 트로트는 과도한 감정을 분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돈호, 반복, 의성 의태어 등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도한 감정의 분출이 진지함과 연결되기보다는 가벼움과 연계되고 있음도 현대 트로트의 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현대 트로트는 일제 시대의 신민요가 그러했던 것처럼 '흥겨움으로 위안 얻기'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트로트가 지속적으로 대중들에게 폭넓은 사랑을 받고 대중가요의 한 양식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하려면 앞으로도 다양한 모색과 실험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트로트의 그러한 모색과 실험이 삶의 진정성과 만날 때, 트로트는 한국 대중가요의 한 양식으로 앞으로도 오랫동안 그 생명력을 유지할 것이다. We looked into the features of modern trot songs focusing on those that enjoyed huge popularity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year 2004. Now, we can find out that modern trot songs have gone through quite a lot of changes from thos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dern trot songs are different from previous counterparts in many ways including singers, vocalization and rhythm: Young generations make their debut as trot singers, but they no longer use a feigned voice, and the rhythm and tempo of their songs become faster and more joyful. Next, we move on to the lyric lines. Today’s songs do not have one-sided and sexually biased lyrics any more. Trot songs are mainly talking about love like other popular songs. However, what makes trot unique is that its lyrics are usually related to married couples’ affection. One more, modern trot songs tend to describe divorce or parting as nothings. It might be not only the reflection of the times but a proof that this genre is a lot affected by Korean dance music. Modern trot songs also use echoic and mimetic words, apostrophe, repeat measures to betray excessive expression. This expression, considered as low quality rather than high, is also another character of the modern trot. Contemporary trot songs are worthwhile since they can comfort people who like the genre as 'Shinminyo (New Folk Song)' could 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trot has a long way to go to get more widespread attention of and popularity from the public. Only when the public’s appetite and expectations can be met, trot can be blessed with unabated popular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중가요 작사가 반야월(半夜月) 작품 연구

        장유정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본고는 작사가 반야월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가 작사한 대중가요 가사를 수합하여 목록을 작성하고 가사에서 나타난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광복 이전에 진방남이라는 예명을 사용하여 가수로 데뷔했던 반야월은, 주로 반야월이라는 예명으로는 광복 이전부터 광복 이후까지 상당한 수의 작품을 창작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중가요 작사가이다. 광복 이전에 작사한 작품이 약 14편에 불과한 것과 달리 광복 이후부터 2012년에 운명하기 전까지 반야월이 작사한 작품은 수천 곡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한다. 본고에서는 반야월이 광복 이후에 작사한 작품의 약 760여 곡의 작품 목록을 정리하고 그 중에서 가사가 있는 약 400여 곡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 대체적인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2장에서는 반야월의 생애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반야월 작품의 전반적인 양상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4장에서는 반야월 작품을 광복 이전에 창작한 작품과 광복 이후에 창작한 작품으로 나누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고찰하였다. 광복 이전에 창작한 작품은 크게 풍년을 주제로 한 작품, 이국성을 드러낸 작품, 방랑의식을 표출한 작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풍년을 주제로 한 작품과 이국성을 드러낸 작품이 낭만적 경향을 보여준다면, 방랑의식을 표출한 작품은 사실적 경향을 드러냈다. 다음으로 광복 이후에 나온 작품은 낭만적 경향과 사실적 경향으로 나누어서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았다. 낭만적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은 크게 이국성, 회고주의, 사랑지상주의, 청춘예찬으로 나누어서 작품의 실제 모습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실적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은 실화를 노래로 만든 것과 세태를 반영한 작품으로 나누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고찰하였다. 세태를 반영한 작품은 방랑의식과 결핍과 부재에서 비롯한 동경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반야월이 개사한 작품의 목록을 정리하고 그 작품이 원 작품과 어떻게 같고 다른 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반야월이 특히 영화주제가를 많이 작사한 바, 영화주제가에서 드러나는 특징이 있는 지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반야월 작품을 위시해서 광복 이후에 나온 노래들의 정보를 정리하는 아카이브 구축 작업이 요청된다.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아카이브 구축 작업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이에 대한 연구도 더욱 풍성해질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lyricist, Ban, Yawol's life and his popular songs. First of all, His works are collected and are compiled a database. Ban, Yawol who debuted as a singer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representative Korean popular songs's lyricist. Up to now, his works is estimated at thousands of songs. In this paper, about 760 list of works were filled in and about 400 lyrics are examined. Specifically, Ban, Yawol's lyric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divides into three parts: First, works on the subject of good harvest, Second, works exposed to exoticism, Last, Works express a sense of wandering. Among them, Fist and the Second shows the romantic trend. On the other hand, the last reflects realistic trend. Next, the works after 1945 are divided into two: the works shows the romantic trend are split into exoticism, retrospective attention, love supremacy, and ode to youth again. Finally, the works shows the realistic trend are divided into songs are made on a true story and works reflects the social conditions. In addition, the works reflects the social conditions are shown the vagabondism and longing originated with absence and dearth of something.

      • KCI등재

        현대 대중음악과 공동체 문화의 상관성 연구-대학생들의 대중음악 향유를 중심으로-

        장유정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2

        본 연구는 ‘공동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현대 사회에서 대중음악의 수용자들은 어떤 식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며, 그렇게 형성된 공동체의 특징과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고는 민속지학적(ethnography)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대중음악 향유 실태를 살펴보았다. 대학생들이 대중음악 향유를 통해 공동체를 경험하는 예는 크게 노래방 가기와 공연장 가기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래방과 공연장 가기를 통해 형성된 공동체는 일시적이고 유동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생활공동체가 아니라 취향과 정서의 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대중음악을 통한 공동체의 경험은 과거의 따뜻하고도 훈훈한 공동체의 경험이라는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대중음악을 통한 공동체의 경험은 과거로의 행복한 회귀이며, 이를 통해 사람들은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얻는 것이다. 본고는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odern Popular Music and Community Culture -Focusing on the enjoyment of popular music by undergraduate students- Zhang, Eu Jeong(Yonsei University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how receptors of popular music in our society have created community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what the features and meaning of such community are. In particular, there was a review on the enjoyment of popular music by undergraduate students with the use of an ethnography method.For instance, undergraduate students’ community experience by enjoying popular music can be divided into going to a Noraebang(singing room) and going to a performance hall. However, community created through activities of going to a singing room and a performance hall is temporary and fluid. In addition, it is not community of life but community of the same taste and emotion. Nonetheless, the community experience through popular music hold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s a warm and humane community experience of the past. The community experience through popular music is a happy regression to the past, and people can gain energy to live a life through such experi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ch facts were discovered through a positive research.

      • KCI등재

        현전 최고(最古) 애국 계몽 가요집 손봉호(孫鳳鎬)의 창가 연구

        장유정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6 No.-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Chang-ga of Son Bong-ho. The collection of lyrics without music was published on July 15, 1910. Then, the Chang-ga of Son Bong-ho is the oldest song book to ever be published. Although only 14 of the 27 songs remain, it is not hard to guessthe size and shape of the entire songs from the table of contents. In this paper, ‘patriotic songs’ and ‘school songs’ were introduced specifically because such songs were the most numerous in number. The followings are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content and format of the Chang-ga of Son Bong-ho. First, songs with chorus and songs without chorus coexist. Second, each song has relatively long. Third,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songwriters and composers. Fourth, apostrophe and suggestion were frequently used. Fifth, it shows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use of vocabulary. Finally, Christian characteristics appear.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of Son Bong-ho who compiled the Chang-ga. Furthermore, comparisons with other enlightenment songs need to be elaborated. For now, this paper concludes with introducing a song book that can be a valuable material in the study of music history, literature history, and independence movement and with presenting specific works. In the end,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 as the first paper to study the current best enlightened song book in Korea in earnest. 본고는 손봉호가 엮은 『창가』를 소개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악보 없이 가사만 모아 놓은 이 노래집은 융희(隆熙) 4년(1910년) 7월 15일에 간행되었다. 그렇다면 손봉호의 『창가』는 현재까지 간행 연도가 밝혀진 애국 계몽 가요집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비록 총 27장 중 14장까지만 노랫말이 남아 있으나 목차 등으로 전체 노래의 규모와 양상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1910년 당시에 향유된 계몽 가요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창가』에 가장 많이 수록된 ‘애국가’와 ‘학도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손봉호 『창가』의 내용과 형식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다음처럼 제시하였다. 첫째, 후렴이 있는 노래와 후렴이 없는 노래가 공존한다. 둘째, 각 노래의 절이 상대적으로 길다. 셋째, 작사자와 작곡자의 정보가 없다. 넷째, 돈호법과 청유형을 자주 사용했다. 다섯째, 어휘 사용에서 과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앞으로 이 책을 엮은 손봉호가 누구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다른 계몽 가요와의 비교가 정교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일단 본고에서는 음악사, 문학사, 독립운동사 연구에서 소중한 자료가 될 수 있는 손봉호의 『창가』를 소개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제시한 것으로 소임을 마무리하기로 한다. 결국 본고는 우리나라 현전 최고(最古) 계몽 가요집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첫 번째 논문으로써의 의의를 지닐 것이다.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 음악과 <달아달아>

        장유정 한국구비문학회 2015 口碑文學硏究 Vol.0 No.40

        Discovering Korean music created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s not difficult to find. However, discovering Korean music or Korean folklore that existed in the Western world is rare.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Westerners’ perceptions of Korean musical folklore that was first recorded via the handwritten musical scores of scholars Anna Tolma Smith and Eli Barr Landis. The first handwritten recording of Korean music in 1896 is considered very meaningful because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notable writings. We can further understand the Western perception of Korean folklore from these notable writings even with limited scholarly evidence. In addition, the research findings of Anna Tolma Smith and Eli Barr Landis reflected their ideas of Korean musical folklore. Smith and Landis’ research examines the 19th century musical folklore song titled: “Korean Moon:” or the “Rhymes of Korean Children.” The song was one of Smith’s last written recording of Korean folkloric handwritten scores. Smith emphasized the ‘filial devotion(孝)’ within the “Moon song;” on the other hand, Landis’ lyrics showed the cultural ‘loyalty(忠)’ within the song. Finally, this paper introduced Korean scholar’s Yi Eunsang’s point of view. His perspective explained that “Moon song” or the “Rhymes of Korean Children” is written by King Jeong-jo or the King’s maidens. 19세기 한국 시가에 대한 한국인의 기록을 접하기는 어렵지 않다. 하지만 같은 시기에서양인이 한국인의 시가를 어떤 식으로든 기록하고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러한 시도 자체가 많지 않을 뿐더러 그러한 작업을 살펴보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세기에 서양인이 남긴 한국 시가의 음원, 한국 시가의 악보, 그리고한국 시가에 대한 논문들을 들어 그 시기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 음악에 대해 살펴보았다. 1896년에 미국에서 녹음된 한국인의 음원은 현존하는 한민족 최초의 노래 녹음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이를 손으로 채보한 것도 그 자체로 많은 의미를지닐 것이다. 즉 한국 음악을 오선보에 기록한다는 한계를 전제하더라도 당시 서양인이 한국음악을 어떻게 듣고 인식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심지어 비슷한 시기에 애나 스미스와엘리 랜디스는 한국 음악에 대한 논문을 미국민속학보에 싣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19세기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 음악에 대해 접근했다. 특히 본고에서는 음원, 악보, 논문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달아달아>에 주목했다. 이제까지 학계에서는 <달아달아>에 별다른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달아달아>의각편 등을 제시하여 그것이 지니는 의미가 ‘효(孝)’와 ‘충(忠)’으로 달라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비교적 오랜 시기에 이은상이 작성한 글을 통해 <달아달아>가 ‘정종의 사친애(思親愛)’를 표현한 노래로 인식되기도 했음을 밝혔다. 요컨대 본고는 19세기 서양인의 기록들-음원·악보·논문-들을 종합해서 그들이 한국음악을 바라보고 인식한 양상을 살펴보고 애나 스미스와 엘리 랜디스의 논문을 들어 <달아달아>의 가사 채록과 분석에서의 차이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