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직배양된 고집적 CdTe-Si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임진호,황성환,정현성,Im, Jinho,Hwang, Sung-hwan,Jung, Hyunsu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3

        Cadmium compounds with one dimension (1D) nanostructures have attracted attention for their excellent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vertically aligned CdTe-Si nanostructures with high density were synthesized by several simple chemical reactions. First, l D Te nanostructures were synthesized by silver assisted chemical Si wafer etching followed by a galvanic displacement reaction of the etched Si nanowires. Nanowire length was controlled from 1 to $25{\mu}m$ by adjusting etching time. The Si nanowire galvanic displacement reaction in $HTeO_2{^+}$ electrolyte created hybrid 1D Te-branched Si nanostructures. The sequential topochemical reaction resulted in $Ag_2Te-Si$ nanostructures, and the cation exchange reaction with the hybrid 1D Te-branched Si nanostructures resulted in CdTe-Si nanostructures. Wet chemical processes including metal assisted etching, galvanic displacement, topochemical and cation exchange reactions are proposed as simple routes to fabricate large scale, vertically aligned CdTe-Si hybrid nanostructures with high density.

      • SCOPUSKCI등재

        외부응력에 의한 PZT압전세라믹스의 열화현상

        임진호,이준형,김진호,조상희,Im, Jin-Ho,Lee, Jun-Hyeong,Kim, Jin-Ho,Jo, Sang-Hui 한국재료학회 1994 한국재료학회지 Vol.4 No.4

        분극처리된 PZT세라믹스에 외부응력을 인가하였을때 인가되는 응력의 방향에 따른 열화기구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극축과 수직으로 응력을 인가할때의 열화현상은 공간전하분극의 확산으로, 분극축과 평행하게 응력을 인가할때는 분역재배열현상으로 설명하였다. 소결체의 입자 크기가 커지면 열화폭이 커짐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입자크기에 따른 내부응력의 차이로 해석하였다. The influence of the direction of applied compressive stress on degradation mechanism ofpoled PZT sample was studied. When compressive stress perpendicular to poling direction was appliedon poled PZT sample, the degradation phenomena was explained by the diffusion of space chargepolarization. On the contrary, compressive stress parallel to poling direction was applied, it wasexplained by the rearrangement of 90" domains. As the grain size increased, the degradation phenomenawas promoted. It is attributed to different internal stress due to difference of grain size. of grain size.

      • KCI등재

        廣東 粤語와 한국 한자어의 음운 비교 연구 : 入聲韻, 陽聲韻을 중심으로

        임진호(Im, Jin-Ho)(任振鎬),김미랑(Kim, Mi-Lang)(金美娘)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3 No.-

        주지하다시피 우리말에서 차용해 활용되고 있는 한자음에는 지금까지도 중국 고대한어의 특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러한 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해 지난 연구에서 입성운자를 중심으로 양주방언과 우리말 한자어 입성운미의 대응관계를 살펴 본 바 있으나, 중국은 지역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중국의 특정 지역만을 가지고 한ㆍ중 양국의 入聲韻을 살피기에는 역부족인 측면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광동어에도 고대한어의 입성운과 양성운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광동어를 중심으로 우리말 한자어의 음운 대응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광동어 일명 粤语와 우리말 한자음의 형성을 조사하였고, 그 다음으로 중고음과 粤语의 대표 방언인 廣州話와 우리말 한자어 간의 발음의 대응관계를 정리 및 분석하여 음운학의 연관성을 밝혀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粤语 중에는 우리말의 한자음과 유사하거나 똑같은 경우가 적지 않은 바 광동지역의 학생들이 우리말을 학습할 때 두 언어 간에 나타나는 음운의 유사성을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그 대응관계를 이해한다면 보다 쉽게 우리말을 배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As everyone knows, Koreans have borrowed and used Chinese characters, and the pronunciation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preserves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Chinese. To clarify this causal relationship, a previous study looked at the response between Yangzhou dialect and Sino-Korean word, focusing on Ipseong-coda. However, considering that there are various ethnic groups and dialects in China, studying only certain regions of China is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Ipseong-coda both Korea and China. Therefo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ancient Chinese word Ipseong-coda and Yangseon-coda are well preserved in Cantonese, this paper studied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 between Cantonese and Sino-Korean word.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Cantonese and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then organized and analyzed the response relationship of pronunciation between Mid-ancient Chinese Sounds, Guangzhou-hua, the representative dialect of Cantonese, and Sino-Korean word to find out the association of phonology. In particular,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Cantonese is similar to Sino-Korean word, and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in Guangdong will be able to learn Korean more easily if they recognize the similarity of phonem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 KCI등재

        宋代 茶文化 양상과 蘇軾의 內儒外道 : 蘇軾의 詠茶詩를 중심으로

        임진호(Im Jinho),김미랑(Kim Mi-lang) 중국문화연구학회 2011 중국문화연구 Vol.0 No.19

        On the Song dynasty, the development of culture brought the tea culture to prosper, and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sim gave great influence to the literary circles. The literati of the Song era had both Confucianism, based on their thoughts of actualities, and also, Taoism and Buddhism, which was the solution of their inner agonies. This kind of trend appears on the poetries of Su shi, a poet who was greatly interested in teas. Su shi created the Eunil(meaning seclusion) theory witch shows the combin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e used his tea poetries to furtively express about the contradictions of the Sung society, and about the pain which people suffers from the administrations. But after he got several political dispreciations, unable to do what he wanted, he wrote poems unrealated to reality, about accepting the present and taking a philosophical view of life, which expressed transcendence. He expressed his way of life from his work: Confucianism in the inside, and Taoism showing from the outside. Beyond all these, Su Shi s tea poetry(the Yang cha-shi) gave big challenges on it's usual form. He tried not to follow the common form of verse, and tried to adopt many other literal techniques such as the Hui wen-shi, bringing up the era's Yang cha-shi to a higher level.

      • KCI등재

        歐陽修 茶詩의 문학적 접근

        임진호(Im,Jin-ho)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50 No.-

        송대는 중국 역사상 차 문화가 매우 번성했던 시기이자, 시가 창작이 극히 번성했던 시대로, 차시가 대량으로 등장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구양수의 차시가 표현하는 내용은 크게 차에 대한 찬미, 육우에 대한 칭찬, 채양을 비롯한 문인과의 교류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양수는 송대 문단의 영수로서 여리고 화려한 기풍을 배격하고, 내용의 현실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담아한 기풍을 지향하는 새로운 풍격을 강조하였는데, 그의 茶詩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과 풍격이 잘 반영되어 있다. 그는 제제의 운영 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였고, 인격적인 측면에서 차의 청정한 성질을 군자의 덕에 비유하는 등 정신적인 수양과 도덕적인 도야에 차의 작용을 찬미하는 등 차의 문화적인 의미를 크게 확장시켜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외에 사회현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국가의 이익과 백성들의 고통을 반영한 茶利觀은 사회현실의 반영과 비판을 문학의 주된 기능으로 여기고 詩道에 담아내고자 했던 그의 기본적인 문학사상과도 맞물려 있어 그의 사상과 풍격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Song Dynasty was a period when tea culture was very flourished in Chinese history, and poetry creation was extremely prosperous, and it was an opportunity for the mass production of tea poetry. The contents expressed by Ouyangxiu s art included praise for tea, praise for Luyu, and exchanges with literary figures including Caixiang. Ouyangxiu, as a leader of the literature of the Song Dynasty, rejected weak and fancy ethos and emphasized a new style that aims for an ethos based on realistic recognition of the content. His works reflected this style very well. He pursued diversity in the operation of the sanctions, and greatly expanded the cultural meaning of tea, by assimilating the clean nature of tea to the virtue of the nobless in terms of personality, admiring the action of tea in spiritual discipline and morality, which casted great influence on future generations. Chari-gwan which reflects the interests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s suffering regards the reflection and criticism of social reality as the main function of literature, and is intertwined with his basic literary thoughts, which he tried to incorporate in the path, beacame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his and thoughts and personality.

      • KCI등재

        파티클 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계

        임진호(Jin-Ho 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새롭게 등장한 미디어아트는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새롭고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예술과 다르게 관객이 적극적 주체가 되어 작품에 참여하고 상호작용하게 되면서 관객과의 소통이 크게 중요해졌다. 이러한 디지털 예술작품들이 이제는 단순히 갤러리에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접하는 장소 및 물품에서도 그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더욱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미디어아트의 대중적 접근을 쉽게 만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계 작품을 구성하는 연구를 하였다. 시간은 오랜 기간 동안 전통예술 영역에서 중요한 테마로 활용되어왔으며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시간의 연속성과 그에 따른 존재의 가치를 테크놀로지 기술을 바탕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시계라는 대중적 매체를 활용하고 사용성과 관객의 상호작용에 의한 감성적 만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작품을 제안한다. The newly developed field of media art is quickly making progress to include various and up-to-date forms of expression. Unlike in traditional ar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 and the viewer has become vastly important, in which the viewer is an active agent who participates and interacts with the artwork. These digital artworks can now be readily observed in everyday places and things, rather than being confined solely in the gallery space. By encouraging open interaction with the public, media art has become more accessible. Accordingly, this thesis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a real-time multimedia clock piece using particle systems. Time has always been a significant theme in the realm of traditional art, which continues to be explored extensively in various forms of expression. In an attempt to express the continuity of time and the state of being value of existence based on technological skills, the thesis presents an artwork that uses the popular medium of a clock while also providing both usability and emotional satisfaction for the viewer’s sensibility through interaction.

      • KCI등재

        山谷黃庭堅茶詞의 문학적 접근

        임진호(jinho im) 국제차문화학회 2015 차문화ㆍ산업학 Vol.29 No.-

        송대문화는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성격의 당대문화와 비교해 볼 때, 전체적으로 내향적이고 세속적인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송대 초기 유ㆍ불ㆍ도가 하나로 융합되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문인들은 내적인 깨달음과 개인의 도덕적 수양을 더욱 중시하여 외적인 일에 대해서는 비교적 가볍게 바라보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송대 문인들의 심미적 성향은 대체로 세속적이고 유희적인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시대적 특징은 황정견의 문학작품을 통해서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더욱이 詞體자체의 발전 궤적을 놓고 볼 때도 황정견에 이르러 ‘茶’가 문학 작품의 제재로써 적극적으로 詞 體에 운용되면서 점차 후대 문학작품 가운데 중요한 제재로 탈바꿈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상황은 《全宋史》에 남겨진 북송 문인들의 작품 내용을 통해서도 충분히 입증된다. 이렇게 ‘차’가 송대 사의 창작 범주에 포함되면서 문인들은 차를 빌려 자신의 개인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심사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삼았으며, 특히 황정견에 이르러 송대의 咏茶詞는 새로운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차의 창작에 대한 그의 주장은 전대에 비해 발전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었지만, 이와 동시에 필연적으로 복고화의 성향을 지닐 수밖에 없는 한계성도 지니고 있었다. 다만 詞의 영역에 ‘茶’라는 참신한 제재를 끌어들여 詞의 영역을 넓혀주는 동시에 詞體의 발전에 새로운 창신을 가져다주었다는 점에서 그의 예술적 가치와 문화사적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