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男女相悅之詞로 본 <靑山別曲>

        임재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This paper assumes that the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can be regarded as a love song of a woman who falls in love with someone, and this work may contain an analogy to the physical love between men and women. As a result, I can see that the four verses of the "meularae gadeon sae(믈아래 가던 새)" and "Yingmudon Zhanglan(잉무든 장글란)" in the third stanza, "sasami jimdaeye olasyeo(사미 대예 올아셔)" and "haegeumeul hyeogeoreul(奚琴을 혀거를)"in the 7th stanza have a lot of room to be interpreted as an analogy of physical relations. As is already well known, the third and seven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correspond to each other structurally as well as the other pairs of stanzas.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wo stanzas not only have common expressions of the physical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but they also use the same metaphor twice in each stanza. Furthermore, they have adopted a multi-layered metaphorical way of presenting expressions that may be somewhat difficult to grasp meaning, followed by expressions with relatively clear meaning. The viewpoint of this work as a love song which includes the expression of the physical love between men and the women not onl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sophistication, the literary level and the artistic perfection of this work in a new aspect, but also opens the way to interpret some of the expressions and passages of the third and seventh stanzas from a consistent perspective. 임재욱, 2018. 남녀상열지사로 본 <청산별곡>, 어문연구, 180 : 141~163 본고는 <靑山別曲>을 임과 헤어진 여인의 사랑 노래로 보는 관점에서, 이 작품에도 애정을 주제로 한 대부분의 고려속요에서와 마찬가지로 남녀 간의 육체적 사랑을 비유한 표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가정 아래 논의를 진행한 결과, 제3연에 나오는 “믈아래 가던 새”와 “잉 무든 장글란”, 제7연에 나오는 “사미 대예 올아셔”와 “奚琴을 혀거를”의 4개 구절이 남녀의 육체적 관계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해석될 여지가 크다는 점을 살필 수 있었다. 본고에서 살핀 바에 따르면, 두 연은 남녀의 육체적 관계를 비유하는 표현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그러한 비유를 각 연에서 두 차례씩 중첩적으로 구사하면서 의미 파악이 다소 어려울 수도 있는 표현을 앞에서 제시한 후 의미가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나는 표현을 뒤에 배치하는 다층적 비유의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렇게 <靑山別曲>을 남여상열지사가 포함되어 있는 연정(戀情)의 노래로 보는 관점은 이 작품의 세련미와 문학적 수준 및 예술적 완성도를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지금까지 해석이 어려웠던 제3연과 7연의 몇몇 표현과 구절들을 일관된 시각에서 무난히 해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도 한다.

      • EDI의 도입과 무역환경의 변화

        임재욱 경인여자대학 1995 경인논집 Vol.- No.4

        무역은 그 특성상 법률과 상관습이 다르고,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격지간(隔地間) 당사자의 거래이므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추후 분쟁의 예방을 위해 필연적으로 서류(documents)가 개입될 수 밖에 없다. 양자간의 상이한 상관습이나 여러 가지 무역조건 해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면으로 합의한 서류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각 산업분야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전산화, 자동화 작업이 진점됨에 따라 무역업계에도 그 절차를 자동화함으로써 무역관련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컴퓨터 통신의 발전은 서류없는 무역(documentless trade), 즉 기존의 종이서류를 전바문서(electronic documents)로 대체한 자동화된 무역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역자동화의 일환으로서 최근 활발히 그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전자거래정보(EDI의 개념, 그 기대효과, EDI표준, 우리나라 및 주요국의 EDI 추진현황 및 EDI의 현안들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

        CNT 및 CNF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 촉매 및 막 전극 접합체의 특성

        임재욱,최대규,류호진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4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1 No.1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은 촉매 지지 물질의 특성에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금 촉매의 지지체로서 CNF(carbon nanofibre)와 CNT(carbon nanotube)를 사용하였다. CNF와 CNT는 기상화학증착법과 메카노케미컬 공정에 의해 처리된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백금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적용을 위하여 CNF와 CNT로 지지되었다. 그 결과, 65 nm의 직경을 가지는 twisted CNF로 준비된 MEA가 가장 우수한 I-V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performance of fuel cell electrode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st support material. This paper deals with the use of CNF(carbon nanofibre) and CNT(carbon nanotube) as platinum catalyst support. The CNF and CNT were synthesized with catalyst treated by mechanochemical process and were prepar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method. The platinum supported on CNF and CNT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application. In result, the best I-V characteristic was verified by the prepared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from twisted CNF that had a diameter of 65 nm.

      • KCI등재후보

        촉매조성이 PEM용 연료전지의 전극특성에 미치는 영향

        임재욱,최대규,류호진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2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이용하기 위한 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핵심소재인 고성능 전극촉매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전극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촉매 조성물 중 Nafion용액과 백금 함침량을 변화시켜 I-V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연료전지의 운전조건 중 단위전지의 온도에 따른 전극 성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Nafion 용액이 5 wt%, 백금 함침량이 0.5 mg/$\textrm{cm}^2$의 조성이 될 때, 전극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Nafion용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극 성능은 저하하였다. 또한, 단위전지는 온도가 $80^{\circ}C$가 되었을 때, I-V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저전류밀도에서의 성능차이는 거의 없으나, 고전류밀도에서는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전압값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high performance electrode catalyst was developed in fabrication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PEMFCs(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The I-V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Nafion solution and Pt loading amount in the catalyst composition. The electrode characteristics were also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emperature change. The electrode performance was optimized at Nafion 5 wt% and 0.5 mg Pt/$\textrm{cm}^2$ content.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Nafion solution resulted in the decrease in electrode performance. At $80^{\circ}C$ of unit cell, I-V characteristics excelled those obtained at lower temperatu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at low current density, but the improvement of voltage value in higher temperature could be found at high current density.

      • KCI등재

        辭說時調와 雜歌에 표현된 微物의 의미와 시적 기능

        임재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4

        본고는 ‘微物’로 볼 수 있는 시어가 나타나는 작품을 사설시조와 잡가 갈래에서 찾고, 각 작품에 등장하는 ‘미물’들이 어떤 의미와 시적 기능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핀 바에 따르면 고전시가의 세부 갈래인 사설시조와 잡가에도 다양한 미물이 활용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설시조와 잡가에 활용된 미물은 그 의미와 시적 기능에 따라 1) 웃음을 유발하는 소재, 2) 삶의 현실과 세태의 반영물, 3) 애정 표현의 매개물로 분류하여 볼 수 있다. 사설시조와 잡가에서 다양한 미물을 활용하는 것은 조선 후기의 사상과 예술에 나타난 변화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학사상의 등장, 자아와 세상 만물에 관한 사고의 변화, 작은 존재들도 그것 나름대로의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는 생각 등이 시가 작품 창작에 미물을 활용하게 된 사상적 배경을 이룬다. 그리고 작품 속에 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창작 경향은 사설시조와 잡가가 근대적 문예물로 성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로 이해할 수도 있다. In this paper, I have searched for works in which poetry ‘little things’(微物) can be found in Saseolsijo(辭說時調) and Japga(雜歌), and examined the meaning and poetic function of them in each work. So far,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the ‘little things’(微物) expressed in the works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is pap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various ‘little things’(微物) are also utilized in Saseolsijo(辭說時調) and Japga(雜歌) which are the subdivisions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the ‘little things’(微物) used in Saseolsijo(辭說時調) and Japga(雜歌)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eaning and poetic function as 1) materials that cause laughter, 2) reflection of the reality of life, and 3) medium of affection. Utilizing various ‘little things’(微物) in Saseolsijo(辭說時調) and Japga(雜歌) can be understood to be made in the same context as the changes in thought and art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emergence of the practical science philosophy(實學思想), the change of thinking about the self and the world, and the idea that the small beings have their own values ​​and meanings became an ideological background in which ‘little things’(微物) are utilized in the cre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the composing tendency to actively accept the ‘little things’(微物) in the works can be understood as an indicator that Saseolsijo(辭說時調) and Japga(雜歌) were growing as modern literary arts.

      • 스크린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MEA(조합 막 전극)의 특성

        임재욱,최대규,류호진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3 한국반도체장비학회지 Vol.2 No.4

        The effect of fabrication method of catalytic layer on electrode performance has been investigated. Brush, spray gun and screen printer were used as fabrication tool and catalytic layers were formed by several methods in screen printing. Direct screen printing on polymer membrane, screen printing on carbon paper, and their combined method were applied. In the electrode fabricated by the screen printing method, Pt loading of Pt/C catalysts could be cut down to 50%, compared with results by the brushing and spraying methods. The best result of electrode was obtained as 0.6 V, at 1 A/$\textrm{cm}^2$ when catalytic layer was formed by the combined way.

      • KCI등재

        ‘宋氏二水三山齋本’ 계열 琴譜의 세 이본 『淵民本』, 『朴淇煥本』, 『國樂院本』의 비교

        임재욱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규장각 Vol.49 No.-

        본고는 한국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송씨이수삼산재본 계열 금보의 새로운 이본인 『연민본』 금보를 소개하고, 이 계열에 속하는 세 이본인 『연민본』․『박기환본』․『국악원본』 중에서 어느 것이 비교적 오류가 적은 선본이고 또 가장 먼저 성립된 자료인지 알아보기 위해 세 이본에 수록된 거문고 연주법 관련 기록과 <만대엽> 및 <만대엽 조성보>를 비교하는 작업을 시도한 글이다. <만대엽> 계보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악보 가운데 하나인 <만대엽 조성보>는 송씨본 계열 금보에서만 볼 수 있는데, 세 이본에 기보된 곡조의 내용은 대체로 비슷하면서도 이본에 따라 조금씩 다른 점들이 발견되어, 셋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선본일지 판별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점은 원본이 전하지 않고 있는 <만대엽 조성보>만의 비교로는 알기 힘들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원본이 존재하고 있는 다른 곡, 곧 『양금신보』의 <만대엽>과 이를 전사한 세 이본의 <만대엽>을 비교해 보았다. 세 이본에서 『양금신보』와 다르게 기록한 곳을 찾아보면, 『연민본』에는 그것이 16곳, 『박기환본』에는 30곳, 『국악원본』에는 27곳으로 집계되어 『연민본』의 수치가 다른 두 이본에 비해 훨씬 적기 때문에, 세 이본 가운데에서 『연민본』이 『양금신보』를 가장 잘 전사한 자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세 이본의 성립 순서를 알아보기 위해 그것들 사이의 동이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세 이본 모두 『양금신보』를 직접 전사한 것이 아니라 세 이본과는 다른 어떤 이본을 이어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2) 세 이본은 서로서로 필사 대본과 전사본의 관계를 맺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3) 『연민본』이 비교적 선본이면서 다른 본에 앞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박기환본』이나 『국악원본』이 선본이면서 다른 본에 앞서 이루어졌을 가능성보다 높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송씨본 계열 금보의 세 이본인 『연민본』, 『박기환본』, 『국악원본』 가운데에서 『연민본』이 가장 선본이면서 또 가장 먼저 성립된 이본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즉 『연민본』이 오류가 가장 적을 뿐 아니라 성립 순서도 가장 빠른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송씨본 계열 금보의 연구에서 주요 대상은 『연민본』이 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四歌 合成의 관점에서 본 <青山別曲>의 의미

        임재욱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8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which is one of the songs of Goryeo(高麗) dynasty is composed of eight stanzas. And the eight stanzas can be divided into four pairs, and two stanzas of every pairs correspond structurally with each other. In this respect, the stanzas and phrases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ounterpart. The results of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point of view are as follows. The first and sixth stanza represent the ideal or imaginary space, the second and fifth express the grief in the real world and the cause of it, the third and seventh represent the impossible situation or fantasy world, and the fourth and eighth express the loneliness and the cause of it. About the meanings of the phrases and stanzas I could confirm such facts as follows. That is to say, the grief expressed in second stanza originated not from the loneliness arising out of the life in deep mountains but from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expressed in fifth stanza. And the third and seventh stanza can be interpreted smoothly leaving the words and expressions as it is, if we think that they represent some impossible situations in common. In addition the loneliness in the fourth stanza originat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in other words the situation that the poetic narrator lost her lover to another woman. 전체 8개 연으로 이루어진 <청산별곡>에는 구조적으로 대응되는 연들의 짝이 존재한다. 대응되는 연들을 둘씩 묶으면 8개의 연은 다시 4개의 단락으로 나뉜다. 본고는 이 점에 착안하여 이 작품이 둘씩으로 묶이는 네 편의 서로 다른 노래가 합성되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짝이 되는 연끼리의 대응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청산별곡>의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이 작품의 제1연과 제6연은 공히 이상적 혹은 가상의 공간을 노래하고 있고, 제2연과 제5연은 현실적 비애와 그 근원 노래하고 있으며, 제3연과 제7연은 환시과 환청을 통해 불가능한 상황 혹은 환상의 세계를 노래하고 있고, 제4연과 제8연은 현실적 고독과 그 근원을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구절 및 연의 의미와 관련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제2연에 표현된 ‘시름’은 제1연에 표현된 산 속 생활에서의 고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제5연에 표현된 ‘세계와 자아의 불일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제3연의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와 제7연의 ‘사미 대예 올아셔 금을 혀거를’은, 그것들이 공히 불가능한 상황을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면, 어구와 표현을 있는 그대로 두고도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제4연의 고독은 제8연에 표현된 남녀관계, 곧 제3자에게 연인을 빼앗긴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