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oes Governance Matter for Better Research Integrity in South Korea?

        임은옥(Eunok Im),한상연(Sang-Yun Han)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9 아태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구윤리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주요 행위자인 정부, 연구지원기관, 연구수행기관 및 연구자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하여 효과적인 연구윤리 거버넌스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윤리 관련 법령 및 지침과 관련 조직의 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의 관련 사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우리나라 연구윤리 거버넌스의 3가지 대안모델은 (1) 현상유지를 기반으로 기존 연구윤리 관련 국가 및 행정부 위원회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것, (2) 한국연구재단과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의 기능과 권한을 확대하여 미국식 연구윤리 전담기관 모델을 벤치마킹하는 것, (3) 교육부의 현 연구윤리자문위원회를 국가연구진실성위원회로 승격시키고 역할을 강화하여 연구윤리에 관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연구 활동에 대한 공공 개입의 타당성과 입법 개혁을 통한 실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 3가지 모델 중에서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연구윤리 거버넌스 대안 모델을 제안한 논문으로 외국에 우리나라 연구윤리 거버넌스를 소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n effective research integrity governance in South Korea by redefin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government ministries, national boards and committees, and funding agencies. For the purpose, it examines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o identify the major actors that constitute a research integrity governance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It proposes three alternative models: (1) to strengthen the linkages among extant national boards and committees related to research integrity without any legal reforms, (2) to expand the functions of funding or professional agencies, benchmarking the U.S. system, and (3) to establish a new national body, the National Research Integrity Committe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administrate research ethics issues across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comprehensively.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피시설 입지에 관한 로컬거버넌스 정립 방향: 방사능폐기장의 사례

        임은옥(Im, Eun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effective local governance for locating hazardous facilitie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siting of a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it illustrates the status quo local governance to identify key stakeholders and their roles in participatory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a local referendum. To this end, it analyzes the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survey respons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and interest group leaders. The analysis of institutions and expert opinions leads to the development of a new model of local governance that prioritizes safety over local residents’ acceptance. It also suggests that the objectivity and domain expertise of an independent site selection committee and a local government and council’s substantive engag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can secure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new model in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local referendums. 본 연구는 방사능폐기장 입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기피시설 입지에 관한 효과적인 로컬거버넌스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해관계자들과의 면담내용과 원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기존 방폐장 입지선정 거버넌스의 실태를 파악하고, 거버넌스 참여자의 역할과 참여기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로컬거버넌스의 방향과 구체적인 입지선정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뉴거버넌스는 방폐장 입지결정에 있어 수용성보다 안전성을 더 비중 있게 고려하는 모델로 주민 다수의 수용성이 담보된다는 전제하에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주민투표제의 한계를 독립적인 정부위원회의 과학적・객관적 검증으로 보완할 것을 제시한다. 주민투표의 찬성률로 최종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응모한 지역의 주민투표 결과 과반(또는 2/3)의 찬성률이 나오는 지역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부지선정위원회가 가장 적합한 지역을 평가하여 선정하는 것이다. 또한, 뉴거버넌스에서 해당 기초자치단체와 기초지방의회가 입지의사결정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해야 함을 강조하며, 입지결정 이후 모니터링 과정에 새로운 참여자로 원자력지역재단과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지역주재관을 제안한다.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주경(Jukyong Kim),임은옥(Eunok Im) 한국지방행정학회 2021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8 No.3

        최근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는 탄소배출비율을 줄이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확대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경우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들도 나타나면서 국민의 수용성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국민적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일반 국민 7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으로는 독립변수로 ‘시민참여’, ‘정책PR’, ‘투명성’을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신뢰’를 종속변수로는 ‘수용성’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성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뢰’ 요인이 있었으며, ‘시민참여’와 ‘투명성’ 요인은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정책PR’과 ‘투명성’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업자에 대한 신뢰 확보의 노력, 신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수립 등의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In response to ever-increasing concerns regarding the climate change, many governments across the globe take initiatives to transform their energy generation to new renewable energy sources that would allow substantial reduction in carbon emission. Along with the well-recognized expected benefits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considerable shortcomings including deforestation, massive generation costs, and unstable power supplies have been identified. The public has become aware of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as well.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has encountered a new challenge to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This study explores factors affecting people’s acceptanc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alyz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790 laypeople in Korea. We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citizen participation, policy public relations (PR), and transparency on public accep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ublic’s trust in a government agency in charge of implementing the new energy projects. Ou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s the following. First, trus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blic acceptance. Second, policy PR and transparency enhance trust that, in turn, improve public acceptance. Third,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people display lower acceptance as they engage mor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have more transparent informa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make policy suggestions to secure public acceptance of new renewable energy.

      • KCI등재

        합성 담즙산 유도체에 의한 세포사멸 및 세포주기조절

        박상은(Sang Eun Park),임은옥(Eun Ok Im),최영현(Young Hyun Choi),김남득(Nam Deuk Kim),유영현(Young Hyun Yoo)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본 종설에서는 천연 및 합성 담즙산이 여러 가지 암 세포주에서 세포 주기를 조절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기전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한다. 담즙산은 늘 일정량을 유지해야 하므로 그들의 세포 및 조직내의 농도는 제한적이다. 그러나 담즙 분비 이상으로 인해 증가된 담즙산에 노출된 간세포는 세포사멸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우리는 여러 개의 새로운 담즙산 유도체를 합성하게 되었다. 이 합성 담즙산 유도체들은 천연 담즙산과 유사하게 여러 가지 암 세포주에서 세포 주기를 조절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각기 다른 p53 유전자를 가진 사람 젖샘 및 전립샘 암세포에서 담즙산은 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데 이는 Bax와 p21WAF1/CIP1 발현증가와 관계가 있다. 사람 Jurkat T 세포 백혈병세포에서 담즙산은 caspase 활성화를 통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합성 답즙산은 사람 자궁목암세포인 SiHA 세포에서는 JNK 의존적으로, 전립샘 암세포인 PC-3 세포에서는 Bax 증가와 caspase 활성화를 통해, 큰 창자암세포인 HT-29 세포에서는 G1기 저지를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또한 4종류의 아교모세포종(U-118MG, U-87MG, T98G, & U-373MG)과 뇌 암세포인 TE671 세포에서도 합성 담즙산이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특히 1차 담즙산인 chenodeoxycholic acid(CDCA) 합성 유도체인 HS-1200 경우, in vivo 실험을 통하여, 현저하게 TE671 종양 크기를 억제하였고, NOD/SCID mouse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이들 합성 담즙산은 다양한 암을 치료하는 합리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paper outlines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cell cycle modul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cancer cells by natural and synthetic bile acid. Bile acid homeostasis is tightly regulated in health, and the cellular and tissue concentrations of bile are restricted. However, when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impair biliary secretion, hepatocytes are exposed to an elevated concentration of bile acids, which triggers cell death. In this context, we have synthesized several new bile acid derivatives. These synthetic bile acids modulate the cell cycle and induce apoptosis in several human cancer cells similar to the effects of natural bile acids. In human breast and prostate cancer cells with different tumor suppressor p53 status, synthetic bile acid induced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and these changes were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Bax and p21WAF1/CIP1 through a p53-independent pathway. In Jurkat human T cell leukemia cells, the synthetic bile acids induced apoptosis through caspase activation. The synthetic bile acids induced apoptosis in a JNK-dependent manner in SiHa human cervical cancer cells through the induction of Bax and activation of caspases in PC3 prostate cancer cells and induction of G1 phase arrest of the cell cycle in HT29 colon cancer cells. The synthetic bile acids also induced apoptosis in four human glioblastoma multiform cell lines (e.g., U-118MG, U-87MG, T98G, and U-373MG) and one human TE671 medulloblastoma cell line. A chenodeoxycholic acid derivative, called HS-1200,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rowth of TE671 medulloblastoma tumor size and increased lifespan in nonobese diabetic an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t (NOD/SCID) mi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new synthetic bile acids, which are novel apoptosis mediators, might be applicable to the treatment of various human cancer cells.

      • KCI우수등재

        원전지역 주민의 원전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 - 커뮤니케이션, 투명성, 경제적 편익 인식과 신뢰를 중심으로 -

        김주경 ( Jukyong Kim ),임은옥 ( Eunok Im ) 한국정책학회 2019 韓國政策學會報 Vol.28 No.3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폭발 사고 이후 원자력의 위험인식과 수용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수용성을 주로 다루었으며, 원전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수용성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5개 원전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원전 수용성의 결정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결정요인이 도출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전 주변 지역주민들 600명을 대상으로 직접대면조사 설문결과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투명성, 경제적 편익이 주민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커뮤니케이션, 투명성, 경제적 편익은 모두 주민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서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수용성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는 커뮤니케이션, 투명성, 경제적 편익을 통해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원전 주변 지역주민의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fter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in 2011 that aroused the concern on the riskiness of nuclear power, the public’s perception of nuclear power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However, the research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general public’s acceptance at a society level, and we still know little about residents’ acceptance at local community levels. To fill this void, we examine the determinants of local residents’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s, analyzing the data from face-to-face surveys of 600 residents nearby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Particularly, we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communication, transparency, and economic benefits on acceptance and the effect of trust as a mediating fact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document evidence that residents display greater acceptance to nuclear power plants when they are provided with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higher transparency, and larger economic benefits. Importantly, we find that these factors als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ceptance through trust. Based on the findings, we develop some policy suggestions to secure acceptance of residents neighboring nuclear power plants.

      • KCI등재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의 최근 동향

        김혜진,강경민,김수진,임은옥,Kim, Haejin,Kang, Kyungmin,Kim, Sujin,Im, Eunok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4

        장내 미생물은 사람의 장에 거주하는 미생물 집단으로 자신들의 효소를 이용해 사람에게 직접적인 에너지원이 되는 대사산물을 만들기도 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에 대응하기도 하며 소화관의 구조와 기능유지 및 면역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다양한 분석기술을 통해 사람의 장에 있는 다종 및 다수의 미생물의 구성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 특정 질병을 지닌 사람의 장내 미생물 구성은 건강한 사람의 일반적인 구성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건강한 사람의 대변에 있는 장내 미생물을 질병을 지닌 수여자에게 이식하는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시술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FMT는 장내 미생물의 구성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질병에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재발률이 높은 Clostridium difficile 감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밝혀진 장내 미생물과 관련된 질병들의 종류와 실제 질병에 FMT를 적용한 사례 등을 정리하고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치료제나 진단도구의 예를 기술함으로써 장내 미생물의 사람의 건강증진과 질병치료를 위한 차세대 생물학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Gut microbiota is a group of microorganisms that resides in the intestine and serves many important functions in human health. Using 16S ribosomal RNA sequencing analysis, a wide variety of bacteria in human gastrointestinal tract has been identified along with intriguing findings that there is a different bacterial composition among individuals.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is a procedure of stool transplantation from healthy donors to patients suffering from various diseases. Specifically, FMT is able to alter the composition of gut microbiota of recipients and therefore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the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diseases including recurrent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Here we review a list of human diseases related to gut microbiota disturbance and the case studies of FMT. We also summarize medicines and diagnostic tools that are under development. Therefore, gut microbiota can be a next generation's biotherapy for promotion of health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