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간편법에 의한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이주헌,양승만,김성준,강부식,Lee, Joo-Heon,Yang, Seung-Man,Kim, Seong-Joon,Kang, Boo-Sik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3 No.2

        Based on the statistical annual report, there are 17,649 reservoirs are operating for the purpose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Korea. 58 % of entire agricultural reservoirs had been constructed before 1948 which indicate the termination of required service life and rest of those reservoirs have also exposed to the dam break risk by extreme flood event caused by current ongoing climate change. To prevent damages from dam failure accident of these risky small size dam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manage the structural and hydrological safety of the reservoirs. In this study, a simplified evaluation method for hydrologic safety of dam is suggested by using Rational and Creager formula. Hydrologic safety of small scale dams has evaluated by calculating flood discharge capacity of the spillway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design frequency of each reservoir. Applicability and stability of suggested simplified method have examined and reviewd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rainfall-runoff modeling with dam break simulation using HEC-HMS. Application results of developed methodology for three sample reservoirs show that simplified assessment method tends to calculate greater inflow to the reservoirs then HEC-HMS model which lead lowered hydrologic safety of reservoirs. Based on the results of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ethodology can be adapted as useful tool for small scale reservoir's hydrologic safety evalu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특성 분석 -5대강 유역의 가뭄빈도분석을 중심으로-

        이주헌,장호원,김종석,김태웅,Lee, Joo-Heon,Jang, Ho-Won,Kim, Jong-Suk,Kim, Tae-Woong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roughts from the magnitude perspective based on the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the theory of runs applicable to quantitative analysis of drought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dry spel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rought history in the five major river basins of South Korea to obtain the magnitude, duration and severity of drought, 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has been made on historical droughts by estimating the return period using the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 gained through drought frequenc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eturn periods for droughts at the regional and major river basin scales were clearly identified. The return periods of severe drought that occurred around the major river basins in South Korea turn out to be mostly 30 to 50 years with the years of the worst drought in terms of severity being 1988 and 1994. In particular, South Korea experienced extremely severe droughts for two consecutive years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4 and 1995. Drought in 2014 occurred in the Han River basin and was evaluated as the worst one in terms of severity and magnitude.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SPI)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과거 가뭄사상을 규모적 관점에서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5대강 권역에 대한 가뭄사상의 지속기간, 규모, 평균심도를 연속이론을 바탕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과거 가뭄사상의 재현기간을 추정하고 가뭄 평균심도-지속기간-빈도 곡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가뭄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 발생했던 심한 가뭄의 재현기간은 대부분 30~50년으로 분석되었으며, 가뭄규모로 평가할 때 가장 가뭄이 심했던 해는 1988년과 1994년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4년과 1995년에서는 2년 연속 가뭄이 발생하여 가장 극심했던 장기가뭄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14년의 가뭄은 한강 권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였으며 가뭄의 규모와 평균심도 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극심했던 가뭄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가뭄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가뭄의 경향성, 주기성 및 발생빈도 분석

        이주헌,서지원,김창주,Lee, Joo-Heon,Seo, Ji-Won,Kim, Chang-Joo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PDS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를 선정하였고, 기상청 산하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80~2009년까지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월평균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지수별 경향성 분석, 주기성 분석 및 가뭄기간(Drought Spell) 조사를 통하여 과거 한반도 가뭄의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반도 가뭄의 유역별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SPI3와 SPI6는 봄과 겨울에는 모든 유역에서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SPI12와 PDSI의 경우 짧은 지속기간의 가뭄지수와는 다소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역별 가뭄의 주기성을 분석한 결과 1~2년 또는 6년 내외의 주기 성분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PI3의 분석결과 유역 전반에서 1~2년의 주기성을 보였고, SPI6와 SPI12는 유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4~6년에서 강한 주기성을 나타냈다. 또한 PDSI도 마찬가지로 6년 내외의 주기성을 보였다. 가뭄기간 조사에서도 금강, 영산강, 낙동강 유역에 위치하는 관측소를 중심으로 극심한 가뭄이 많이 나타났던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한반도의 중부지방 보다 남부지방이 극심한 가뭄에 취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ought of Korea through trend, periodicity and drought spell analysis by using the drought indices.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were calculated using weather data of 59 weather stations unde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s a result of analysis, SP13 and SP16 showed trend of drier spring, drier winter and wetter summer in all basin of Korea. However, SPI12 and PDSI showed different trends with shorter duration drought indices. In case of wavelet transform analysis for drought periodicities, in a band of 1~2 years or below 6 years showed significant spectrum. SP13 showed strongest power spectrum near the band of 1~2 year variance, and SPI12 and PDSI showed 6 years periodicities. The results from drought spell showed that Nakdong River Basin, Geum River Basin and Youngsan River Basin were appeared as severe drought vulnerable area of Korea.

      • KCI등재

        하천유량의 모의발생을 위한 추계학적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주헌,Lee,Joo-Heon 한국방재학회 200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 No.2

        실측자료가 충분하지 못한 단기간의 유출량 자료로부터 추계학적 모형에 의해 장기간의 자료를 모의발생시키는 목적은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설계홍수량의 산정 및 수자원 시스템의 운영조작 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풍부한 입력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단일지점이 아닌 다지점에 대한 지점간 서로의 연관성을 고려한 하천유량의 추계학적인 모의 발생기법인 다변량 자기회귀 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의 2개 지점에 대하여 다변량 모형을 적용하여 모의 발생된 월유량과 실측치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모의발생된 월유량과 실측치를 평균, 분산, 왜곡도, 상관관계 등에 의해 비교, 분석한 결과 모의발생된 월유량과 실측치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ynthetic generation of monthly river flows based on the short term observed data by means of stochastic models is to provide abundant input data to the water resources systems of which the system performance and operation policy are to be determined beforehand. In this study, a multivariate autoregressive model has been applied to generate monthly flows of the multi sites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site. The model performance was examined using statistical comparisons between the historical and generated monthly series such as mean, variance, skewnes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deled generated flows were statistically similar to the historical flows.

      • KCI등재

        한국 벤처캐피탈의 조직상황적 특성, 인적자원 특성 및 투자전략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주헌,Lee, Joo-He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 벤처창업연구 Vol.2 No.4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risk capital competing for deals in the korean entrepreneurial capital market. In the past, even though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ists did not have their distinctive competitive advantages, due to government support and subsidies, they could be survived in the market. However, the government controlled area has changed to a market driven area which emphasizes market forces and competition rather than support and protection. In order to be competitive,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 firms need to recruit high calibre professionals and build required financial skills for wise entrepreneurial investm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firm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korean venture capital firms. We can find that the asset size of venture capital fir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ize of their human resources. However, we can not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firm characteristic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venture capitals. Even though we find some evidences among some variables, we need to interpret the results very carefully. Further research would be needed to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sputable interpretations and our understanding of this area.

      • KCI등재

        가뭄우심도를 활용한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분석

        이주헌,조경준,김창주,박민재,Lee, Joo Heon,Cho, Kyeong Joon,Kim, Chang Joo,Park, Min Jae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0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이용한 가뭄 빈도해석을 통하여 남한지역에서 발생했던 과거가뭄사상의 시, 공간적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가뭄의 심도별, 지역별 발생빈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Drought Spell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심한 가뭄에 대한 가뭄우심지역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뭄의 지속기간별 가뭄빈도해석을 통해 기상관측소별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가뭄우심도(Potential Drought Hazard Map)를 작성하였다. 가뭄단계별 과거의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금강, 낙동강, 섬진강 유역에서 심한가뭄과 극한가뭄단계의 발생빈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뭄빈도해석을 통해 작성된 SDF 곡선에서도 한강유역에 위치한 서울관측소에 비해 금강, 낙동강, 섬진강 유역에 위치한 대전, 대구, 광주 관측소의 재현기간별 가뭄심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가뭄빈도해석을 통해 작성된 가뭄우심도에서는 한강 유역과 낙동강 유역의 상류 지역에 비해 금강, 섬진강, 영산강 유역이 가뭄에 취약했던 지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가뭄단계별 발생빈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계절별 가뭄우심도의 경우 봄철에 가장 자주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짧은 지속기간의 가뭄이 자주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occurred in Korea by way of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Drought spell was executed to estimate drought frequency as per drought severity and regions. Also,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were prepared per each weather stations to estimat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the severe drought areas of Korea, and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was prepared based on the derived SDF curves. Drought frequency analysis per drought stage revealed that severe drought as well as extreme drought frequency were prominently high at Geum River, Nakdong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 as can be seen from SDF curves, and drought severity was found as severer per each drought return period in the data located at Geum River, Nakdong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as compared with that of Seoul weather station at Han River basin. In the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it showed that Geum River, Seomjin River, and Yeongsan River basins were drought vulnerable areas as compared to upper streams of Nakdong River basin and Han River basin, and showed similar result in drought frequency per drought stage. Drought was occurred frequently during spring seasons with tendency of frequent short drought spell as indicated in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of different s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