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의 확장과 초등수학교과서의 공간추론 내용의 분석 -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이정민 ( Lee¸ Jungmin ),김봉준 ( Kim¸ Bongjun ),전인호 ( Jeon¸ I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De Moor의 공간추론에 대한 개념의 확장을 모색하며, 그 관점으로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영역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발문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초등수학교육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국내 여러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사용된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을 분석하여 그 내용들을 범주화하고 구조화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De Moor의 공간추론의 개념은 시각화와 추론으로 구성되는 수학적 사고과정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의 구조를 공간능력과 추론으로 확장하였다. 그리고 공간추론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새롭게 제안하였다: 공간추론은 일상생활이나 학습활동에서 공간능력을 사용하여 추론을 수행하는 수학적 사고과정이다. 이 공간추론의 정의는 공간추론은 수학적 사고 과정이며 인간의 인지능력의 매우 중요한 부분인 공간능력과 수학적 추론(넓은 의미로)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공간능력은 기존의 알려진 정의(전인호, 2021)에 따라 공간시각화와 공간방향으로, 추론은 일반적으로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안을 하였고, 여기서 공간능력과 추론의 하위 구성요소들의 수준을 조정하면 대상 학년 수준에 적용가능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De Moor의 확장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관점으로 초등수학 수준에 적용 가능한 공간추론 분석 기준을 세워 현행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의 발문에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경향성을 양적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인 면에서 구조의 구성 일부분에 편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간추론을 구성하는 공간능력과 추론의 일부 하부 요소에서 학년과 단원에 따라 심한 편중성을 보였는데, 특히 공간능력의 경우는 학년별로 혹은 단원별로 일부 하위 구성요소에, 추론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국소)연역적 추론에 편중되었다. 따라서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공간추론 신장을 위하여 학년과 단원에 따라 공간추론 내용을 구조적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선 다양한 공간능력과 추론을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적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De Moor’s spatial reasoning was sought, and from that point of view, the contents of spatial reasoning were investigated in the figure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first part, we analyzed De Moor’s spatial reasoning concept, which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veral domestic previous studies on spatial reason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o categorize and structure its contents. As a result, De Moor’s concept of spatial reasoning could be viewed a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composed of visualization and reasoning, and based on this,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was extended to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And the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is newly proposed as follows: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that uses spatial ability in daily life or learning activities to perform reasoning. This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means that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and consists of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reasoning (in a broad sense), which are very important parts of human cognitive ability. Here, spatial ability is proposed to be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based on existing known definitions (Jeon, 2021; McGee, 1979), and reasoning is generally composed of deductive reasoning and inductive reasoning. And it was shown that the structure of spatial reasoning concept applicable to the target grade level can be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level of subcomponents of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In the second part, as a result,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patial reasoning concept, there was a tendency to be biased towards a part of the structure. Spatial ability constituting spatial reasoning and some sub-elements of reasoning showed severe bias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atial ability, some factors were biased by grade level or unit, and in the case of reasoning, overall (local) deductive reasoning was biased.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spatial reasoning contents are not structurally biased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patial reasoning. suggested.

      • KCI등재

        국내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세부 작성지침(안) 개발

        이정민,문주현,Lee, Jungmin,Moon, Joohyun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3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1 No.3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작성은 원자로시설의 안전한 해체, 해체폐기물의 발생 최소화, 사람과 환경 보호 등을 위해 원자로시설 해체에 앞서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고리 1호기, 월성 1호기가 머지않은 시기에 해체를 맞이하게 되지만, 해체계획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관련 세부 지침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IAEA의 원자력 국제 안전기준과 원자로시설 해체경험과 선진화된 규제체계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영국, 프랑스의 해체계획서 작성 지침을 비교분석하고 국내 상황을 감안하여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세부 작성지침(안)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작성지침(안)은 국내 원자로시설 해체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해체사업자가 원자로시설을 해체하고자 할 때 미리 준비사항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KCI등재

        열전지용(MS<sub>2</sub>, M=Fe, Ni, Co)계 양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이정민,임채남,윤현기,정해원,Lee, Jungmin,Im, Chae-Nam,Yoon, Hyun-Ki,Cheong, Hae-W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9

        Thermal batteries are used in military power sources that require robustness and long storage life for applications in missiles and torpedoes. $FeS_2$ powder is currently used as a cathode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specific energy density, environmental non-toxicity, and low cost. $MS_2$ (M = Fe, Ni, Co) cathodes have been explored as novel candidates for thermal batteries in many studies; however,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1, 2, 3 plateau) of single cells in thermal batteries with different cathodes have not been elucidated in detail. In this study, we independently analyzed the discharge voltage and calculated the total polarizations of single cells using $MS_2$ catho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NiS_2$ as a potential cathode material for use in thermal batteries.

      • KCI등재

        양극 활물질의 입도에 따른 열전지 출력 특성 연구

        이정민,Lee, Jungmi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4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7 No.6

        Thermal batteries are used for military power sources that require robustness and long storage life such as missiles and torpedoes. $FeS_2$ powder is currently used for cathode materials because of its high specific energy density, environmental non-toxicity and low cost. However, large particle size of conventional $FeS_2$ has been deterred its possible application for higher power thermal batteries. In order to improve the power density, high energy ball milling of $FeS_2$ has been introduced to crush the micron-sized $FeS_2$.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cells fabricated with nano-materials and conventional $FeS_2$ powder were evaluated.

      • KCI등재

        단일겹치기이음시험을 이용한 합금화용융아연코팅강판의 코팅층 접합강도 평가

        이정민(Jungmin Lee),이찬주(Chanjoo Lee),고대철(Daecheol Ko),이선봉(Seonbong Lee),김병민(Byungmin Kim) 대한기계학회 2009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3 No.6

        This paper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adhesion strength of galvannealed coatings on steel sheets. The adhesion strength were evaluated using single lap - shear tests where the lap joint was bonded by structural adhesive. Tests were performed for overlap length of 5㎜, 10㎜ and 15 ㎜ and three directions (0, 45, 90) of steel sheets used as the adherend of the overlap joint. After the tests, FE simulations of the single lap - shear test were also carried out to observe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coated she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int failure loads obtained from the tensile tests of bonded single lap-joints were the same, regardless of overlap lengths and directions of steel sheets. Also, the failure of galvannealed coatings greatly depended on shear stress distribution in the interface and the value was about 30㎫.

      • KCI등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이정민(Lee Jungmin),방현주(Bang Hyunjoo),정혜원(Chung Hye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중1패널 1~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이차함수변화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치인 중1 시기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같은 시기의 진로성숙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1 시기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을 낮게 하였지만, 오히려 진로성숙도의 2차 변화율은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가 종단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6-waves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datase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s change patterns were curvelinear (U-shaped).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itial status of the career maturity. However, the initial statu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growth rate of the career maturity,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quadratic growth rate of the career matur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career maturity was longitudin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눈물길미세내시경 소견에 따른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 분석

        이정민(Jungmin Lee),한지상(Jisang Han)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12

        목적: 눈물길폐쇄 환자에서 눈물길미세내시경상 관찰되는 폐쇄의 위치와 정도가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눈물길미세내시경하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 받은 120안 7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차트 리뷰를 시행하였다. 수술 성공률과 환자의 임상양상, 수술 전 관류검사의 결과, 눈물길미세내시경 관찰양상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으며, 눈물길미세내시경상 관찰되는 폐쇄의 위치와 정도를 분류하였다. 결과: 눈물길미세내시경하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 받은 120안 중 수술 성공은 101안(84.2%)이었다. 미세내시경상 눈물소관협착 41안(34.2%), 눈물소관폐쇄 35안(29.2%), 코눈물관협착 24안(20.0%), 코눈물관폐쇄 28안(23.3%)이 관찰되었다. 눈물소관과 코눈물관의폐쇄의 위치에 따라 성공률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폐쇄 정도에 따라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41, p=0.018). 결론: 눈물길미세내시경 소견을 바탕으로 코눈물관폐쇄를 분류할 수 있으며, 폐쇄의 위치는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과 관계가 없었고, 눈물길폐쇄의 정도는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In patients with lacrimal passage obstruction,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obstruction observed in lacrimal endoscopy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success rat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20 eyes of 74 patients who underwent lacrimal endoscopy (RUIDO fiberscope; Fibertech Co., Tokyo, Japan)-assisted silicone tube intubation from August 2018 to October 2019. The analysis included clinical characteristics, irrigation test results, lacrimal endoscopic findings, and analyzed factors associated with surgical success.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obstruction observed by lacrimal endoscopy were classified. Results: Of the 120 eyes that received lacrimal endoscopy-assisted silicone tube intubation, 101 eyes (84.2%) were successful in surgery. Canalicular stenosis in 41 eyes (34.2%), canalicular obstruction in 35 eyes (29.2%), nasolacrimal duct stenosis in 24 eyes (20.0%), and nasolacrimal obstruction in 28 eyes (23.3%) were observed in lacrimal endoscopy.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obstruction of the canaliculus and nasolacrimal duct, it was observed that surgical success was affected by the severity of the obstruction (p = 0.041 and p = 0.01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severity of the lacrimal passage obstruction observed during lacrimal endoscopy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ccess rate of lacrimal endoscopy-assisted silicone tube intubation. However, the location of the obstruction in the lacrimal passag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ccess rate.

      • KCI등재

        제도시행 초기에 살펴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에 대한 연구

        이정민(Lee Jungmin),서영민(Suh youngmee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는 누리과정 보조교사 제도가 시행된 초반에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일을 하면서 인식한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이 무엇인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노랑어린이집(가명)과 빨강어린이집(가명)에서 근무하고 있는 누리과정 보조교사 5명과 담임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3년 7월부터 2014년 2월 28월에 걸쳐 현장일지를 작성하고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첫째,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경험하는 대인관계는 아동과의 관계와 담임교사와의 관계로 나누어 그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는 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지도와 교육활동 보조로 나타났다. 셋째,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인식한 근무조건은 적게 일하고 적게 책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누리과정 보조교사 제도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제도가 시행된 직후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관점에서 이들이 업무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현장에 적응해갔는지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gure out how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perceive their work features after the policy for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 had been established. Five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and two full time child care teachers from two day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ers wrote reflective journal after working as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 and interviewed the othe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ree categories. First,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interacted with children and teachers. Second, the work feature of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were to make interaction and guidance for children, and supporting the head teacher to prepare educational activities. Third,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perceived their work condition as work less and be paid les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of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is effective to enhance daycare quality. Al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to use their experience and ability in the child care center.

      • KCI등재

        미래 초등교사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G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정민(Lee, Jungmin),김혜원(Kim, Hye-Weo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G교육대학교 재학생들이 예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과 관련된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174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집단을 통해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총 145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조사를 구성하였다. 셋째, G교육대학교 재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조사에 사용될 78문항을 도출하였다. 넷째, G교육대학교 재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69문항으로 이루어진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완성하였다. 다섯째, 완성된 측정도구의 측정불변성 검증을 위해 G교육대학교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최종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 동일 모집단 내의 다른 표본에서도 동일한 요인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완성된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크게 일반역량군(창의역량, 심미적판단역량, 문제해결역량, 공동체역량,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과 특수역량군(아동이해역량, 가치설정역량, 교직전문성역량)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하위 역량들은 2개 또는 3개의 하위 영역을 지니고 있으며, 각 하위 영역은 2∼5개의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of the nine key competencies for students of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NUE) as a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o examine its validities. The detailed steps of the research process are following. First, based on a previous empirical study of GNUE, the study developed 174 candidate items and assess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andidate items by 15 experts in the field. Second, as a preliminary test(total of 145 items), responses of 424 students of GNU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evaluate the items and the sub-scales’ quality. Third, the preliminary data analysis resulted in 79 items, administered to 390 students of GNUE agai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tems and scale’s quality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As a result, the study revealed the final 69 items for nine key competencies and identified two big domains of competences as a general competence domain (six competencies) and a specific competence domain(three competence). Additionally, using another students’ sample of GNUE(N=214), the scale’s measurement invariance was confirm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