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필드 장치 인터페이스 단일화를 위한 인터넷 기반의 DCP 프로토콜 연구

        이영준(Youngjun Lee),조인휘(InWhee Jo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기존의 필드장치들의 인터페이스는 시리얼 기반으로, 개발 업체들 간의 인터페이스가 단일화 되어 있지 않아 여러가지 불편함이 있다. DCP (Device Configuration Protocol)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TCP/IP표준 프로토콜상에서 돌아가는 응용 프로토콜로서, 특히 응용계층에서 Client와 Server의 역할을 교환하여, 다양한 필드장치들의 인터페이스를 단일화하기 위해 제안한 프로토콜이다. 만약, 이러한 DCP 인터페이스 방식을 현장에 적용하게 된다면, Device의 소형화에 의한 비용절감 효과와 효율적 장치 제어 및 관리로 인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기대된다.

      • ARM프로세서를 이용한 RS232C와 TCP/IP 접속장치의 구현

        이영준(Youngjun Lee),한경호(Kyongho Han) 전력전자학회 2002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the connection device of RS232C and TCP/IP implementation using ARM processor and LINUX is proposed. Data interaction flash memory the multiple serial ports are transferred to ARM processor and the data are processed and formed into data packet for transfer via internet protocol. Packet flash memory internet is decoded to extract the serial port data. The serial ports supports RS232C asynchronous protocol communication and control program is developed in GNU -C and installed in the on-board memory for packet conversion and control The research result can be applied to terminal server, printer server and multiple serial ports equipments.

      •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버즈 학습의 필요성

        이영준(YoungJun Lee),곽병찬(ByoungChan Gwa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원격 수업(Real-Time Distance Education) 환경 하에서 학생들의 수업 집중 및 효율적인 교수를 위한 버즈학습(Buzz Learning)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 학습법은 실시간 원격 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집중력 저하 및 수업참가율 저조를 최소화하고, 학습자 간의 협동 및 상호작용을 향상시킨다. 또한 버즈법에 의한 그룹 편성 및 학습형태는 각 그룹에서 토의한 결과를 다시 전체가 모여 토의함으로써 소집단의 토의결과를 종합 정리하고 결론을 도출해 내는 집단 토의 형태를 띤다. 토의학습은 흔히 몇몇 학생의 경우 토의에 참가하지 않거나 또는 한 명이 독무대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여기서는 그룹 전원이 토론에 적극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원격 수업을 통하여 이뤄지는 실제 강의에 적용된 버즈 학습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 향상 면에서 우수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문화 장벽과 번역원작 – 「풍금이 있던 자리」와 번역본 「눈먼 송아지」의 거리

        이영준(Lee, YoungJun)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이 논문은 한국문학 작품이 영어로 번역되어 현지에 소개될 때 출발지 한국어 작품이 도착지 영어권의 문화적 맥락과 관습에 의해 어떻게 변형되고 삭제되는지 그 작동 방식을 문화 장벽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한국소설이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려면 현지 출판편집자의 편집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영미의 출판 관행은 한국과 매우 달라서 편집자가 원작을 첨삭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편집 행위에는 영미 소설의 출판 관행에서는 자연스런 규범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그 사회의 문화적 관습이나 전통이 작동한다. 이러한 문화적 관습이 나 전통은 현지인들은 그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지만 문화적 관습이나 전통이 다른 한국의 작가나 독자들은 충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장벽과 충돌의 현장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신경숙의 단편소설 「풍금이 있던 자리」가 영어로 번역된 사례를 검토한다. 사례로 선정된 세 가지의 번역본 중에서 국내의 잡지에 발표된 영역본들은 대체로 원본의 내용과 형식을 지키려고 노력했으나 미국의 현지 잡지에 발표된 판본은 원형을 매우 심하게 삭제하고 변형시켰다. 무엇보다도 전체적인 분량을 줄였으며 원작에서 감정 표현의 세부적인 장치들은 철저히 무시되었다. 특히 분량이 줄어든 부분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결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주인공이 내리는 중요한 결정의 맥락이 가족에 대한 존중에서 나온 것인데 영어권 문화에서의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원작에서 삭제한 점은 문화적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심각한 문제로 판단된다. 보기에 따라서는 문화적 반달리즘이라고 할 수도 있는 이러한 편집 행위는 한국 문학 작품의 특질이 문화적 차이에 의해 이해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된 것이다. 그러므로 신경숙 소설에 나타나는 가족공동체에 관한 강조가 미국 평론가에 의해 센티멘탈리즘으로 지목된다거나 『하버드 리뷰』의 편집자에 의해 대거 삭제되는 사태는 한국 문학 작품의 영어번역 출판에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판단된다. 신경숙의 작품에 대한 해설문을 『하버드 리뷰』가 제공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문학의 독자적인 특질에 대한 섬세한 고려가 없다면 한국 문학의 많은 부분이 문화 장벽에 의해 삭제되거나 거부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how Korean literary works are transformed by the cultural context and customs of the English-speaking country. In order for Korean novels to b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published, it goes through the editing process of a local publishing editor. The publishing practices of Anglo-American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so editors frequently correct original works. In this editing act, the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of the society, which are accepted as natural norms in the publishing practices of English and American novels, operate. These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are naturally thought by locals, but Korean writers and readers with different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can take it shockingly.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cultural barriers and the scene of conflict, this paper examines a case in which Shin Kyungsook’s short story “The Place Where a Harmonium Was”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mong the three translations selected as examples, the versions published in domestic magazines generally tried to preserve the content and form of the original, but the work published in local American magazines severely deleted and transformed the original. Above all, the overall volume was reduced, and detailed devices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thoroughly ignored. Particularly, in the part where the volume is reduced, cultural differences are revealed decisively. The context of the important decision the protagonist original work from an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in English-speaking culture seems to be a serious problem even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This editing act, which may be called cultural vandalism, is determined unilaterally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ry works by cultural differences. Therefore, the situation that the emphasis on the family community in Shin Kyungsook’s work is pointed out as sentimentalism by American critics or is largely deleted by editors of the Harvard Review is reconsidered a factor that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publication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many parts of Korean literature could be deleted or rejected by cultural barriers.

      • KCI등재

        스마트폰의 기능적 특성이 스마트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준(Youngjun Lee),김근아(Geuna Kim),김상현(Sanghyun Kim)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2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2 No.4

        With rapid increase of smartphone usage, users are looking at functional aspects of a smartphone when they decide to use or switch to a smartphone from other services.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mpirically test variables categorized in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smartphon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Davis, 1989), this study proposes seven constructs, including Mobile Platform, Interface, Mobile Service, Multimedia, Application Variety, Multitasking, and Sensor Technology, and examines their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In addition, gender as a moderating effect is suggested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difference exi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s in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smartphone and perceived usefulness. Results from 441 smartphone users indicate that Multimedia was not significant for male user while Multitasking and Sensor Technology were not significant for female users. In addition,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for several path between male and female users.

      • 망 분리 환경에서의 하드 드라이브 LED 를 활용한 데이터 유출 기법 연구

        이영준(YoungJun Lee),박장용(JangYong Park),유재훈(JaeHoon Yoo),이지호(JiHo Lee),강지원(JiWon Kang),김경신(Kyungshin Kim),송재승(JaeSeung Song)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망 분리 기술은 외부망과 내부망 사이에 물리적·논리적 접점이 없다는 이유로 비교적 안전한 네트워크 구조라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최근 여러 연구에 따르면 망 분리 기술조차 악의적인 공격자로부터 완전히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망 분리 기술에 대한 여러 공격 시나리오 중 내부망 PC 로부터 수집한 중요 데이터를 하드드라이브 LED 에서 발생하는 빛을 전송 매개체로 활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송·수신되는 중요 데이터의 무결성과 유출 과정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비트 프레이밍과 인코딩 방식을 설계하고, 일련의 광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드 드라이브 LED의 적절한 제어 방안을 연구한다.

      • J2ME Device를 위한 JXTA 기반의 P2P 서비스

        이영준(YoungJun Lee),임근화(Keunhwa Lim),김상태(Sangtae Kim),곽동규(Dongkyu Kwak),박원배(Wonbae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P2P(peer-to-peer) 방식의 통신 모델의 강점은, 기존의 Server-Client 모델에 비해 Server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중앙 집중의 제어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P2P 모델들은 서비스의 성격과 시스템 환경이 달라, 서로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사에서 제안한 JXTA는 프로그래밍언어와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개발 가능한 P2P 모델로서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JXTA를 무선환경에서 원활하게 적용하기에는 J2ME Device의 제한된 자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J2ME Device를 위해 JXTA기반의 Relay를 사용하여 무선환경에서 유연하게 적용되는 P2P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