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지질유산 정보구축 및 관리방안

        이수재,김지영,이영준,사공희,이은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14

        본 연구는 국내의 지질유산(geological heritage)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을 모아 유형별로 목록을 작성하여 그 정보를 구축하였다. 지질정보가 구축된 자료 중 위치정보(GPS)가 있는 것은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자료를 전자정보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지질 목록은 2,000여 개이며 이 중 약 1,000 개가 지리정보체계(GIS)에 수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지질유산의 관리 현황을 법·제도 측면에서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국내에 도입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외의 지질유산 관리의 공통점은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조사 및 발굴 작업을 하는 한편, 웹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일부 국가는 조사된 지질유산을 이용하여 지질공원 지정에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지질유산에 대한 개념이 미정립되어 있으나, 향후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여 지질장소(geosite)를 적극 발굴하고 이들 중 중요한 것은 법정 지질유산으로 지정하는 한편, 많은 국민들이 지질다양성을 이해하고 즐기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10~12개의 국가지질공원을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울릉도(독도 포함) 등이 국가지질공원 및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면 지역경제 뿐만 아니라 영토 수호 차원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질공원은 행위제한이 거의 없는 자발적인 공원형태로서 기존의 국립공원 등과는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본 연구는 제한된 시간 내에서 수행한 자료를 구축한 것이므로 향후 지질장소의 추가 발굴과 조사·분석된 자료의 현장 검증 및 지질유산의 가치 부여 등의 후속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성평가 업무에 바로 활용이 가능하며, 일반인들에게 제공시 지질관광 혹은 생태관광 및 학생들의 자연탐사 활동이나 현장체험학습 장소와 탐구 등과 연계하여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별 요약> 제1장 서론 본 연구는 최근 제주도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세계지질유산으로 지정되는 등 국내에서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질유산을 국가적으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다루었다. 또한 연구결과를 환경평가나 기타 자연환경보전업무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지질유산 및 지질다양성 개념의 정립, 국내·외 지질유산의 관리 현황의 조사, 국내 지질유산 자료의 조사·분석·목록작성, 지질유산의 전자정보 구축,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방안 제시, 지질유산의 관리방안과 활용방안의 제시 등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남한에 한정하여 지형분야 일부를 포함한 지질학적 사항을 위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조사 및 전문가 등의 설문조사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류하였고, 전문적 현장조사가 필요한 부분은 외부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제2장 지질유산의 개요 본 연구에서는 지질다양성, 지질보전, 지질유산, 지구유산, 지질공원, 지질관광 등의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지질다양성, 지질유산 그리고 지질자원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국내에서 지질유산의 관리는 문화재보호법과 자연환경보전법, 습지보전법 등의 개별법에 지형·지질 관련 조항이 있어서 제도적 장치는 구비되어 있지만, 정기조사 및 통합관리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과제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로 이수재 외(2003)가‘보전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대상설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고, 본 연구는 제6장 국내 지질유산의 관리방안 우리나라에서 지질유산의 관리는 법제도적으로는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 및 운영에서 미약하다. 하지만 국내 지질유산은 그 다양성이 풍부하므로 이들을 적정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지질유산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정기적인 조사·분석 및 보완하는 법정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관련 전문가의 노력으로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지질유산 선정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지질유산과 관련된 학문적 성과를 정보자료로 구축하여 자연환경보전 업무에 활용하고, 보호대상에 대한 보호범위 설정, 보호주체 지정, 보호재원 마련, 후속적 관리 조치 등 지질유산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지질유산은 다른 관광문화 요소와 결합되면 그 유용성이 가중되므로 국가 혹은 지역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지질정보 자료는 환경성평가 업무에 바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육적 자료와 지질관광 및 관광 홍보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다. 특히 지질정보 자료는 지질장소의 내용 및 위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향후 가치평가를 수행하면 등급별로 지질보호구역(지질공원, 세계유산 등)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제7장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질유산의 목록을 광범위하게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그동안 지질유산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확인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 그리고 일부 지질유산에 대하여 전자정보화하여 그 범용성을 확대하였다. 또한 지질유산의 종류별 검색 및 도면화로 지역별 지질장소의 분포현황 및 지질별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모든 지질대상을 다 포함할 수 없었으며 현장을 전수 검증하지 못하여 향후 후속작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이 지질유산 목록은 다음의 효용성을 갖는다. 첫째, 한국의 지질유산을 체계적으로 작성·목록화하여 보존·관리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된다. 둘째, 한국의 지질유산의 학술·교육·관광적 측면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환경평가 업무에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일부 자체조사한 지질대상은 가치등급에 따라 보전범위를 설정하는 등 보전대상에 대한 구체성을 구비하여 훼손·멸실의 위협으로부터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바는 지질유산 관리계획의 법제화로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를 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법제화 과정 중 경과조치로서 전국자연환경조사 등에 지질대상을 포함하는 방안도 있을 것이다. 조사 및 보호대상으로 선정된 지질유산을 영국의 과학적특별흥미장소(SSSI)나 지질보전장소(GCRs)처럼 체계적으로 전산자료화하여 국민이 쉽게 접근 및 활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질유산 후보목록에 대하여 가치등급을 하는 (가칭)지질유산위원회를 운영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지질유산 대상의 분류, 가치평가 기준, 관리방안 등에 대하여 대원칙을 설정하여야 한다. 한국은 국토의 지리적 규모와 지질다양성의 특성을 볼 때 10-12개의 국가지질공원이 필요하다.

      • Nanopiezotronics 기술

        이수재,유인규,추혜용,Lee, S.J.,You, I.K.,Chu, H.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7 No.1

        미래 사회는 나노기술(NT)을 바탕으로 IT-ET-BT 기술이 융합된 유비쿼터스 사회로 진화하고 있으며, 미래 산업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성능개선이 아닌 성능한계 돌파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능한 임계성능의 나노 소재/신소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단말기는 휴대성의 편리함, 융복합화/다기능화, 인간 친화형이 요구되고, flexible/stretchable/bendable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나노 피에조트로닉스(nanopiezotronics) 기술은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나노 발전 소자(nanogenerator)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나노선, 나노벨트와 같은 1차원적 나노구조 소재의 압전성과 반전도성이 결합된 특성을 이용한 신기능의 미래 IT 융합 나노 전자/에너지 소자를 구현하는 기술로서 미래 유망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기술 수준은 압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압전-다이오드, 압전 센서, 압전 나노 발전 소자 등과 같은 prototype 소자를 제작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향후 초고감도 압전 센서, 자가발전 MEMS/NEMS 및 나노 시스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인체 삽입형 소자, portable 및 투명 유연 전자소자 등의 다양한 미래 융합 나노 소자 및 시스템에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하며, 향후 신기능의 소자/부품/시스템 창출을 위한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고에서는 압전 나노선, 나노튜브, 나노섬유 등의 1차원적 나노구조체 기반의 nanopiezotronics 기술과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소개한다.

      • KCI등재후보
      • 에어로빅댄스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여성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수재,김선영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ult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a Stres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aerobic exercise. As subjects selected, adult women of six hundreds were participated to the study through stratified randomized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used to the study was Cohen(1983) Perceived Stress Scale; PSS that has been used to korean version made by the researcher majored in sports psychology to fix the real intention of korea,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performed by Self-Administrated Method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 for frequency, ratio, and t-test Comparison for statistical test.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p<.05 for rejecting of null hypothesis. The analysis of data that collected were used to SPSS/PC+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tudy w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 society-population variab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ypes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aerobic exercise. It was significant for 41~51 ages at the positive-stress and negative-stress was significant for 31~40 ages and 51 age over. 2.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ypes of graduate, it was significant for highschool graduate, college graduate, university graduate at the negative-stress but, the positive-stress was not significant for all factors. 3.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ypes of job, it was not significant for all factors, but only the negative-stress was significant for housewife. 4.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ypes of income, t was significant for below 50 hundred thousand and 181-210 hundred thousand at thepositive-stress and the negative-stress was significant for 121-180 hundred thousand and 181-210 hundred thousand and over 211hundred thousand. 5. In society population variabl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aerobic, it was significant for age and income. Synthesized above, through participation of aerobic exercise, they received enough reasons For motivation to do the exercise and participants appeared significant superior in compere to non-participant on perceived stress. In addition to, the author considered the better effects when to be focused to age, job, income, etc, in biographical variables.

      • KCI등재

        X-Band Ferroelectric Phase Shifter Using Voltage-Tunable (Ba,Sr)TiO3 Varactors

        이수재,류한철,Kwang-Yong Kang,Min-Hwan Kwak,Seong Eun Moon,Yung-Tae Kim 한국물리학회 200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8 No.6

        Ferroelectric materials (FEM’s) are very attractive because their dielectric constant can be modulated under the effect of an external electric field applie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a microwave signal. Recently, ferroelectric thin film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classes of tunable devices, such as tunable varactors, tunable filters and phase shifters, that are competitive with other types of electrically tunable devices. Particularly, the ferroelectric phase shifter is next-generation phase shifter for an electronic-scan phased-array antenna because of its high power-handling capability, negligible dc power consumption, fast switching speed, and potential for low loss and cost. In this paper, we report on the microwave properties of a ferroelectric varactor and an X-band loaded transmission-line type phase shifter by using epitaxially grown (Ba,Sr)TiO3 (BST) thin films with high dielectric tunability. The phase shifters consist of coplanar-waveguide (CPW) lines that are periodically loaded with voltage tunable BST varactors. The voltage tunable BST varactor showed a large dielectric tunability of 69 % and quality K-factor of 29.5 at a frequency of 10 GHz and an applied electric field of 80 kV/cm. The figure of merit for the X-band ferroelectric BST phase shifter was 28.7 deg/dB at 10 GHz.0 Ferroelectric materials (FEM’s) are very attractive because their dielectric constant can be modulated under the effect of an external electric field applie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a microwave signal. Recently, ferroelectric thin film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classes of tunable devices, such as tunable varactors, tunable filters and phase shifters, that are competitive with other types of electrically tunable devices. Particularly, the ferroelectric phase shifter is next-generation phase shifter for an electronic-scan phased-array antenna because of its high power-handling capability, negligible dc power consumption, fast switching speed, and potential for low loss and cost. In this paper, we report on the microwave properties of a ferroelectric varactor and an X-band loaded transmission-line type phase shifter by using epitaxially grown (Ba,Sr)TiO3 (BST) thin films with high dielectric tunability. The phase shifters consist of coplanar-waveguide (CPW) lines that are periodically loaded with voltage tunable BST varactors. The voltage tunable BST varactor showed a large dielectric tunability of 69 % and quality K-factor of 29.5 at a frequency of 10 GHz and an applied electric field of 80 kV/cm. The figure of merit for the X-band ferroelectric BST phase shifter was 28.7 deg/dB at 10 GHz.

      • KCI등재

        A Diachronic Study on Modern English Passive Constructions: Two Conflicting Predictions about Syntactic Change and Their Implications

        이수재 대한영어영문학회 2006 영어영문학연구 Vol.32 No.3

        Lee, Soo-jae. “A Diachronic Study on Modern English Passive Constructions: Two Conflicting Predictions about Syntactic Change and Their Implications.” Studies o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32.3(2006): 277-30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English passive construction, especially focusing on a comparison of the grammatical theories for explaining syntactic change. Two views on the modern passive construction study have been introduced, i.e., lexical and transformational. Throughout the discussions on two conflicting predictions about the evolution of the passive constructions, we realize that both Lightfoot’s diachronic argument for the synchronic theory of grammar and Bennett’s diachronic argument for relational grammar are not satisfactory because the only way of explaining language change depends on their theoretical frameworks. A language is not uniform, and a variety of factors involving language change cannot be explained by the simple syntactic rules. (Kunsan College of Nursing)

      • 영상 매체의 역사담론 특성 고찰- KBS TV <HD 역사스페셜>을 중심으로

        이수재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of historic discourse in image media - focusing on KBS TV <HD History Special> Lee, Su Jae Today, history is not a few-historian-dominated field anymore. There is image media on the center of this change. Television, one of the most typical mass media, leads popularization of history providing numerous historic discourses. Historical documentary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ormats among TV programs regarding history. Recent historic documentary makes rapid progress beyond a simple format of recording historic events in the topical, visual expressional and formal aspects. This study examines the legitimate historical documentary program, <HD History Special> broadcasted by KBS 1TV, focusing on the discoursization of Image media and its characteristics. This paper reaches some conclusion through the close analysis of <HD History Special>. Writing history is based on both various formats and expressional strategies for relieving the collision between history premising vanished space-time and media-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for visualization. As a result, television historical documentary has uniqu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image media, distinguished from simple historical materials. First, historical documentary not only selects and rearranges meaningful historical facts presently from countless past events but also utilizes image media representa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mory devices. Second, television historical documentary bears a present meaning, borrowing the riddle-type plot with narrative structure from past historical events. In this process, I think it is most important for historical documentary makers to maintain proper historical consciousness. By recording history as an image, historical documentary makers could be considered the second historian dealing with history in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오늘날 역사는 더 이상 소수 역사가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그 변화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대중매체이다. 대표적인 대중매체의 하나인 텔레비전은역사의 대중화를 주도하며 무수한 역사 담론을 쏟아내고 있다. 텔레비전이 생산해 내고 있는 영상 역사물 중 대표적인 형태의 하나가 역사 다큐멘터리이다. 최근의 역사 다큐멘터리는 과거의 단순한 역사 기록물 형태의 다큐멘터리에서 벗어나 소재와 영상 표현, 그리고 형식적인 측면에서 비약적인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렇다면 영상매체는 어떠한 방식으로역사를 담론화 시키며 그 특성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정통 HD역사 다큐멘터리를 표방하며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던 <HD 역사 스페셜>을 집중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상화를 전제로 한 ‘텔레비젼의 매체적 특성’과 이미 사라져버린 시공간을 전제로 하는 ‘역사’의 충돌 - 영상 역사 쓰기는 바로 이러한 충돌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식 및 표현 전략에서 출발한다. 그 결과 TV 역사 다큐멘터리는 기록물 형태의 역사물과는 달리 영상 매체만이 갖는 담론 특징을 갖는다. 첫 번째, 역사 다큐멘터리는 무수한 과거의 사실 중 현재적 의미가 있다고판단되는 사실을 선택해 이를 재배열하되 ‘영상을 통한 재현’을 가장 중요한기억장치의 하나로 사용한다. 그리고 두 번째, TV 역사 다큐멘터리는 과거의사건을 설화적 구조로 전환시킨 수수께끼형 플롯을 차용함으로써 현재적 의미에 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모든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의 올바른 역사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영상’으로 역사를 기록함으로써 역사를 보다 대중적인 담론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제2의 역사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수재 육아정책연구소 2020 육아정책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child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review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This meta-analysis covere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9. The R program was used to obtain the results of the random-effect model by analyzing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afety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 objectives, and the related variables of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operation. A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safety education programs was 0.6875(95% CI= 0.5174~0.8576). This shows that the effect increased by 26.79%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argest effect size was observed for safety-related problem-solving, followed by safety knowledge and safety morale. Second, a safety education program is an integrated approach program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when the program includes mixed age groups(4-5 years of age), a group size of 10-20 participants, and 10-20 sessions. Th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competence in safety. Therefore, a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considers relevant variables must be developed for an effective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해 2010년 이후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26편을 대상으로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변인들을 검토하였다. R 프로그램을 이용해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 프로그램 목표에 따른 효과크기와 관련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효과 크기는 0.687(95% CI= 0.517~0.857)로 통제집단에 비해 26.79% 효과가 나타났고, 안전문제해결사고, 안전지식, 안전태도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나 안전태도 증진을 목표로 하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적 접근, 만 4, 5세 혼합 연령, 10-20명, 16-20회기로 프로그램이 진행될 때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해 볼 때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은 안전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고 추후 관련 변인들을 고려한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