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션 매핑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의 공간에 따른 활용 사례 분석 연구

        이수연(Sooyeon L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3

        21세기의 현대사회는 테크놀로지의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등장으로 인한 매체의 다각화로 시각적 표현의 한계는 점점 축소되고 있다. 따라서 테크놀로지와 예술의 융합은 시각예술 표현의 한계선을 최소화하였고 대중은 그들이 만들어 낸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시각 자극에 신선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한 새로운 접근 법 중 하나인 빛에 대한 테크놀로지와 예술의 조합은 다양한 순수예술이나 영상 디자인과 같은 시각예술분야로 포함되고 있으며, 그 중 현재 고해상도의 프로젝터를 활용하여 건물이나 도시의 조각물 등의 구조물을 스크린으로 삼아 투영된 매핑(mapping) 테크놀로지를 예술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최근 다양하게 연구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로서 프로젝션 매핑(projection mapping)의 기법에 대한 정의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고찰해 보고 매핑 사례 중 시지각적 효과를 극대화 하는 3D애니메이션이 적용된 사례 연구와 더불어 그에 따른 영상 표현특성을 분석 하였다. 3D애니메이션을 통해 존재하지 않는 환영(Illusion)을 창조하고 대중에게 시각적 쾌감을 부여하는 프로젝션 매핑(projection mapping)과 3D 애니메이션의 조합은 앞으로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융합 이라는 시대사조에 걸맞은 시각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Contemporary 21st century,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achieved due to the emergence of various digital devices, a variety of media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limits of visual representation is reduced.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art, visual arts, giving limits of getting it free to the public will feel fresh new visual impact. Such a new approach to light of a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art, a variety of fine art and motion picture of the visual arts, such as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genre. Of the resolution of the projector by utilizing the current reality and unreality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building or structure in the city, as a schematic design of the screen projected structure and mapping of the art technology in an attempt to integrate recen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The projected structure design and the mapping of the art technology in an attempt to incorporate recent research has been diverse. In this study, as a new technology of a projection mapping to study the technique of looking for the definition of mapping practice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Visual Perception 3D animation was applied to a case study. A combination of 3D animation and project mapping in the future the fusion of art and technology to meet the zeitgeist with new possibilities of visual art to create synergies that is expected.

      • 부부애착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수연(Sooyeon Lee)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3 상담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국내 부부애착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부부애착 관련 연구에서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2년까지 KCI에 등재된 국내학술지 논문 35편을 중심으로, 발행연도, 연구방법, 애착 측정 도구, 변인들과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로는 연구들이 전반적으로 꾸준히 이루어 지다가 2016년 이후는 매년 1편 이상의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은 양적 · 질적연구 1편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가 모두 양적연구였으며, 양적연구들의 주제는 변인 간 관계연구가 97.1%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애착 측정 도구는 친밀관계경험척도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가 13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친밀관계경험척도 수정판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이 8편으로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애착과 변인들과의 연구에서 애착과 관계요인에서 부부만족도가 22편, 부부 친밀감 5편, 애착과 행동적 요인에서 부부 의사소통 패턴 5편, 부부 갈등대처 전략 4편, 애착과 정서적 요인에서 우울이 4편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부애착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향후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larify what is lacking in current marital attachment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domestic journals related to marital attachment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nalyzed 35 publications published in KCI and domestic journals from 2001 to 2022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attachment measurement tool, and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overall by year of publication, but since 2016, more than one study has been published yearly. Second, the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research except for on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and the subject of quantitative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97.1%). Third, as an attachment measurement tool,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 was the most used, with 13, followed by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 with 8. Finally, in the study of attachment and variables, 22 marital satisfaction and 5 marital intimacy was found in attachment and relationship factors. 5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4 marit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was found in attachment and behavioral factors. 4 depression was found in attachment and emotional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in implic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for marital attachment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북한의 노동력 배분제도

        이수연 ( Sooyeon Lee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集 Vol.26 No.4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 계획경제질서에 따른 생산수단의 국유 및 집단소유 원칙과 노동력 배분(allocation) 및 소득 분배(distribution)는 ‘사회주의 헌법’에서 정하는 모든 공민의 노동의무, 국가의 완전고용 실현, 근로자의 직업선택권 보장에 기초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중 노동력 배분은 근로자에 대한 권리적 개념으로 확립되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질서에 따른 사용자의 재산권과 채용의 자유, 근로자의 근로권 및 직업의 자유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그 권리적 접근방식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북한 주민의 노동권과 관련한 법제도적인 쟁점을 다루기 위해서는 북한식 사회주의 계획경제질서에 따른 노동력 배분제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북한의 사회주의 계획경제질서에 따른 모든 공민의 노동의 의무, 국가의 완전고용 실현, 근로자의 직업선택권 보장 등에 기초한 노동력 배분제도는 자본주의 시장경제 질서에 따른 소유권(재산권), 사용자의 채용의 자유, 근로자의 근로권 및 직업의 자유와 밀접하게 연관되지만, 조화되지는 않는다. 노동력 사용과 관련한 이들 부조화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쟁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흔히 노동력 도입국 및 사용자, 외국인투자기업의 법적, 도덕적 책임과 역할이 강조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본주의 시장경제식 접근방식에 기초한 대응방식은 대외경제부문의 노동조건 등에서는 일정 부분 기능할 수 있으나, 노동력 배분제도에서는 기능하기 어려운 구조일 수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가속화된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 경제개혁의 변화상에도 불구하고 노동력 배분 및 보장제도가 대내ㆍ외의 모든 경제부문에 유지됨으로써 강제노동 등 노동권적 쟁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북한의 노동력 배분 및 보장제도를 경제부문별로 구분하고, 북한의 노동권적 담론을 자본주의 시장경제질서에 따른 노동법적 관점에서 비교ㆍ분석한다. Under North Korea’s socialist planned economic system, the principle of state-owned and collective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as well as the allocation of labor and income distribution, are based on the labor obligations of all citizens, the realization of full employment by the state, and the guarantee of workers’ right to choose their jobs as stipulated in the ‘Socialist Constitution’. In a capitalist market economy, labor force allocation is closely related to employers’ property rights and freedom of employment, workers’ right to work and occupational freedom, being established as a concept of rights for worker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rth Korea’s approach to rights. In order to deal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related to the labor rights of North Korean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abo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style socialist planned economic system. Under the socialist planned economic system, the labor force distribution is based on the duty of all citizens to work, the realization of full employment by the state, and the guarantee of workers’ right to choose a job. These would seem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system’s concepts of ownership (property), the employer’s right to hire, and the workers’ right to work and freedom to work. However, in actuality they are not harmonized. In an effort to resolve issues related to these inconsistencies, the legal and mor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manpower importers, employers, and foreign-invested companies are often emphasized. However, the response method based on a capitalist market-economy perspective may function to some extent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xternal economic sector, but may be difficult to function in the labor force distribution system. This study shows that, despite changes in North Korea’s socialist economic system that have accelerated since Kim Jong-un came to power in 2012, the labor force allocation and guarantee system is still maintained in all economic sector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reby leading to labor rights issues such as forced labor. In addition, in this study, North Korea’s labor force distribution and guarantee system is divided by economic sector, and North Korea’s labor rights discourse is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law as understood in a market economy system.

      • 양성평등정책 수용성 및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수연(Sooyeon Lee),김경희(Kyunghee Kim),강혜란(Hyeran Kang),신정민(Shin Jeong Mi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사회는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양성평등정책의 제도화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양성평등정치의 중요한 메커니즘인 국가페미니즘이 짧은 시간에 형성되어 비교적 공고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제도의 실효성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성평등정책에 대한 수용성이 낮고 제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젠더문화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직도 가부장적 의식이 높은 한국사회에서는 성평등에 대한 국민들의 동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 계층별 의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자연스럽게 생활 속에 녹아들어갈 수 있는 양성평등의식 확산정책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평등정책의 수용성과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양성평등정책을 실행하는 매커니즘인 국가페미니즘이 실제의 성평등으로 연결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는데 이는 국가페미니즘 자체의 성공요인과 함께 이를 받아들이기 위한 사회적 변화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성평등 국가들이 어떻게 양성평등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는지 국가페미니즘의 사례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배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양성평등 관련 의식과 행동을 좌우하는 젠더문화를 분석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도록 한다. 이를 통해 우리의 양성평등정책이 나아가야 할 비전과 목표를 세우며 양성평등의 필요성과 정당성, 사회를 위한 기여를 홍보하고 교육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가. 양성평등정책의 개념 양성평등의 철학적, 법적, 정책적 정의와 양성평등정책의 논리적 근거가 되는 성평등 철학을 설명하고 양성평등정책이 발전해온 역사적 배경을 제시하며 양성평등정책의 정치적 메커니즘으로 국가페미니즘의 작동원리와 성공 요인, 그리고 국가페미니즘이 양성평등정책의 실효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 등을 설명한다. 나. 양성평등정책의 사례와 발전방안 양성평등정책 사례를 통해 우리 양성평등정책 실효성 제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국제 성평등지수를 통해 선정한 성평등한 국가의 양성평등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요소를 국가페미니즘의 틀을 통해 분석해본다. 국제 성평등 지수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양성평등 선진국들의 양성평등 현황을 살펴본다. 강화되는 국가페미니즘의 사례로서 북유럽 국가들처럼 일찍부터 국가페미니즘을 시작하였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국가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처럼 국가페미니즘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으며 때로 후퇴하기도 했으나 일정 수준의 국가페미니즘 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들, 그리고 미국과 호주처럼 현재 국가페미니즘이 약화된 국가의 사례로서 미국처럼 국가페미니즘이 발전할 수 없었던 과정과 원인을, 호주처럼 한 때 왕성했던 국가페미니즘이 쇠퇴한 과정과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앞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국가페미니즘이 성공 (혹은 실패)하는 요인들을 분석해본다. 다음으로 이를 틀로 하여 한국에서의 양성평등정책의 발전 과정과 배경을 국가페미니즘의 형성, 발전과 연계하여 서술하며 양성평등정책의 수용성과 실효성 제고를 위한 결정적 요인인 한국의 젠더문화를 한국인의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다. 양성평등정책 수용성과 실효성 제고 방안 새로운 양성평등정책의 수용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양성평등정책의 비전과 목표는 무엇이 되어야 할지, 양성평등정책을 홍보하는데 있어 사회적 배경, 그리고 홍보의 대상으로서 양성평등정책의 특수성에 따라 홍보의 전제조건을 도출한 후 홍보의 목표를 세우고 홍보 전략과 메시지를 개발한다. 또한 양성평등교육의 대상을 학생, 공무원, 일반인으로 나누어 현재 정규교육과 사회교육에서 양성평등 교육을 보완·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measures to increase acceptance for and effectiveness of gender equality policies in South Korea. South Korea has succeeded in institutionalizing gender equality for a relatively short span of time. State feminism has been established within the last several decades and functioned as a political mechanism for promoting gender equality. However, gender equality legislations and policies have not been very effective in bringing about de facto gender equality in society. This is because social acceptance for gender equality is low and gender culture, which is still affected by patriarchal consciousness, does not support gender equality in general. To promote gender equality culture, it is required to develop policies for raising gender equality awareness tailored to different groups of people. We analyze the processes of state feminism in six countries where the levels of gender equality are advance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re critical to the success of state feminism and at the same time its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Gender culture which determines people’s consciousness and ways of behaviors concerning gender equality seems especially pertinent and suggestive. Six cases of state feminism are drawn from Norway, Sweden, France, Austria,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in the descending order of the strength of state feminism. Norway and Sweden have a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their state feminism has been strengthening. France and Austria have consolidated their state feminism, however their gender culture is not always equality oriented. The state feminism of the U.S. and Australia has been weakening and their gender culture is not consistent with the strength of their state feminism. For example, gender culture of the U.S. is relatively more equal than that of Australia. We propose two policy measures for mobilizing people’s acceptance for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promoting policy effectiveness. One is educating students, public officers and general public about gender equality values and legitimacy. For example, strengthening institu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substantiating its contents are crucial for education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Compulsory enforceme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ailored to their status and fields is required for public officers. The other is increasing communication with public about gender equality. Establishing a communicable and persuasive gender equality vision, building and spreading gender equality discourse, drawing out messages with logical frame, and creating a concept of gender equality which people would feel comfortable with and attracted to are recommended.

      • KCI등재

        공정채용 실태와 현안과제

        이수연(Sooyeon Lee)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1 노동법논총 Vol.52 No.-

        하나의 사회에 ‘불공정한’ 채용관행이 존재한다는 것은 기회의 단계에서부터 국민의 행복추구권, 존엄성, 평등권, 공무담임권, 직업선택의 자유, 근로권 등과 같은 「헌법」상의 기본권 침해에서 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국가의 관점에서도 경쟁력 약화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공정한 채용제도의 확립은 일시적으로 구인자에게 부담으로 느껴질 수 있고, 기존의 기득 계층에 상대적 박탈감 내지 역차별로 인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최근 우리 앞에 놓인 저성장·양극화의 심화, 인구·산업구조의 변화, 고용불안, 경제 불확실성과 함께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pandemic) 현상은 저성장 저고용 사회의 부정적 효과를 더욱 가중시켜 나갈 것으로 예견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불공정’ 요인을 확인하고, 제거함으로써 국가 전체적으로 공공선과 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함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이 연구는 고용 기회에서의 공정성 확산과 점진적인 정책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된 “공정채용정책 현장실태 조사 및 정책이슈 분석” 실태조사에 기초하여, 2017년 하반기부터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제도 및 30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에 적용되는 「채용절차법」의 성과와 실태를 분석하고, 공정사회 실현과 채용부문에서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관련 현안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기회 제공 단계에서의 공정채용’이라는 정책 구상의 큰 틀 내에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바로 고용기회에서의 ‘공정’의 법적 개념의 확립과 관련한 것일 수 있으므로, 고용기회에서 인용되는 ‘공정’의 개념에 대해 담론의 수준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The existence of ‘unfair’ hiring practices in Korean society not only violates basic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 such as the people"s right to pursue happiness, dignity, equality, right to hold public office, freedom of choice of profession, etc. -- such practices can also be a factor in weakening competitiveness. The establishment of a fair recruitment system may be temporarily felt as a burden to recruiters, and may be perceived as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or reverse discrimination by the those with vested rights. In addition, the recent deepening of low growth and polarization, changes in popul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job instability, and economic uncertainty, along with the COVID-19 (and any future) pandemic, will further exacerbate the negative effects of a low-growth, low-employment society. Nevertheless, one must not overlook the need to strengthen the public good and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as a whole by identifying and removing the ‘unfair’ factors that exist in our society. This study is based on a examination of the 2020 study “Survey and Analysis of Policy Issues on Fair Recruitment Employment,” which was conducted to spread fairness in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establish gradual policy direction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performance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blind recruitment system, which has been mandatory for public institutions since the second half of 2017, and the ‘Recruitment Procedure Act’ applied to workplaces employing 30 or more workers. Through this analysis I attempt to add to the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fairness’ at the level of discourse.

      • 여전히 계속되는 기회의 제한

        이수연(Sooyeon Lee)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3

        기회의 차별은 모집이나 채용과 같은 취업기회를 포함한 배치, 승진, 교육기회 등을 포함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취약계층에 있는 집단에게 차별적인 패턴을 형성하여 직접적 · 결과적 · 구조적 차별을 야기하여, 그들의 기회를 박탈하게 된다. 따라서 기회에서 차별의 금지는 현대 고용 및 반차별 정책의 근간이 될 필요가 있다. 특히, 성을 이유로 한 모집 · 채용 시 차별은 여성의 기회에서의 장벽이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우리는 기회에서의 성차별을 여러 법제에서 규제하고 있음에도 고용 현장에서는 여전히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에 기초한 차별이 존재한다. 더구나 우리 판례는 기회의 제한으로 작용하는 모집 · 채용권을 일관하여 기업의 경영권 내지 인사권에 기초한 사용자의 전권에 속하는 권리로 인식 · 판단하고 있으며, 차별의 합리성 판단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 하고 있다. 기회에서의 차별은 사회의 특정인 내지 특정 집단을 고용에서 배제하거나 불리하게 하는 것이므로, 그 현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법에 위반되지 않도록 예방과 시정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회 단계에서의 장벽을 형성한다는 것은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이고, 따라서 그 예방을 위한 접근이 더욱 강조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여러 고용과정 중에서도 가장 기초 단계에서 기회를 제한하는 ‘모집・채용’부문에서 발생하는 ‘성을 이유로’ 한 차별에 한정하여, 미국, 영국, 캐나다의 차별의 개념과 판단기준, 이를 예방하기 위한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우리가 나아갈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In employment, opportunities can be restricted in hiring and recruitment, placement, promotion, and chances for job training. These are caused by direct, indirect, and systematic discrimination, forming a pattern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dvantaged, and thus raising job entry barriers against them. Therefore, to prohibit such discrimination in opportunities, an anti-discrimination policy is needed. In Korea, even though several anti-discrimination acts regulate discrimination based on sex in hiring and recruitment, sex discrimination has not been reduced significantly. Moreover, Korean courts have recognized and decided consistently that management (i.e., hiring, recruiting, etc.) and human resources are within the employer’s plenary power or rights, and have yet to establish any rational standard of judgment. In cases of discrimin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eeking preventive and corrective measures to grasp the cause of the phenomenon correctly. Forming barriers in the stage of employment opportunity causes it to be a systemic issue in society, making it all the more important to emphasize prevention. This article examines US, UK, and Canadian systems in hiring and recruitment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Korea on how to prevent discrimination based on sex.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반 토픽 분석을 통한 온라인 성차별성의 이해

        이수연(Sooyeon Lee),김현정(Hyun-jung Kim),정수연(Sooyeon Ju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3

        이 연구는 온라인의 다양한 공간에서 성차별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이 데이터들이 함축하고 있는 성차별적 토픽을 도출함으로써 온라인 성차별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데이터는 성차별적 댓글, 게시글, 채팅글로서 모니터링 방법으로 수집하였고 모니터링 대상 플랫폼은 뉴스 사이트, 커뮤니티/카페, 인터넷 방송의 세 유형이다. 뉴스사이트, 커뮤니티/카페, 그리고 아프리카 TV을 통틀어 수집된 성차별적 댓글과 발언은 모두 4,272건이다. 데이터 분석은 텍스트 마이닝 방법 중 잠재의미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형태소 분석을 포함한 텍스트 전처리 단계를 거쳐 텍스트 문서 집합 내 잠재된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 동시출현빈도(Co-occurence Frequency)가 높은 단어들을 기준으로 문서들을 군집화하였다. 이를 통해 7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토픽에 근거해 파악한 온라인 성차별성은 첫째, 대체로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둘째, 외모에 근거한 성차별이 가장 많아 외모지상주의가 온라인 성차별의 중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외모 관련 성차별 외에 여성에 대한 무조건적인 부정적 태도의 성차별이 심각해 특별한 근거가 없는 여성에 대한 비하나 혐오가 온라인에 만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online sexism by extracting sexist topics from gender discriminatory online data. The data was manually retrieved from postings on news sites, community/cafe sites and internet broadcasting by monitors who were trained about online gender discrimination. The method of text mining was latent sematic analysis. To extract latent themes, we clustered the words with high co-occurrence frequency after the pre-processing steps such as morpheme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the sexist postings and chattings was 4,772. As a result of topic analysis, seven topics were extracted. They wer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grounded on women’s physical characteristics, negative attitudes toward wome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based on female trait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based on female sex roles, discrimination against men based on male sex roles, discrimination against men based on male sex roles, and finally negative attitudes toward female president.

      • 양성평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전망을 위한 세대별 가치관 연구

        이수연(Sooyeon Lee),김인순(Insoon Kim),김현정(Hyunjung Kim),김민정(Minjeo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연구개요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함으로써 저출산 대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결혼과 출산이라는 현상을 다양한 가치관,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의 맥락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세대별 결혼과 출산 현황과 가치관의 차이를 통해 미래의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가. 저출산의 개념과 동향 해방 전부터 시작해서 현재까지 이르는 우리나라 출산 동향을 조출산률과 합계출산률, 인구증감률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저출산 현상을 진단하고 미시적(주로 개인에 관련된), 중간(가치의 전달 구조 등), 거시적 차원(주로 경제와 정책 등), 또한 구조와 문화/규범 차원, 그리고 다양한 장애(barriers)의 차원에서 저출산의 원인을 모색한다. 나. 일반 가치관의 개념과 현황 80년대에 Lesthaeghe와 van de Kaa가 발전시킨 이차인구전환 이론은 “산업화된 사회에서 개인들에게 일어난 제도적 통제의 거부, 개인적 자율성 강조, 자기실현 욕구의 증가 등의 이념적 변화”(Surkyn & Leshthaeghe 2004, 47)를 저출산의 원인으로 주목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Schwartz의 인간가치관과 Inglehart의 탈물질주의 척도, 인생 목표(열망), 소비주의, 탈물질주의, 제도에 대한 가치 척도를 도입하여 우리 사회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한다. 다. 결혼·출산 가치관의 개념과 출산의 현황 결혼과 출산의 상관관계 및 결혼에 관해서는 결혼의 실리, 제도적 중요성, 그리고 결혼의 대안에 대한 태도 및 결혼 제도 밖에서의 성추구에 대한 허용성, 그리고 출산에 관해서는 부모가 된다는 것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부모가 되기 위해 어떠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자녀에 대한 기대 등을 검토한다. 또 결혼과 출산의 현황, 의향을 연령대, 소득, 직업, 거주 지역, 결혼상황, 가치관 등의 변수별로 제시한다. 라. 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 가치관들이 출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군집유형별로 출산의도와 회수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다음으로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기 위해 로짓분석을 실시하는데 가치관 변수와 함께 경제, 정책, 심리 변수를 같이 넣어 가치관 요인의 영향을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과 비교하도록 한다. 마. 저출산 관련 담론 분석 저출산 현상을 초래하는 개별적인 행동의 구체적인 사례나 사회구성원들이 체감하는 저출산의 양상, 그리고 이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보여주기 위해 심층면접 방법을 통하여 구조 뒤의 개인적 이야기를 듣고자 하였고 다음으로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소통을 통해 결혼과 출산에 대한 생각과 감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생각이 담론으로 구성되는 소통의 맥락을 이해하고자 한다. 바. 미래 예측과 제언 저출산의 현실 파악, 그리고 세대별 가치관의 변화 추이를 통해서 미래를 예측하고 새로운 정책방향을 제안한다. 3. 연구 방법 가. 문헌연구 저출산 현상을 해석하고 원인을 분석한 연구들을 통해 저출산을 보는 다양한 시각과 전제, 그리고 해소방안을 찾아본다. 나. 설문조사 저출산 현상의 구조를 밝히고 우리사회에서 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10대에서 50대(60세까지)까지의 다양한 연령대를 조사하여 세대별 차이를 찾고자 하며 이를 통해 저출산의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온라인 패널을 활용하여 남녀 3,600명을 조사한다. 기간은 2017년 6월 14일~29일 동안 실시되었으며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다. 심층면접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태도, 가치관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한다. 출산경험, 출산의향, 혼인 여부, 동거 여부 등에 따라 할당하여 총 20명의 남녀를 면접한다. 라. 온라인 담론분석 온라인 담론분석은 의미망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네이버에 등록된 카페를 대상으로 2016 하반기 6개월 동안 수집된 댓글 데이타에서 결혼, 출산 관련 주제어(결혼, 임신, 출산, 육아) 검색을 하여 얻은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마. 자문회의 2017년 3월 10일과 5월 29일 두 차례에 걸쳐 자문회의를 열어 저출산 관련 학자와 정책입안자들의 자문을 구하였다. We aim at providing the direction of pronatalist policies through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marriage and birth and predicting the future trend in the context of diverse values and their generational differences. Our finding shows that individuals’ value orientations play as important roles in their intention and behavior of marriage and birth as other factors such as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policy expectations. The factors that influence positively the intention to have a child (or children) are positive attitude toward parenting, high expectation on children, life satisfaction, personal and household income, the size of residential area and awareness of related policies and those that influence negatively are persons’ aspiration of self-actualization an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work. The factors that influence positively persons’ actual birth of a child (or children) are positive attitude toward parenting, individual and household income, awareness of pronatalist policies and those that influence negatively are life satisfaction and the size of residential area. When we measure the difference between one or no birth and more than one birth, we find additional positive variables such as moralistic value, expectation on children and importance of work and negative values such as aspiration of self-actu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parenting is the most prominent positive factor in both intention and behavior of birth and the pursuit of self-actualization is the most prominent negative factor. This finding of value importance on fertility intention and behavior suggests that pronatalist policies should incorporate individuals’ value system into its logic. For example, the policies should concern to build a new society where the younger generations’ desire for individual freedom and self-actualization do not conflict with that for having a child. Also, it should take more customized approach by targeting those with more positive attitudes on parenting rather than trying to persuade those with negative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