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신경망에 의한 스터럽 없는 FRP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예측

        이송희,이차돈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Non-corrosive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s) have been widely replacing steel bars or tendons used in concrete structures as flexural reinforcements. There are noticeable differences among the existing formulas in calculating the contributions of concrete to shear resistance of FRP beams. In this paper,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echnique is employed as an analytical alternative to existing methods for predicting shear capacity of FRP concrete beams.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ANN was able to predict more closely the shear strength of FRP beams.

      • KCI등재후보

        현대시조에 나타난 여성 담론의 형상화

        이송희 ( Songhee L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감성연구 Vol.0 No.13

        이 글은 최근 현대시조에 나타난 여성서사의 표현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몸을 통해 고통과 환멸로 가득 찬 삶을 고백하는 여성서사가 여성의 삶에 대한 다시 읽기와 다시 쓰기 같은 주체적 쓰기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이 글은 ‘여성성’은 현실적으로 구성되는 여성적 삶의 모습을 재현하는 기제라는 전제로 시작한다. 여성들이 발 딛고 있는 현실적 체험에 여성문학이 근거해야 한다면, ‘여성성’은 그러한 현실적 체험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성성이냐 여성성이냐 하는 문제는 그 자체로 긍정적이거나 혹은 부정적인 개념이 아니다. 더구나 대비적, 수직적 관계도 아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일 때 ‘인간다음’이 형성된다. 남성, 여성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한 걸음 벗어나 보면 여성의 정체성은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여성성’에 다한 논란도, 여성서사에 관한 다양한 해석도 가능해 지는 지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way to express women`s narrative, focusing on recent modern Sijo. It also aims to prove that women`s narrative confessing her life full of pain and disillusionment through her body has led to independent writings for women`s lives, such as re-reading and re-writing. This paper is based in a major premise that femininity is a mechanism to represent a feminine life which is realistically configured. It is because femininity is a factor that could show realistic experiences in the most direct way, if women`s literature is supposed to be based on realistic experiences which women are actually standing on. However a matter itself, whether it is about masculinity or femininity, is not a positive, nor a negative concept in fact. It is also not a contradistinctive, nor vertical relation as well. These features can form humanity only when each of them is complementary. Women`s identity can be found just by taking a step back from a conventional, dichotomous way of thinking upon men and women.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a good trigger for more various interpretation of feminine narrative, and also a controversy about femininity.

      • KCI등재

        대학 산림교육의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법(e-PBL) 적용 사례와 학습성과

        이송희 ( Songhee Lee ),이재은 ( Jaeeun Lee ),강호덕 ( Hoduck Kang ),윤태경 ( Tae Kyung Yo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본 연구는 대학 산림교육 발전을 목적으로 S 대학교 산림과학과 4학년 “도시림관리학 및 실습” 전공과목에 e-PBL(e-Project-based learning) 학습법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학사 운영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온라인 매체를 주로 활용하여 학교숲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e-PBL 학습법은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수행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책임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학습자들의 e-PBL 학습성과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학습자들은 e-PBL 학습법을 통해 동기부여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4.17점),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4.17점). 또한, 학습자들은 의사소통능력(4.33점), 문제해결능력(4.25점), 의사결정능력(4.21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응답하는 등전반적으로 e-PBL 학습법에 대해 만족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은 팀원들과 밀접한 의사소통과 상호협력이 문제 및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산림교육에 적합한 e-PBL 학습모델을 개발이 필요하며, 효율적 수업시간의 운영과 e-PBL 학습법 지침 및 제도적 지원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산림교육의 발전을 기대한다. This study applied the e-PBL (e-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at S University to progress in university forest education. e-PBL effectively motivates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ers' responsibility by enabling them to choose, design, and perform their projec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learners were encouraged to use online media to carry out projects and submit presentations for the campus forest. Learners' educational effects were subsequently investigated through a five-point Likert scale. This study discovere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motivation and interest (4.17) through e-PBL. Learners responded that e-PBL also helped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the subject (4.17).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the e-PBL method was helpful in problem-solving (4.25), communication (4.33), and decision-making skills (4.21). According to learners' responses, there are positive indications that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e-PBL. Learners responded that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with team members c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Hence, there is scope for improving an efficient and successful e-PBL model suitable for university forest education by providing more efficient instructional time management, e-PBL method guidelines, and institutional support.

      • KCI등재후보

        논문 : 신경림 시에 나타난 민중의 서사 -『농무』를 중심으로

        이송희 ( Songhee L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감성연구 Vol.0 No.11

        이 글은 신경림 시인의『농무』를 텍스트로 하여 그의 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민중의 서사를 탐구하고 ‘부끄러움’, ‘분노’, ‘연민’이라는 감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발현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시인은 관찰자적 시선으로 ‘그들’의 삶을 묘사하면서 농민들의 고통과 절망의 표정들을 객관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둘째, 시인은 ‘우리’라는 화자 설정을 통해 시적 상황에 대한 감정을 최대한 객관화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농민들이 처한 시대적 현실이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의 문제임을 인식하게 하였다. 셋째. 시인은 ‘나’라는 화자 설정을 통해 시적 상황에 대한 감정을 최대한 이입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농민들의 슬픈 정서와 농촌의 현실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들 작품의 시적 주체는 ‘나’가 아닌 ‘우리’를 향해 움직이고 있었다. ‘나’가 안고 있는 고통과 불안의식, 시대의 비극을 체감하는 고통의 흔적은 결국 ‘우리’가 안고 있는 고민이다. 그러나 신경림 시인의 언어는 ‘민중’의 살아 있는 언어로 고스란히 재현하고 있지 않다. 현실을 묘사하면서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시인의 시작법은 민중의 내면의 정서를 이끌어내는 데 상당한 절제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신경림 이후의 시들이 70∼80년대 민중문학이 현실 변혁적 노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면, 신경림 시인의 시는 농촌의 현실과 농민의 삶을 고스란히 옮겨놓으며 그들의 상황을 관찰하는 관찰자로서 ‘우리’의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inetended to look over how poetic imagination from physical experience is manifested at ``Farmer``s Dance`` which talks about alienated and poor life of farmers. The emotional structure at Shin Gyeong Rim``s poet can be explained with phrases like "can not say your shame", "``stained with rage`` our anger" and "``nerdy guys``, compassion for them". First, poet tried to convey pain of farmers and despaired appearance objectively, describing ``their`` life with observer``s eyes. Second, the poet made readers recognize that farmer``s contemporary painful reality is problems not for a person but our society by objectifying feelings about poetic situations through a poetic speaker, ``us``. Third, the poet had readers form a consensus on the sad realities of the country and emotion of farmers by setting ``I`` as a poetic speaker. Poetic subject of these works was moving towards ``We`` instead of ``I``. Agony, insecurity and scar sensed by contemporary tragedy``I`` had are also things that ``We`` had. But the language of the Shin Gyeong-rim``s poem is not reproduced intact in the language of living ``people``. The composition of poems which describes and deliver contemporary realities objectively is moderate to elicit the emotion of the inner feelings of the populace. While the poems after Shin Gyeong-rim``s and popular literature during 70∼80``s show efforts to reform realities, Shin Gyeong-rim``s poem let us know the problem is ``We``s‘ as observers by moving rural realities into the po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