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5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Vol.19 No.1
콘크리트는 매우 우수한 건설 재료로서 교량, 빌딩 등을 포함한 대다수의 사회기반시설물 건설에 이용되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콘크리트가 건설 재료로서 아무리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시공시의 조건과 방법에 따른 시공 품질 변화와 완공 후 공용 과정에서의 환경과 외력 변화에 의한 열화나 손상을 피할 수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이러한 요인들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품질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완공 후 공용 과정에서는 콘크리트의 열화와 손상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의 확보는 콘크리트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공 및 유지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시공 또는 공용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역학적/내구적 상태를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현장 및 실내 시험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시험 대상 구조물에 손상이나 파괴를 유발하지 않고 구조물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Testing; NDT) 기술은, 시설물 유지 관리에 관한 실무에서의 높은 관심과 수요로 인해 최근에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본 특집기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 점검 및 손상/열화 진단을 위해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첨단 NDT 기술의 동향과 응용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관련 기술에 관심을 갖고 있는 실무자나 연구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채규,정시욱,김대호,남진우,황규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Vol.17 No.3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철도교량의 공용내하력을 산정하기 위한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함에 있어 철도 특성상 유지보수 및 각종 검측이 야간이 발생되어 최소 1개월 전에 시험일정 통보하여야 하며 일단 결정된 재하시험일정은 변경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험 당일 기후 악조건(장마 등)시에는 계측데이터에 예상치 않은 오차가 포함될 수밖에 없으며 1일 시험시간이 3시간 내에 제한되어 시험 중 계측 게이지에 문제 발생 시 대처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고속철도는 일반철도에 비해 상기의 현장재하시험 조건이 더욱 더 까다로운 상태이다. 또한 주기적인 정밀안전진단시만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밀안전진단 주기에만 과학적 유지관리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기능저하, 보강 확인 등의 평상시 과학적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시운행열차의 유지관리 기준값이 없으므로 소요경비 및 시간이 과다하게 필요한 특정계획(일정통보, 열차수배)에 의한 재하시험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고속철도 교량은 도로교 혹은 일반철도에 비해 거의 동일한 크기의 하중이 정해진 레일을 주행하는 조건이므로 하중의 작용조건이 명확하다. 이러한 이점을 적극 활용하기 위하여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서에 제시된 재하시험열차를 이용한 표준 현장재하시험 방법보다 상시운행열차을 이용한 개선된 현장재하시험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기존에 실시하였던 재하시험열차에 의한 계측결과와 상시운행열차에 의한 계측 결과를 분석하여 상시운행열차에 의한 현장재하시험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안국(An Kook),김경모(Kim Kyong-Mo),윤승현(Yun Seung-Hyun),민대홍(Min Dae-Hong)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5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거의 예방적 유지관리의 조직과 체계가 효율적인 운영을 하기위한 가장 경제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이 체계는 자산관리와 생애주기비용(LCC)의 개념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점검 및 조사, 현재상태 평가, 미래상태 예측, 대안에 대한 LCC분석, 보수 및 보강, 모니터링과 같은 처리순서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유지관리 조직과 체계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 하수관거 운영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유지관리에 적용될 수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good organization and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sewer pipe lines for local agency is the most economical tool available for achieving a cost-effective operation. The system uses asset management and Life-cycle cost (LCC) concepts. This study concentrates on procedure of management such as inspection and surveys, assessment of soundness, prediction of deterioration, estimation of LCC, strengthening and repair, and monitoring. It may be argued that in the practical perspective, the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 proposed in this study be successfully applied to maintenance of sewer pipe lines for local agency with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김희승,최경규,김태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Vol.18 No.4
구조물에 최적화된 센서 배열(Sensor Array)을 수행하는 것은 센서 네트워크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센서의 설치와 관리는 구조물이 처해 있는 환경이나, 경제성 그리고 센서의 주파수대역의 제한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문제와 환경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센서 대용으로 가상 시각 센서(VVS: Virtual Visual Sensor)를 제안하였다. 가상 시각 센서는 설치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관리가 편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 시각 센서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최첨단 컴퓨터 시각 알고리즘과 마커 추출 기법의 적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 시각 센서를 이용하여 모드 형태와 주파수를 추출하는데 용이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를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에 적용할 경우 효율적이라는 점을 입증하였다.
국내 공공임대주택 유지관리 업무지원 시스템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김주헌(Kim, Joo-Heon),김대원(Kim, Dae-Won),조훈희(Cho, Hunhee),강경인(Kang, Kyung-I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09 No.2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to improve supporting system on facility management of domestic public rental housing by benchmarking the status of the foreign maintenance managemen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very necessary for the system to monitor and evaluate each public rental houses periodically and to establish effective and prearranged maintenance management plans.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are necessitated to combine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facility management for planing effective maintenance strategies.
박창호(Park Chang-Ho),이병주(Lee Byeong-Ju),신재인(Shin Jae-In),이상순(Lee Sang-Sun),김형수(Kim Hyeng-Su)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6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공공 교량의 손상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신축이음부의 구속에 의하여 교각의 균열과 같은 교량 전체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지관리시 중요시하지 않았던 신축이음부의 구속은 교량 전체의 온도거동을 왜곡하며, 이로 인여 신축이음장치의 교체와 같이 예기치 않은 유지관리 비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구조물의 유지관리시에는 청소와 같이 일상적인 유지관리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향후 유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체계가 수립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김상준,최병호,최경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Vol.17 No.3
대상구조물은 준공 후 6년 경과된 창고용도의 구조물로서 폭설이 내리는 도중 창고 지붕(Arch Panel)과 서측에 면한 기둥 및 벽체부분이 붕괴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붕괴원인과 붕괴사고 후 남아있는 구조체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물주의 요청에 의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관련된 도면 및 현재 시공상태를 비교 검토하고 붕괴된 부분과 붕괴되지 않은 구조물에 대해 외관조사와 비파괴조사(콘크리트 강도시험, 철근배근탐사 등)를 수행하여 구조부재의 상태와 손상정도를 파악한다. 또한, 지붕 및 기둥 붕괴에 관련한 하중을 검토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검토를 수행한다. 수행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붕괴원인을 검토 분석하고 붕괴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보수·보강 여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