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5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Vol.19 No.1
콘크리트는 매우 우수한 건설 재료로서 교량, 빌딩 등을 포함한 대다수의 사회기반시설물 건설에 이용되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콘크리트가 건설 재료로서 아무리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시공시의 조건과 방법에 따른 시공 품질 변화와 완공 후 공용 과정에서의 환경과 외력 변화에 의한 열화나 손상을 피할 수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이러한 요인들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품질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완공 후 공용 과정에서는 콘크리트의 열화와 손상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의 확보는 콘크리트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공 및 유지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시공 또는 공용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역학적/내구적 상태를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현장 및 실내 시험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시험 대상 구조물에 손상이나 파괴를 유발하지 않고 구조물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Testing; NDT) 기술은, 시설물 유지 관리에 관한 실무에서의 높은 관심과 수요로 인해 최근에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본 특집기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 점검 및 손상/열화 진단을 위해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첨단 NDT 기술의 동향과 응용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관련 기술에 관심을 갖고 있는 실무자나 연구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박창호(Park Chang-Ho),이병주(Lee Byeong-Ju),신재인(Shin Jae-In),이상순(Lee Sang-Sun),김형수(Kim Hyeng-Su)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6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공공 교량의 손상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신축이음부의 구속에 의하여 교각의 균열과 같은 교량 전체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지관리시 중요시하지 않았던 신축이음부의 구속은 교량 전체의 온도거동을 왜곡하며, 이로 인여 신축이음장치의 교체와 같이 예기치 않은 유지관리 비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구조물의 유지관리시에는 청소와 같이 일상적인 유지관리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향후 유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체계가 수립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채규,정시욱,김대호,남진우,황규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Vol.17 No.3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철도교량의 공용내하력을 산정하기 위한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함에 있어 철도 특성상 유지보수 및 각종 검측이 야간이 발생되어 최소 1개월 전에 시험일정 통보하여야 하며 일단 결정된 재하시험일정은 변경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험 당일 기후 악조건(장마 등)시에는 계측데이터에 예상치 않은 오차가 포함될 수밖에 없으며 1일 시험시간이 3시간 내에 제한되어 시험 중 계측 게이지에 문제 발생 시 대처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고속철도는 일반철도에 비해 상기의 현장재하시험 조건이 더욱 더 까다로운 상태이다. 또한 주기적인 정밀안전진단시만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밀안전진단 주기에만 과학적 유지관리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기능저하, 보강 확인 등의 평상시 과학적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시운행열차의 유지관리 기준값이 없으므로 소요경비 및 시간이 과다하게 필요한 특정계획(일정통보, 열차수배)에 의한 재하시험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고속철도 교량은 도로교 혹은 일반철도에 비해 거의 동일한 크기의 하중이 정해진 레일을 주행하는 조건이므로 하중의 작용조건이 명확하다. 이러한 이점을 적극 활용하기 위하여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서에 제시된 재하시험열차를 이용한 표준 현장재하시험 방법보다 상시운행열차을 이용한 개선된 현장재하시험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기존에 실시하였던 재하시험열차에 의한 계측결과와 상시운행열차에 의한 계측 결과를 분석하여 상시운행열차에 의한 현장재하시험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제5분과/내구성/진단 및 보수·보강] 유류성분이 지하구조물의 방수층 침식에 미치는 영향 평가
김영찬(Kim young-chan),최성민(Choi sung min),강효진(Kang hyo-jin),곽규성(Kwak kyu sung),오상근(Oh sang-keu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4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 No.-
최근 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되어짐에 따라 지하구조물 또한 규모와 기능상의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하구조물의 외벽 방수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하구조물에서의 누수현상은 계속적인 과제로 남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주유소 및 산업시설내의 저유탱크등에서 누액되는 유류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방수층 침식 문제로 누수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침해를 방지하고자 본 연구의 필요성과 진단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Waterproof performance for water suitableness part prove. Being to know change about performance by oil and Waterproof shape by this, must study and examine an experiment about whether concrete displays effect that is based of oil when Waterproof lost performance and Wish to examine effect to get in the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