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연구 논문 : 상 안정화제가 Na+ -Beta-Alumina 고체 전해질의 상 형성 및 소결밀도에 미치는 영향

        이기문 ( Ki Moon Lee ),이성태 ( Sung Tea Lee ),이대한 ( Dae Han Lee ),이상민 ( Sang Min Lee ),임성기 ( Sung Ki Lim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6

        Na+-beta-alumina 고체전해질을 고상반응법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두 종류의 안정화제 Li2O와 MgO가 상 형성 및 소결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합성온도에 따른 β/β````-alumina 상 분율 분석을 위해, [Na2O] : [Al2O3] = 1 : 5의 고정된 몰 비에서 하소온도를 1200∼1500 ℃로 변화하여, 각각 2 h동안 하소하였다. Li2O를 안정화제로 사용한 경우에는 1500 ℃에서 2차 상 전이가 발생해 β````-alumina 상 분율의 증가가 나타났지만, MgO를 첨가했을 때는 하소 온도에 관계없이 상 분율이 유지되었다. 또한 disc 형태의 Na+-beta-alumina 샘플을 1550∼1650 ℃의 온도에서 각각 30 min 소결한 후 상대 소결밀도, 상 변화 및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Li2O를 안정화제로 사용하였을 때, 소결온도 1600 ℃에서 β````-상 분율과 상대밀도가 각각 94.7%와 98%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MgO를 안정화제로 사용하였을 경우, 소결온도의 증가에 따라 상대밀도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Na+-beta-alumina solid electrolyte was synthesized by solid state reaction using Li2O and MgO as a phase stabilizer, and the effect of stabilizers on the phase formation and sintering densit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hase fraction according to the synthesizing temperature, the molar ratio of [Na2O] : [Al2O3] was fixed at 1 : 5, and calcination was conducted at temperatures between 1200∼1500 ℃ for 2 h. In the Li2O-Na2O-Al2O3 ternary system, β````-alumina phase fraction considerably increased by the secondary phase transition at 1500 ℃, whereas it maintained similarly in the MgO-Na2O-Al2O3 system. Additionally, the disc-type specimens of Na+-beta-alumina were sintered at the temperature between 1550∼1650 ℃ for 30 min, and relative sintering densities, phase changes, and microstructures were analyzed. In case of Li2O-stabilized Na+-beta-alumina, β````-phase fraction and relative density of specimen sintered at 1600 ℃ were 94.7% and 98%, respectively. Relative density of MgO-stabilized Na+-beta-alumina increased with a rise in sintering temperature.

      • KCI등재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온누리 2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지희정,채현석,이성태,황태영,김기용,이상훈,Ji, Hee Chung,Che, Hyun Seog,Lee, Song Tea,Hwang, Tae Young,Kim, Ki Yong,Lee, Sang H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1

        전국에서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4계통을 선발한 후 집단 교배하여 생산된 합성종자를 2008년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 동안 천안, 횡성, 진주 및 제주지역에서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수행하였다. 2014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34호를 신품종 "온누리 2호"로 명명하였으며, 온누리 2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온누리 2호의 월동전 및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며, 잎은 담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암바와 비슷하며, 상부 절간장은 중간이고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17일로 표준품종인 암바 보다 4일이 늦었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88 cm로서 암바 보다 4 cm 길었다. 내습성과 내병성은 온누리 2호가 암바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다. 온누리 2호의 ha당 건물수량은 15,814 kg으로 암바 보다 34% 많았고, 특히 제주지역에서 많았다. 온누리 2호의 건물소화율은 암바에 비해 높았으며 기타 사료가치는 암바와 비슷하였다. 이와 같이 온누리 2호는 다수성인 중생종 계통으로, 특히 습해 및 내병성에 강하고, 건물수량이 많은 품종으로 산지생태 축산용 초지 조성 및 조사료 생산을 위한 우수한 품종이다. 'Onnuri 2ho'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variety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4. Four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o develop this new variety of orchardgrass.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Onnuri 2ho'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10 to 2011. Regional adaptation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Hoengseong, Jinju and Jeju from 2012 to 2014. 'Onnuri 2ho' showed growth habit of medium type in fall and spring. It is long in length of flag leaf with medium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Onnuri 2ho' was 4 cm more than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Its heading date was 4 days later than compared to control variety, 'Amba'.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Onnuri 2ho'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variety, 'Amba', Especially, the dry matter yield of 'Onnuri 2ho' (15,814 kg/ha) was increased 34 % compared to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11,778 kg/ha). Nutritive feed values of 'Onnuri 2ho' appeared to be similar to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excep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 KCI등재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럭키원 2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지희정,우제훈,이성태,황태영,김기용,이상훈,이기원,Ji, Hee Chung,Woo, Jae Hoon,Lee, Song Tea,Hwang, Tae Young,Kim, Ki Yong,Lee, Sang Hun,Lee, Ki 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1

        전국에서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 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된 5계통을 집단 교배(polycross)하여 생산된 합성계통을 '합성37호'라 하였다. 이 계통을 2012년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하였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천안, 평창, 진주 및 제주 등 4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2017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37호'를 신품종 '럭키원 2호'로 명명하였다. '럭키원 2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럭키원 2호'의 월동전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포트맥 보다 약간 길며, 상부 절간장은 매우 길고 (60.2cm),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5일로 조생종 품종으로 표준품종인 포트맥 보다 1일이 늦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5 cm로서 포트맥 보다 3 cm 짧았다. 내습성은 '럭키원 2호'가 포트맥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으며, 녹병은 럭키원 2호가 포트맥 보다 약간 강한 편 이었다. '럭키원 2호'의 ha당 건물수량은 15,980 kg으로 포트맥 보다 9 % 많았고, 특히 평창지역에서 증수하였다. '럭키원 2호'의 건물 소화율은 포트맥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질이 10 %로 약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럭키원 2호'는 다수성인 조생종 계통으로, 습해 및 내병성에 비교적 강하고, 특히 건물수량이 높은 품종으로 산지생태 축산용 초지 조성 및 조사료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 시에 유리한 품종으로 사려된다. 'Luckyone 2ho'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ultivar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7. To develope the new variety of orchardgrass, 5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Luckyone 2ho'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12 to 2014, and regional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Pheonchang, Jinju and Jeju from 2015 to 2017, respectively. 'Luckyone 2ho' showed medium type growth habit in fall, and medium in length of flag leaf and very long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Luckyone 2ho' was 3 cm less than that of standard cultivar, 'Potomac' and heading date was 1 days later than 5th May compared to standard cultivar, 'Potomac'.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Luckyone 2ho'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standard cultivar, 'Potomac', Especially, dry matter yield of 'Luckyone 2ho'(15,980 kg/ha) increased 9 % compared to that of standard cultivar, 'Potomac'(14,702 kg/ha). Nutritive values were appeared to be similar in both varieties excep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and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 KCI등재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럭키원'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지희정,채현석,이성태,황태영,김기용,이상훈,이기원,Ji, Hee Chung,Che, Hyun Seog,Lee, Song Tea,Hwang, Tae Young,Kim, Ki Yong,Lee, Sang Hun,Lee, Ki 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1

        전국에서 수집된 오차드그라스 재래종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된 4계통을 집단 교배(polycross)하여 생산된 합성계통을 '합성35호'라 하고 이를 2008년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 동안 천안, 횡성, 진주 및 제주 등 4 지역에서 지역적응성 검정을 실시하여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2014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35호'를 신품종 '럭키원'으로 명명하였다. '럭키원'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럭키원'의 생육형태는 중간형이며, 잎은 담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표준품종인 암바 보다 짧으며, 상부 절간장은 길고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럭키원'은 암바에 비해 출수기는 5월 11일로 표준품종인 암바 보다 2일이 늦으며, 출수기의 초장은 87 cm로 3 cm 길었다. 내습성과 내병성은 '럭키원'이 암바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으며, 녹병은 럭키원이 암바 보다 약간 강한 편이었다. '럭키원'의 ha당 건물수량은 16,191 kg으로 암바 보다 38% 많았으며, 특히 횡성지역에서 증수하였다. '럭키원'의 건물 소화율은 암바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11.3%로 약간 높았다. 'Lucky one'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variety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4. Four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o develope this new variety of orchardgrass.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Lucky one'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10 to 2011. Regional adaption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Hoengseong, Jinju, and Jeju from 2012 to 2014. 'Lucky one' showed growth habit of medium type in fall and spring. It has short flag leaf length with long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Lucky one' was 3 cm more than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Its heading date was 2 days later than that of control variety 'Amba'.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Lucky one'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variety, 'Amba', Especially, dry matter yield of 'Lucky one' (16,191 kg/ha) was increased 38% compared to that of control variety, 'Amba'(11,778 kg/ha). Nutritive feed values of 'Lucky one' appeared to b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variety 'Amba' excep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crude protein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