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이민희 ( Lee¸ Minhee ),김주연 ( Kim¸ Jooyun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예술은 정치·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립 미술관의 건축적 변화의 분석과 해석이 아닌 환경적 변화와 미술관 역할의 변화 양상에 따른 기능적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기존의 미술관 공간 연구가 건물의 외관, 내부 물리적 공간의 분석 등 건축학 측면으로 연구가 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환경의 변화, 운영의 변화, 미술 전시의 변화, 즉 기능적 측면에서 미술관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미술관의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미술관 공간의 변화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시대적, 운영적, 사회 요구적 변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을 변화하게 하는 요인으로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세 가지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미술관 공간의 변화에 대해 검증한다. (결과) 분석 결과, 오늘날 미술관 공간은 장소성이 높게 나타나며, 미술관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미술관의 기능적 측면의 변화로 인한 공간의 특성은 기관의 면적과 규모가 클수록 전시·교육·연계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해서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 지속성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람 서비스 측면으로는 휴게공간이 더 넓게 제공될수록 사용자의 편리성과 이용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 미술관의 공간 형태는 규모가 커질수록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변화가 미술관의 공간 운영 형태를 변화하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국립 미술관 공간 활용 계획에 앞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rt, the trends of the times for people to enjoy culture have changed with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National Museum of Arts has a duty to ensure that the right of enjoyment of culture is recognized as a people's basic righ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changes of the National Museum of Arts in Korea. It tries to derive each factor by analyzing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diachronically, and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is study should serve as academic research material for the space operation strategy of the art museum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Method) This study proceeded on literature reviews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It analyzed spatial changes by dividing them into periodic, operational, and socially demanding ones, and then analyzed the factors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from three aspects: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 The study then prepared a framework for analysis to verify the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high placeness in the art museum, a factor that bes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useum. The functional change in the art museum showed that the larger the area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and publicity, as it has run various programs for exhibitions, training, related cultural events, and so on. However, excellent accessibility was not proportional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publicity, and persistence. In terms of viewing service, except for exhibition halls, the more rest facilities built, the more convenient and usable, and participation and public performance appeared in the same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patial form of art museums today becomes a “complex cultural space” as its scale increases, with significa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and publicity. Therefore, changes in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s dictate how art museums us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nction as basic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when planning space utiliz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 BH4 responsive PKU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유전자분석

        이민희,김지원,이정호,이동환,Rhee, Minhee,Kim, Jiwon,Lee, Jeongho,Lee, Dong Hwan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3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3 No.2

        Purpose: Phenylketonuria (PKU) is the first inherited metabolic disease of which treatment is known. We performed this study to find out clinical symptoms and prognosis of tetrahydrobiopterin (BH4) responsive PKU patients and genetic relation. Methods: Clinical, biochemical, genetic analysis were done retrospectively in 23 patients diagnosed BH4 responsive PKU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0 to September 2012. Results: Patients were classified to mild hyperphenylalaninemia and mild phenylketonuria with initial plasma phenylalanine level below 20 mg/dL. After BH4 loading, blood phenylalanine decrease level ranged between 37% and 99%. Initial treatment with low phenylalanine formula or BH4 was started before 2 month after birth except 2 patients. And one of them resulted in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and social activity. The others showed satisfactory progress without developmental delay. In genetic analysis, of 46 allele, R241C allele mutation was identified most commonly (41%). R241C/A259T, R241C/R243Q, R241C/V388M, R241C/T278I was detected in 5 (21.7%), 3 (13%), 2 (8%), 2 (8%)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R241C mutation was detected most frequently in this study group and R243Q mutation which is known to be prevalent in Korean PKU patients was found in 4 patients (8.6%).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important in PKU patient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극복력 관련 요인

        이민희,박민정,Lee, MinHee,Park, Min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is study was aim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social isolati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s-19 (COVID-19)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resilience. Data were carried out from March 7 to May 5, 2021, an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wer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satisfaction with the explanation of isolation and the economic status of 'medium' were identified as related factors for resili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systematic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COVID-19 patients including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through families and health care providers, reducing social isolation through non-face-to-face counseling,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diseases, and providing economic support.

      • KCI등재

        시네트롤(Sinetrol-XPur)의 섭취가 Leptin 유전자 결핍 동물 모델의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

        이민희(Minhee Lee),권한올(Han Ol Kwon),최세규(Sei Gyu Choi),배문형(Mun Hyoung Bae),김옥경(Ok-Ky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시네트롤(Sinetrol-XPur)을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7주간 식이 투여하여 체중 및 지방 조직의 무게 변화와 지방 조직 내 지방분해 관련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네트롤을 섭취한 유전성 비만 마우스군(Sinetrol low와 Sinetrol high)에서 식이섭취량은 유전성비만 대조군(Obese)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증가량 및 지방 조직들의 무게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군의 지방 조직에서 지방분해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phosphodiesterase 3B의 발현은 Obese에 비해 Sinetrol에서 감소하였고, A kinase anchor protein 1, adipose triglyceride lipase, perilipin 유전자의 발현은 Obese에 비해 Sinetrol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네트롤이 지방분해 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체내 지방의 축적이나 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체중의 증가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netrol-XPur (polyphenolic Citrus spp. and Paullinia cupana Kunth dry extract) on lipolysis using leptin-deficient obese (ob/ob) mice. Obese mice were treated with two different doses, 100 mg/kg body weight (B.W.) and 300 mg/kg B.W. in each AIN93G supplement, for 7 weeks. Body weight gain in obese mice treated with both low and high doses of Sinetrol-XPur was reduced compared with control obese mice. Abdominal and visceral adipose tissue weight of mice were reduced in high dose supplemented groups.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was reduced in both low and high dose supplemented groups by 18.27% and 41.05%, respectively. Phosphodiesterase 3B (PDE3B) mRNA levels decreased upon Sinetrol supplementation in adipose tissue of ob/ob mice, whereas A kinase anchor protein 1 (AKAP1), adipose triglyceride lipase (ATGL), and perilipin (PLIN) mRNA level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netrol-XPur supplementation partially stimulates lipolysis through reduction of PDE3B and induction of AKAP1, ATGL, and/or PLIN gene expression, resulting in reduced body and white adipose tissue weight.

      • KCI등재

        예술작품으로서 파빌리온 건축을 통한 전시공간의 확장에 관한 연구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민희 ( Minhee Lee ),황용섭 ( Yongseup Hwang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예술의 개념이 확장되면서 다원화되고 복합적인 현대미술의 흐름에 따라 전시공간 또한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전시공간 자체가 작품이 되고, 작품이 전시공간이 되는 등 20세기 현대미술의 대표적 전시공간의 모습인 화이트 큐브 전시형태를 넘어서 다양한 장르의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현대미술 전시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전시공간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전시공간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 전시공간 개념의 변화 속에서 미술과 건축의 결합에 따른 파빌리온 건축의 등장과 관람자가 마주하는 공간경험에 대한 새로운 유형의 전시공간의 확장을 연구함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시공간의 개념의 변화와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건축의 개념을 정립하고,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건축프로젝트인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제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 칠레 산티아고의 컨스트럭토(Constructo), 로마 국립 21세기 현대미술관(MAXXI), 터키 이스탄불 근대미술관(Istanbul Modern),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MMCA)를 통해 파빌리온 특성과 유형을 토대로 최근 경향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대상으로는 2014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참여하게 된 국립현대미술관의 2014년-2016년 시행되었던 파빌리온을 연구대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관점의 분석을 통해 공간적 해석과 표현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 이러한 요소들을 통하여 사례를 분석한 연구결과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은 현대미술과 건축의 만남을 통하여 이들의 접점에서 미술작품을 일상의 공간으로 가져오며 예술과 삶의 긴밀한 관계를 재고하게 한다.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이 전시공간의 확장을 보여주는 요소를 네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공간경험에 대한 요구로 인한 파빌리온의 기능적 확장. 둘째, 관람적 특성의 변화에 따른 관람객 참여중심 공간으로의 체험적 확장. 셋째, 예술작품으로 인정되기 시작한 파빌리온에 대한 예술성에 따른 미학적 확장. 넷째, 물리적 공간을 넘어 개념적 접근을 통한 장소성의 확장을 들 수 있다. (결론) 현대미술에서의 파빌리온 건축프로젝트는 관람객 활성화와 더불어 새로운 현대미술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과 같은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건축의 도입은 이것을 작품으로 바라보게 하며 감상의 대상을 전시공간 자체로 변화하게 했다. 오늘날의 전시공간의 의미는 공간의 경험 또한 작품의 일부가 되며 전시공간의 확장을 가져오게 한다. 이와같이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이 새로운 전시공간의 시각으로 접근하는 후속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what constitutes “art” has expanded in recent years, and the trends in contemporary art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and complex. As such, exhibition space has also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appreciating art. Exhibition spaces become a work of art in their own right, and the artwork becomes the exhibition space. Various genres of exhibitions beyond the general form of the white cube are being held to represent 20th century contemporary art in the context of its site of exhibition. Within this transformation, new forms of exhibition spaces are appearing in accordance to changes in the concept of what constitutes a contemporary art space. This study surveys the expansion of new exhibition spaces,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art pavilions that combine art and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experience of audiences. (Method)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pavilion architecture as a work of art and emphasizes possible changes to these spaces by analyzing current trends based on the attributes and features of pavilions like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Istanbul Modern, MAXXI (Rome, Italy), and Constructo (Santiago, Chile), which form an international network around the "Young Architect Program" of MoMA (New York, USA).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spatial interpretation of audience members, and the expressive methods of designing exhibition spaces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of analysis on the pavilions arrange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14 to 2016), the first institution in Asia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Results) The "Young Architect Program" brings works of art into everyday spaces through the rendezvous of contemporary art and architecture. Doing so also enables recollection on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The pavilion exhibition space can be classified as a work of art according to three elements: the functional element of site-specificity and public concern, ability to use the space variably; aesthetic perspective of appreciating art spatially as the space itself is recognized as a work of art; and spati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narrative,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ivity of each pavilio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avilion construction project in contemporary art expands the audience while suggesting a new concept of contemporary art. The introduction of pavilion architecture as works of art, as in the Young Architect Program, has changed the exhibition space into both a work of art and the subject being viewed. The significance of exhibition spaces today includes the use of these spaces for creating a bond between the art and one`s spatial experience of it. On this account, a follow-up study is necessary to position the pavilion as the newest genre of exhibition space.

      • KCI등재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금융소양 교육의 방향성 탐색: Jump$tart에 제시된 금융소양 규준을 중심으로

        이민희(Lee, Minhee),최인선(Choi, In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Financial literacy is an essential element in living a modern society and the school education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through linkage with mathematics. The United States has been developing and researching financial literacy courses since 1998, and currently operates the Jump$tart, a national level curriculum for raising financial literac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financial literacy standards presented in Jump$tart(2017) at the high school level. Based on this, we examine the achievement criteria presented in Economic Mathematics , which is a career choice course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explore how it can be applied to raise financial literacy in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n addition, the systematic education on financial life and life design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of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whi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mathematics curriculum at the school site. 금융소양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수학과의 연계를 통해 학교 교육을 출발점으로 해야 한다. 미국은 1998년부터 금융소양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금융소양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jump$tart 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Jump$tart(2017)에 제시된 금융소양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준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진로선택 과목인『경제수학』에서 제시 한 성취기준을 검토하고 고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금융소양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적용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금융 생활과 생활 설계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과 학교 현장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금융소양 교육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고기능성 투습방수 소재의 저온굴곡 시험방법 개선 연구

        이민희 ( Minhee Lee ),문선정 ( Sunjeong Moon ),고혜지 ( Hyeji Ko ),홍성돈 ( Seongdon Hong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품질경영학회지 Vol.46 No.3

        Purpose: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of the flex resistance testing process at low temperature with the waterproof fabric to suit the military environment, and is designed to fit for the purpose of the waterproof materials in order to optimize the test method by finding out matters to improve from existing the test method and through previous studies. Methods: The test method, which has been applied to flex resistance of existing water-repellent materials, was improved and consequently, differentiated test results could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sample size, and flexing method. Results: The testing of the total of 8 samples revealed that performance of the military requirement could hardly be met just by presenting the materials or 2~3 layers when the quality criteria for high functional water repellent fabrics were applied. PTFE(Polytetrafluoroethylene) is preferred to PU(Polyurethane) to be used in the extremely low-temperature environment, but durability under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may be varied depending on film thickness or laminating technique even if the materials of waterproof films are identical.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material or texture, the test method capable of reflecting durability under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shall be suggested, and the newly designed test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as shown to suggest differentiated quality criteria by the material. Conclusion: The water resistance measurement and the test method following flex resistance with expanded range of flex will enable the differentiable test of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ifferentiable test method capable of establishing a basis of deciding suitable material when selecting military goods made of water repellent material by properly improving the test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