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본소득에 대한 노동법적 고찰 -근로권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적 검토-

        이다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대학교 法學 Vol.60 No.1

        As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such as AI, automation and big data technology sweeps across the economy and industry, many studies suggest a rather gloomy prospect that a ‘workless future’ might advent as a result of technology replacement of human employment. On the face of this change, the universal basic income (UBI), a periodic cash payment delivered to all on an individual basis without means-test or work requirement, is being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ystem that guarantees livelihood for all citizens. Some criticizes UBI on the basis that, given the fact that it is given unconditionally without work requirement, UBI might weaken existing labour rights mechanisms; that people would not choose to work if they are given unconditional UBI, which will render labour rights meaningless. However, this article argues that UBI does not interfere with labour rights; on the contrary, UBI poses a strong potential to reinforce existing labour rights system in a way that it could correspond more properly to the changing world of work. First, UBI enables a critical review of the ‘right to work’ concept which has been built on a Keynesian faith in full employment. Second, by granting an income that is unrelated to work, UBI could possibly correct the bias toward wage-labour in our existing labour system and result in reappraisal of care work. UBI could thus contribute to relieving gender inequality and raise women’s status at work. Lastly, UBI is a conception that can possibly fit more properly to the new forms of work that is digitalized-by granting UBI, platform workers, who are not currently being protected by existing employee protection scheme, might be able to enjoy a better protection of their work. In light of such analysi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UBI is a plan that reinforces rights at work and decent living in a transformative way. 기본소득(basic income)은 국가가 자산심사와 근로 요구 없이 모든 개인에게 주기적이고 무조건적으로 지급하는 현금을 의미하며, 보편성, 무조건성, 개별성, 정기성 등을 그 개념 요소로 한다. 글로벌 경제의 불평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사회경제적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이며, 최근 4차 산업혁명 담론과 함께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인한 고용 감소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상황 속에서 기본소득은 경제적 부정의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대안적 제도로 주목받고 있어 법적 검토의 필요성이 크다. 기본소득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기본소득과 노동의 관계에 대해 다소 모호하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본소득이 근로 여부와 무관하게 주어지는 소득이라는 점을 주로 강조하여 기본소득을 시행할 경우 노동의 사회적 가치가 평가절하되거나, 기존 노동법 체계와의 정합성을 우려하는 입장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기본소득과 노동이 상호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본소득을 실시할 경우 산업구조의 새로운 변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노동권이 강화되고 재정초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기본소득이 노동법에 대해 제공하는 유의미한 시사점은 첫째, 완전고용을 목표로 하는 현존하는 근로권 관념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할 수 있게 해 주며, 둘째, 기본소득은 노동과 소득의 연계를 약화시키는 대신 임금노동에 편중된 현재의 노동체제를 재편하여 돌봄노동의 가치를 드러내고 젠더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고, 셋째, 4차 산업혁명 내지는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인해 가능해진 새로운 근로 형태와 그에 따른 법적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기본소득은 또한 일과 삶의 양립을 지원하고, 근로자의 시간주권과 근로선택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헌법이 상정하는 노동권 및 인간다운 생활권 구현에 부합할 가능성이 크므로 입법을 위한 적극적 검토가 요청된다.

      • KCI등재

        비틀어진 형상(Twisted)을 가지는 고층 구조물의 역학적 특성 분석

        이다혜,김현수,강주원,Lee, Da-Hye,Kim, Hyun-Su,Kang, Joo-Won 한국공간구조학회 2020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20 No.4

        In this study,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mbining gravity load and lateral loads such as seismic loads through static analysis of example structures, and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twis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lane rotation angle were also analyzed. Example structures were selected as regular structure, and twisted structures; 1.0, 2.0, and 3.0 degree angle of rotation per story, and static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load combination case 1 and case 2. As a result the story drift ratio of the twisted-shaped structure also increased as the plane rotation angle per story increased. The eccentricity according to the load combination was the highest in the lower stories of all analysis models, and the eccentricity was found to be larger as the rotation angle decreased. The twisted-shaped structure was more responsible for the bending moment of the column than the regular structure, and the vertical member axial force of all analysis models was almost similar.

      • KCI등재
      • KCI등재

        비틀어진 형상(Twisted) 고층 구조물의 평면 회전 각도별 동적 응답 분석

        이다혜,김현수,강주원,Lee, Da-Hye,Kim, Hyun-Su,Kang, Joo-Won 한국공간구조학회 2021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21 No.1

        In this paper, the dynamic response was analyzed by performing linear dynamic analysis using historic earthquake loads on twisted-shaped structures and fixed structure among free-form high-rise structures with atypical elevation shape following prior studies. In additi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models according to the plane rotation angle of the twisted stru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he plane rotation angle of the twisted structure increased, the interlayer deformation rate increased in the high-rise part of 50th floors or more. The story shear force and the story absolute acceleration were similar in the entire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story shear force, the response of the twisted shape model was rather reduced in the middle par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ynamic response, the vulnerable layer where the response amplification of the twisted structure occurs was found to be 31st story.

      • KCI등재
      • 공정 조건을 고려한 공정 배치 최적화

        이다혜,이창준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Plant layou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reducing plant construction costs. In the research field of plant layouts, the main purpose is to minimize the total length and cost of pipelines between equipment by satisfying various constraints. However, previous research overlooks the consider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Additionally, sufficient safety distances between equipment have to be guaranteed, and maintenance spaces should be considered for on-site repairs or maintenance. Moreover, various multi-floor plants have been constructed. Therefore, an appropriate algorithm for handling these issues urgently needs to be developed. Equations for the mixed integer nonlinear programming problem considering various issues are proposed in this study. In these equations, the objective function is the total summation of pipeline and additional energy costs generated by pressure drop and heat transfer.

      • KCI등재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문제해결력과 식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다혜,양정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 수업을 식생활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의 문제해결력과 식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이것을 토대로 앞으로 실과 교과의 교수방법에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 의정부시 S 초등학교 5학년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2009년도 2학기에 10차시 분량의 실과교과의 식생활 단원을 수업하였다. 실험반은 32명으로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으로 진행하였고, 비교반은 28명으로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수업지도안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문제해결력과 식사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이용하여 변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실천적 문제 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한 실험반은 식생활과 관련된 실천적 문제를 하나 선정한 뒤 하위 문제로 영양, 식품선택, 식품조리와 관련된 내용요소가 포함된 문제들을 해결해 가는 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교사용 지도서의 수업지도안을 이용한 비교반은 실험반과 내용요소에 차이가 없도록 구성하여 균형잡힌 식사하기와 간단한 조리하기라는 두 가지 영역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은 아동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실험반은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t=3.20, p<.01), 비교반은 차이가 없는 것(t=.71)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식생활 수업은 아동의 식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실험반은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t=3.26, p<.01), 비교반은 차이가 없는 것(t=.73)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과교과에서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문제해결력과 식사 효능감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s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dietary self-efficacy. This study is consisted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and instruction based on teacher's guide book. Two fifth grade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in Uijeongbu,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each made a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instruction is designed by 10 lessons in the unit of food and nutr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is to solve complicated problem, to understand the property which the problem has, and to create solving plan. Dietary self-efficacy is positiveness and goal value of a person to future dietary life. As a result of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First, practical problem solving class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hen comparing pre/post results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roblem solving abilit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 group(t=3.20, p<0.01). Second, practical problem solving class impacted on the dietary self-efficacy of children. When comparing pre/post results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dietary self-efficac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 group(t=3.26,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non significant i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dietary self-efficacy of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여성의 노동 : 디지털 전환이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다혜 법과사회이론학회 2019 법과 사회 Vol.0 No.60

        This article predicts how “digital transformation,” recently being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affect the labor of women who are suffering from inequality and tries to derive leg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accordingly. While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has improved compared to the past, gender inequality at labor is yet to be resolved as women still assume care obligation in accordance with gender stereotypical practices. Will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accompanying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market serve as a favorable opportunity for women, or will they remain stuck without addressing existing inequalities? Since the main cause of gender inequality in women's labor is the fact that care work is unfairly dedicated to women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gender rol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care work. Although care work is undervalued compared to wage labor as it is still treated as an informal sector in the system, wage work and care work are interrelated in terms of reproductive functions. If digital transformation has a noble effect on care work, it will eventually affect the overall status of women both at home and workplace. In light of such perspective, this article analyzes digital transformation in two main areas. The first one is paid care work done as an occupation in the labour market; the second one is unpaid care work, such as household chores and childcare, mostly by women at home. First, as for paid care work, this article introduces recent trends in which care work is carried out through digital platform, and tries to find what legal measures are requir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of these ‘platform care workers.’ Second, as for unpaid care work at home, the article looks at whether digital transformation could contribute to work-life balance, considering that women are at an disadvantage in the labor market because they bear care penalty. Ultimately, it suggests that in order for digital transformation to contribute in a way that promotes gender justice, normative choices and institutional responses are necessary. 본 논문은 최근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일컬어지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기존에 불평등을 겪고 있는 여성의 노동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 전망하고 그에 따른 법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는 과거에 비해 개선되었다고 하나, 많은 여성은 여전히 전통적 성역할에 의해 기대되는 돌봄 의무를 떠맡고 있어 노동에서의 젠더 불평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및 그에 수반되는 산업 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는 여성에게 유리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까, 아니면 기존의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지 못하고 고착화된 상태로 남아있게 될 것인가?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답하기 위하여 디지털 전환이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여성 노동에서 젠더 불평등의 주요 원인은 돌봄의 여성화, 즉 돌봄노동이 남성보다는 주로 여성에게 불공평하게 전담되어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므로, 디지털 기술혁신이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여성 노동의 불평등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가정에서의 돌봄노동(care work)과 일터에서의 임금노동(wage work)은 재생산을 매개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디지털화가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은 결국 임금노동을 비롯한 여성의 노동 전반에 대한 영향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여성 노동에 대한 영향을 일터에서 직업으로서 행해지는 유급 돌봄노동과, 육아 및 가사 등 가정에서 부담하는 무급 돌봄노동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특히 유급 돌봄노동 영역에서 최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돌봄노동이 플랫폼을 통해 수행되는 동향에 대해 소개한 뒤, 플랫폼 돌봄노동자의 근로조건이 개선되고 양질의 노동(decent work)을 보장받기 위해서 어떠한 법적 대응이 필요한지 살펴본다. 아울러 가정에서의 무급 돌봄노동에 대해서는 여성이 가정에서 경제적 대가를 받지 않고 가사, 양육 등 돌봄노동에 시간과 에너지를 투입하기 때문에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디지털 전환이 일과 삶 양립(work-life balance)에 기여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궁극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여성의 남성화’ 뿐 아니라 ‘남성의 여성화’도 가능해지는 방향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규범적 선택과 제도적 대응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