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 비교연구

        이내영,한지영,허미진,Lee, Nae Young,Han, Ji Young,Heo, Mi Ji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B시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 105명과 간호사 105명을 대상자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간호요구도는 환자는 $3.73{\pm}0.76$, 간호사는 $3.88{\pm}0.60$였다 (t=9.23, p<.001). 하위영역은 치료 영역이 환자와 간호사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신체 영역이 두 집단 모두 가장 낮았고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p<.001).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환자는 $3.35{\pm}0.74$, 간호사는 $3.31{\pm}0.44$였다 (t=3.88, p<.001). 하위영역은 두 집단 모두 치료 영역이 가장 높고 신체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간호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간 차이는 환자 (t=3.77, p<.001)와 간호사 (t=9.23, p<.001) 모두 간호요구도가 간호서비스 만족도보다 높았다. 즉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요구도가 환자보다 높아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두 집단 모두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요구에 못 미치는 간호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 따라서 환자와 간호사 모두 만족하는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evaluates the need of nursing (NN) and satisfaction on nursing service (SNS) in patients and nurse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05 patients and 105 nurses in one hospital. The mean score of NN was $3.73{\pm}0.76$ for patients and $3.88{\pm}0.60$ for nurses (t=9.23, p<.001). The top score came from cure territory, while the lowest from physical territory in both patients and nurses. The mean score of SNS was $3.35{\pm}0.74$ for patients and $3.31{\pm}0.44$ for nurses (t=3.88, p<.001). The top score came from cure territory, while the lowest from physical territory in both patients and nurses. When NN and SNS are compared, the score of NN was higher than that of SNS in both patients (t=3.77, p<.001) and nurses (t=9.23, p<.001). As a result, they provided unsatisfactory nursing services, although nurses worked hard to improve them. Nurse administrators should develop strategies and apply them.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의 건강 실태 조사

        이내영 ( Nae Young Lee ),한지영 ( Ji Young Ha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반적인 특성과 건강상태 및 건강지각 관련 요인을 파악한 연구로는 처음 시도된 연구이며 외국인 유학생의 건강에 대한 현황 파악 및 문제 제기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상황을 분석하고 건강문제와 건강관리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은 중국계, 학사과정을 이수 중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비만정도의 편차가 컸다. 조사 대상 289명 중 대부분이 아시아계이었으며 이 중 중국이 가장 많았다. 이는 기존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연구(Kim & Kim, 2005; Kim, 2007; Kim, 2008; Noh, 2003; You, 2008)의 출신국가 분포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의 국적이 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비중국계 56명을 기준으로 중국계와 비중국계를 동일 수로 설계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거주기간은 평균 20.4개월로 최소 2주에서 최대 84개월이고 학사과정이 53.6%로 가장 많아서, 어학연수의 성격을 띤 1년미만부터 대학교 및 대학원 진학의 고등 교육을 위한 3년 이상에까지 폭넓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부분이 자신을 건강하다고 인식하며 실제로도 건강하였다. 대상자의 93.7%가 자신의 건강을 보통 또는 좋음으로 지각했고 실제로도 건강군이 92.9%였다. 재한 몽골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2009)의 연구에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이에 반해 한국대학생의 56.0%만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며(Kim, 2007) 건강군이 75.9%에 불과한 점(Ok, 2000)과 비교하면 외국인 유학생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이고 실제로도 건강 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체적 건강에서는 성관련 문제와 구강질환을 제외한 구체적인 증상으로 눈의 피로감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생리통, 소화불량, 충치, 치통의 순이었다. 눈의 피로감은 한국 대학생(Shin & Nam, 2002)에서도 가장 흔한 신체증상이지만 다음으로는 숨참, 어깨 통증, 공복 시 속 쓰림, 눈의 통증을 흔한 증상으로 호소하여 내용과 순위 모두 차이가 있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건강한 상태에서도 흔히 있을 수 있는 생리통, 소화불량과 같은 일시적인 증상들을 많이 호소하므로 병의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학내 진료소 등에서도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학내 보건진료소 이용 경험이 41.07%에 불과하므로, 학내 보건 진료소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충치, 치통 등 치과 질환은 일반적으로 고가의 의료비와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므로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더욱 취약한 건강문제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대학생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좋은 건강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건강 위해 행위인 흡연과 음주를 보면, 외국인 유학생 중 흡연자는 44.6%로 한국 대학생의 흡연율보다 높았다. 그러나 흡연량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반 이상(66.7%)이 반갑 미만으로 한국 대학생(Ok, 2000)에 비해 흡연량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흡연기간은 1-5년 미만이 36명(56.0%)으로 가장 많아 한국 대학생(Ok, 2000)들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는 전체의 72.3%만이 음주를 하여 20-29세 성인(Korean woman`s developmentinstitute, 2006)과 대학생(Hong, 2007; Ok, 2000)이 모두 거의 음주를 하는 것과는 차이를 보였다. 1주일 간 음주 횟수는 1회 미만이 가장 많고 1회 이상은 22.8%에 불과한데 반해 한국 대학생(Ok, 2000)의 경우 1회 미만이 가장 적고 1회 이상이 가장 많다. 고도위험음주 횟수는 남자의 경우 없거나(45.7%), 한 달에 1번 미만(23.6%)이, 여자도 없거나(68.2%), 한 달에 1번 미만(16.9%)이 가장 많았다. 음주시작 시기는 1-5년 미만(68명, 39.9%)이 가장 많았다. 한국 대학생의경우(Ok, 2000)는 1-5년 미만이 57.8%이며, 5년 이상의 경우도 10.1%에 이르러 외국인 유학생들의 음주기간이 짧았다. 구체적인 건강습관을 살펴보면,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는 한국대학생(Ok, 2000)에 비해 적었으며, 간식을 하지 않는 비율은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 (2009)의 결과와는 유사하였고, 한국 대학생과 비교하면 Kim (2001)의 4.2%보다는 훨씬 높았다. 규칙적으로 배변을 하는 비율, 가까운 거리를 걷는 비율은 한국 대학생(Kim, 2001)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운동을 하는 비율은 한국 대학생의 경우와(Kim, 2007; Ok, 2000; Park, 2009)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비교적 좋은 건강 습관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Kim(2009)은 자국이 아닌 외국이라는 특성상 다양한 스트레스에 시달려 신체적 건강 저하가 심각하다고 보고하였으며, Park (2008)은 건강에 필요한 수준과 실제 지원의 양 사이의 차이는 유학생들의 만족이나 유병률과 상관이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포함한 개인생활에 대한 적응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들은 질병 치료보다는 건강유지 위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었다. 이들은 91.1%가 건강관리에 관심이 ‘보통’이 상이었고,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에서도 ‘많다’ 및 ‘매우 많다’가34.8%로 월등히 많았으며, 실제 건강관리도 84.1%가 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건강관리 방법으로 걷기, 식사관리, 수면 관리 등 일상 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주로 응답하였다. 질병 시에는 병의원 방문이 29.5%인데 반해 약국 방문 33.0%, 자가 치료 28.6%로 많았다. 즉 외국인 유학생들은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건강관리를 하고 있어 건강관리에 적극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평상시의 건강관리나 자가 간호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특성을 볼 때 외국인 유학생의 건강관리는 질병 치료보다는 학내 보건소, 지역사회 보건소 등을 통해 건강유지 및 증진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질병에 대한 치료를 받지 않는 이유가 중병이 아니어서가 가장 많고 우리나라에서 이용한 의료서비스도 건강검진이 가장 많은 것 또한이를 뒷받침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적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개선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의료서비스의 편의성에 대해 편리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외국인 보건 실태에 대해서도 만족한다는 응답이 많은데다 의료비는 대부분(71.4%)이 자비 부담이었다. Lee와 Ji (2006)의 연구에서도 유학생활을 하는 동안 학업에 어려움을 준 제도적인 요인으로 외국인 건강보험 제도를 지적하였다. Han (2009)도 보건복지부가 유학생에 대한 건강 보험료율 조정을 해야 하고, 생활지원으로 인근 병원과 건강보험(학생의료공제, 국민건강보험) 가입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적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개선점으로 지적한 의료비 감면혜택, 언어문제, 외국인 전용 창구 개설 등을 보완한다면, 국내 의료서비스 이용을 늘릴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 건강습관,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 이용 중일부 특성이 외국인 유학생들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일반적 특성에서는 남자에 비해 여자가, 기숙사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학내 보건소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건강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습관 중에서는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 중간 강도의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다.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서는 건강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가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다. 외국인 유학생 중 이상과 같은 특성을 가진 대상자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계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1개 광역시의 4년제 대학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하고, 실험설계상 중국인 학생의 비율이 높아 연구 결과를 전체 외국인 유학생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좀 더 광범위한 지역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연구와 중국인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이상과 같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건강 실태상태와 건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건강문제를 반영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국내적응 및 만족도를 향상시켜 외국인유학생들을 계속해서 유치하고 최종적으로는 이들의 졸업률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health-related inform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2 international students of 4 universities in P city regarding perceived health belief, health status, health habits, health management and medical costs. Results: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perceived that their health belief was good and most of them belonged to healthy group. Also they reported good health habits and less severe physical complaints which can be easily treated. However, the portion of underweight or obese was large and physical complaints were frequent. Conclusion: To promote health of international students, nurses in university or community should develop appropriate programs to improve health habits and to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세대정치의 등장과 지역주의

        이내영(Lee Nae Young),신재혁(Shin Jae-hyeok)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3 亞細亞硏究 Vol.46 No.4

        One of the key features of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was the emergence of generational politics, Young voters supported Roh Moo-hyun, the candidate of the ruling Millenium Democratic Party(MDP), whereas older voters favored Lee Hoi-chang, the candidate of the opposition Grand National Party(GNP). According to recent studies, differing political ideologies by generation was the main reason why generation became a significant factor for candidate choice in the last election. The younger generation favored the progressive candidate Roh because they were more progressive, and the older generation supported Lee because they were more conservative, In other words, generational cleavage has overlapped with ideological cleavage,<br/> This article addresses the following two questions, First, how and to what extent did generation overlap with political ideology in candidate choice of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e measure the polarization ratio of political ideology by generation, by utilizing Yule's Q as a statistical indicator. Findings from this analysis show that generation strongly overlapped with ideological position in candidate choice. Hence, we argue that differing political preference by generation as well as ideology can be labelled as . generation-ideology cleavage' .<br/> Second, we discuss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emerging generational politics.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emergence of generational politics would undermine regionalism as an obstinate obstacle in Korean electoral politics. To do so we focus on the electorates of Cholla and Kyungsang provinces and compare voting behaviors of the three groups which belong to differing generation-ideology categor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mixed. Younger, progressive voters of the Kyungsang province show a lower intensity of regionalist voting than older, conservative voters.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emergence of generation-ideology cleavage would undermine regionalism in the Kyungsang province. By contrast, Cholla voters do not show a clear difference of candidate choice between younger, progressive and older, conservative groups, and maintain a higher intensity of regionalist voting. These findings do not allow us to predict that the emergence of generational politics will weaken regionalism. However, since we find out that generational cleavage is closely related with ideological cleavage,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generation-ideology cleavage.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자비, 부정적 학습정서 및 학습참여가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내영(Nae-Young Lee),한지영(Ji-Young Han),김명자(Myung-J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의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자비, 부정적 학습정서 및 학습참여가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일 개 대학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 집계된 159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자기자비 3.29점(5점 만점), 부정적 학습정서 2.87점(6점 만점), 학습참여 3.59점(4점 만점), 학업만족 3.59(5점 만점)이었다. 비대면 수업에서 대상자의 학업만족은 부정적 학습정서와 부적 상관관계를 학습참여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기자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에서 학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부정적 학습정서와 학습참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36.7%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만족에 있어 부정적 학습정서와 학습참여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정적 학습정서를 제거하고 학습참여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 및 적용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negative learning emotions, and learning participation on academic satisfaction of nursing in untact lecture due to COVID-19.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00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the final 159 copie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7.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compassion was 3.29 (out of 5), negative learning sentiment 2.87 (out of 6), learning participation 3.59 (out of 4), and academic satisfaction 3.59 (out of 5). In untact lecture, the subject s academic satisfac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learning emotion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participation,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egative learning emotions and learning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academic satisfaction, which explained 36.7%. Conclusions This study reconfirmed that negative learning emotions and learning particip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academic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untact lectur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untact lec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remove negative learning emotions and increase learning particip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 분석

        이내영(Lee, Nae Young),어용숙(Eo, Yong Sook),이지원(Lee, Ji Won) 한국간호교육학회 2015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1 No.1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CC) and educational needs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CC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CC and educational needs for CCN.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30 nursing students in three nursing colleges.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CC score was 2.99 and the mean CCN educational needs score was 7.1. CC posi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al needs for CC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6% of the variance in CC. Factors affecting CC were school grades,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frequency of meeting foreigners, length of encounters with foreigners, foreign-language fluency, and degree of interest in multicultural nursing. Conclusion: To strengthen the CC of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CCN and incorporate CCN into nursing school curricula.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내영 ( Nae Young Lee ),한지영 ( Ji Young Ha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4 정신간호학회지 Vol.23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Methods: Between October 2011 and November 2012 nursing students (n=193) in 2 universities in 2 cities completed measures of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All variabl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ach other in the positive direction: mental health was correlated with existential well-being (r=.72) and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r=.23). The factor influencing mental health was existential well-being (β=.70, p<.001). Existential well-being explained 51.0% of nursing students`` mental heal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is related to mental health. Especially, existential well-being has a major effect on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which strengthen existential well-being in order to improve perspective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집단따돌림’ 관련 온라인 기사 빅데이터 의미연결망 분석

        이내영(Lee N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따돌림 관련 뉴스 빅데이터를 의미연결망으로 분석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탐색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8월 24일부터 2019년 8월 24일까지 11개 일간지 온라인 기사 중 집단따돌림 관련 검색어를 포함하는 936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Python 패키지 KoNLPy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하여 단어 목록을 추출하고 정제하였으며, 빈번하게 출현하는 상위 30개 키워드의 단순출현빈도분석을 하였고, 행렬 데이터를 Netdraw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여 의미연결망 분석하였으며, 중심성(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따돌림과 관련한 행위자는 아이, 청소년, 학생, 친구, 교사, 부모, 어머니가 빈도 분석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따돌림과 관련한 행위는 빈도분석과 전체 네트워크 분석 모두에서 폭력, 교육, 생각, 상담, 자살, 온라인게임이 많이 언급되었고 중심성 역시 높았다. 셋째, 집단따돌림과 관련한 장소는 사회, 초등학교, 학교가 빈도분석에서는 빈출하였고 전체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중심성이 높았다. 에고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집단따돌림과 직접 연결 관계를 가졌다. 본 연구의 결론은 집단따돌림이 피해자와 가해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행위자와 요인이 관여하며, 집단따돌림의 예방 및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의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에 관한 언론사 기사 빅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대중매체의 다양한 시각을 탐색하여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의 범위를 주요 언론사 온라인 기사는 물론 소셜미디어로 확장하여 다양한 시각을 확보하고, 각 키워드에 대한 구체적 인식을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하는 시도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extracted keyword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analyzing big data of news articles related bullying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936 news articles from 11 daily newspapers from August 24, 2014 to August 24, 2019. For data analysis, data extraction and cleaning was performed using the Python package KoNLPy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visualized matrix data using Netdra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children, adolescents, students, friends, teachers, parents and mothers were often found in the frequency analysis. Second, bullying, violence, education, thought, counseling, suicide, and online games were mentioned as behaviors related bullying in both frequency analysis and whole network analysis. Third, social, elementary school, and school were frequently used as places related bullying in frequency analysis; in high centrality in whole network analysis and direct connection with bullying in ego network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bullying involves various actors and factors, including victims and perpetrators, and a comprehensive approach at the social level is needed to prevent and resolve bully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ig data of news articles about bullying, and to explore and comprehensively explore various views of mass media. The suggestion is to expand the scope of big data to major online news articles as well as social media to secure diverse perspectives and to compare specific perceptions of each keyword with existing prior studies.

      • KCI우수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관계유대와 전문직 자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내영(Lee, Naeyoung),김영순(Kim, Young Soon) 한국간호행정학회 2017 간호행정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s of relational bonds and professional authority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0 ICU nurses working in 3 tertiary hospitals. The survey content includ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 Relational Bond Questionnaire (RBQ) and Schutzenhofer Professional Nurse Autonomy Scale (SPNA). Results: The score for OCQ was 2.59, for RBQ, 3.23, and for SPNA, 2.93.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related to relational bonds (β=0.45; p<.001; SE=0.08).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1.6% of the variability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ICU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be improved through increasing relational bonds and retaining experienced nurses which suggests a need to develop work systems designed to increase and maintain high relational bonds in ICU nurses.

      • KCI등재

        미주자유무역지대(FTAA)의 추진경과와 출범 전망

        이내영(Nae Young Lee)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2 국제관계연구 Vol.6 No.1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recent progress and prospects of the Free Trade Area of the Americas (FTAA) negotiations. Thirty-four countries of the Americas gathered at the Third Summit of the America, held in April 2001, in Quebec, Canada, where they agreed to launch the FTAA in December 31, 2005. The FTAA is an expansion of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to include every country in Central America, South America and the Caribbean, with the exception of Cuba. Negotiations began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NAFTA in 1994 and are to be completed by early 2005. The region-wide trend of economic liberalization and reform, the successful launching of NAFTA and MERCOSUR, and the revitalization of existing regional arrangements, such as the Andean Pact and the Central Common Market (CACM), ar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recent progress of the FTAA negotiations. If it is launched in 2005 as planed, the FTAA will be the largest trade bloc comprising a market of 800 million populations and maintaining a GDP of $12 trillion dollars. Therefore, the FTAA is expected to provide profound impacts on the American region both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It is no question that the FTAA will bring substantial economic benefits to participating countries. The FTAA is expected to reduce trade barriers, to enlarge the market size, and thus to facilitate economic growth in the American region. Still, given various obstacles, it remains uncertain whether FTAA negotiations will progress smoothly. Thirty-four countries which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FTAA negotiations differ significantly both in terms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of the economy and their size and industrial structure. As a consequence, these member countries have differing interests and positions toward various agenda of the FTAA negotiations, thus making it hard for them to reach a consensus and agreement. The successful progress of FTAA negotiations will be determined by a number of factors. The most crucial variable will be the leadership role of the United States. The experiences of the European Union show the importance of regional leader for successful regional integration. In fact, the slow progress of the FTAA negotiation under the Clinton administration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its reluctant position and weak leadership on the issue of the FTAA. Since the current Bush administration has adopted a more active policy toward the FTAA and also controls the majority seats of the congress, in contrast to the Clinton government, President Bush seems to have a better chance to play the active leadership role toward the FTAA. Another crucial factor is the policy of the MERCOSUR and its leader Brazil toward the FTAA negotiations. The MERCOSUR members, especially Brazil, have shown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the FTAA. Brazil has been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FTAA may undermine her domestic industries, and its status as a regional leader. Therefore, Brazil prefers the gradual approach toward the FTAA. In addition, FTAA negotiations are affected by other factors such as economic stability of Latin America, the European Union's policy toward Latin America, and the progress of the WTO's New Round of trade negotiations. Regarding the prospects of the FTAA, the following three scenarios are suggested in this article. The first scenario is the smooth progress of FTAA negotiations and a successful launching of the FTAA in 2005. This scenario can be realized if the United States plays a leading role and the MERCOSUR takes a cooperative stance to the FTAA. The second scenario is the launching of the FTAA with a limited scope. This scenario is possible if FTAA negotiations are delayed and the United States decides to launch the FTAA by expanding the NAFTA. The final scenario is the failure or delay of FTAA negotiations. This scenario can occur if the Bush government fails to obtain Fast Track Authority (FTA) from the Congress an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이념투표

        이내영(Nae-Young Lee)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평화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전자의 이념성향의 변화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2004년 이후의 주요 선거에서 이념의 효과가 시기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를 초래한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이념투표 모델을 제시하고 각각의 모델에서 이념투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로는 우선 2004년 이후의 한국의 주요 선거에서 이념은 사람들의 정당이나 후보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수로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2004년 선거에 비교하여 최근 선거에서는 이념투표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도 나타났다. 이렇게 이념투표의 효과가 감소하는 주요 이유로는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으로 인한 진보성향 유권자의 지지선회, 중도성향 유권자의 비율 증가, 정당의 분극성(party polarization)의 감소라는 세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다른 핵심 결과는 세 가지 이념투표 모델 중에서 근접성 모델에 따른 이념근접성 변수는 모든 선거에 걸쳐서 투표선택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주관적 이념성향 변수와 이념방향성 변수의 영향력은 최근 선거로 올수록 투표선택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하는 것이었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nging ideological orientations of Korean voters, and to analyze how and why ideological factor has affected voting choice of Korean voters in major elections since 2004. To do so, three theoretical models for ideological voting are suggested and compared in measuring the effect of ideology in voting choice.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ous survey data, this paper shows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ly, ideology has consistently affected voting choice of Korean voters in major elections. Secondly, the effect of ideology has declined in recent elections than in the 2004 election.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ree theoretical models, the effect of ideological proximity on voting choice has been shown consistently throughout the elections, whereas the effect of subjectiv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ideological directionality has diminished in recent e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