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마토 폐배지를 딸기 수경재배 배지로 재이용 가능성 연구

        이규빈,박영훈,최영환,손병구,김준엽,강남준,강점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4 No.2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ycling coir substrates on the growth, fruit yield, and quality of strawberry plants.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revealed that the pH of a fresh coir substrate was 5.04 while those of substrates reused for one and two years were 5.20 and 5.33, respectivel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a new substrate was as high as 4.58 dS·m−1. This can cause salt stress after transplanting. The EC tended to decrease as the substrate was recycled, and the EC of a two-year recycled substrate was 1.48 dS·m−1. The fresh substrate had lower nitrogen and calcium concentrations, but higher phosphate, potassium, and sodium concentrations than the recycled coir substrate. The coir substrates recycled for one or two years maintained better chemical properties for plant growth than the fresh substrate. Strawberry growth var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years that the coir substrate was recycled. In general, strawberries grown in substrates that had been reused for two years did better than those grown in substrates that had been reused once or were fresh. Ninety days after transplanting, a plant grown in a substrate that had been reused for two years contained 25 leaves, which was 3.6 more than with a fresh substrate. In addition, the plants grown in a substrate that had been reused for two years exhibited larger leaf areas than those grown in other substrates. Coir substrates that had been reused for one year increased the number and area of leaves, but not as much as the substrate that had been reused for two years. One- and two-year reused coir substrates increased the weight of strawberries produced relative to the unused substrat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lants grown in two-year reused substrates were longer and wider, as well. Also, the number of fruits per plant was higher when substrates were reused. Specifically, the number of fruits per plant was 28.7 with a two-year reused substrate, but only 22.2 with a fresh substrate. The fruit color indices (as represented by their Hunter L, a, b values) were not considerably affected by recycling of the coir substrate. The Hunter L value, which indicates the brightness of the frui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hen the substrate was recycled. Neither Hunter a (red) nor b (yellow) values were changed by recycling.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hardnesses, acidities, or soluble solid-acid ratios of fruits grown in recycled substrates. Thus, it is thought that recycling the coir substrate does not affect measures of fruit quality such as color, hardness, and sugar content. Overall, reuse of coir substrates from hydroponic culture as high-bed strawberry growth substrates would solve the problems of new substrate costs and the disposal of substrates that had been used once.

      • KCI등재

        교육공동체 개념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새로운 교육공동체 사유를 향하여

        이규빈,유성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육공동체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총 16편의 ‘교육공동체’ 개념을 다루는 문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로 초기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교육공동체’의 형태를 구상하다가, 이후에는 ‘개별 주체를 드러내는 교육공동체’ 개념을 논의했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타자를 향하며 다름을 인정하는 교육공동체’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육공동체의 ‘참여주체’와 ‘교육’의 정의가 교육공동체 정의방식에 따라 상이함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공동체 사유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기존의 논의가 ‘기존 공동체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공동체를 사유’한다는 점을 들어 낭시와 블랑쇼의 존재론적 공동체를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살핌으로써 공동체 사유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교육공동체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를 비판적으로 망라하고자 했던 시도는 극히 드물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그 간극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been conceptualized and how the new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can be discussed. To achieve this purpose we looked at 16 literature dealing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published in Korea since 2000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itial studies mainly envisioned the form of an ‘educational community to achieve a common purpose’ but later discussed the concept of an ‘educational community that reveals individual subjects’. Recently discussions have been taking place to redefine it as an ‘educational community that recognizes Other who entails differences’. It also revealed that the definitions of ‘participants’ and ‘educ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diff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fin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ossibility of the new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discussed. On behalf of the ontological community of Jean-Luc Nancy and Maurice Blanchot, we discussed how new educational communities could emerge since existing discussions are try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existing communities’ and ‘conceptualize educational communities around relationships’. This study insists how the new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can be conceived to make a meaningful shift to the existing concept by examining how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been conceptualized in Korea. Though there have been many bibliographies about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Korea, there have been very few attempts to critically cover those. Hence, this study plays a role in supplementing the academic deficiency in the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아웃페인팅 기반 반려동물 자세 추정에 관한 예비 연구

        이규빈,이영찬,유원상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3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4 No.1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deep learning-based animal pose estimation, especially in the areas of animal behavior analysis and healthcare. However, existing animal pose estimation techniques do not perform well when body parts are occluded or not present. In particular, the occlusion of dog tail or ear might lead to a significant degradation of performance in pet behavior and emotion recognition. In this paper, to solve this intractable problem, we propose a simple yet novel framework for pet pose estimation where pet pose is predicted on an outpainted image where some body parts hidden outside the input image are reconstructed by the image inpainting network preceding the pose estimation network, and we performed a preliminary study to test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We assessed CE-GAN and BAT-Fill for image outpainting, and evaluated SimpleBaseline for pet pose estimation.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et pose estimation on outpainted images generated using BAT-Fill outperforms the existing methods of pose estimation on outpainting-less input image.

      • 청소년의 SNS 사용으로 인한 자존감 하락의 원인 및 연관성

        이규빈,이찬우,심재권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eals the cause and relationships of lower self-esteem during the usage of social media services(SNS). We surveyed 184 young people in grades 1 through 3 in middle school. They were asked to fill out the survey asking about SNS addiction tendency and relation of lower self-esteem in the four different major categories of SNS posts. (Appearance, material value, human relationship and leisure life.) As a result, SNS posts related with leisure life and human relationship greatly affects other major categories of SNS posts which lowers youth’s self-esteem. Also, among appearance, material value, human relationship and leisure life, they chose leisure life as second for lowering youth’s self esteem the largest. Therefore, SNS posts about leisure life mostly makes youth see themselves negativel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stop SNS posts from lowering youth’s self esteem, it is found that by restricting SNS posts related with leisure life, it makes youth reduce to look themselves negatively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랜섬웨어 동적 분석을 위한 시그니처 추출 및 선정 방법

        이규빈,옥정윤,임을규 한국정보과학회 201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4 No.2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damages by ransomware in the world. Ransomware is a malicious software that infects computer systems and restricts user’s access to them by locking the system or encrypting user’s files saved in the hard drive. Victims are forced to pay the ‘ransom’ to recover from the damage and regain access to their personal files. Strong countermeasure is needed due to the extremely vicious way of attack with enormous damage. Malware analysis method can be divided into two approaches: static analysis and dynamic analysis. Recent malwares are usually equipped with elaborate packing techniques which are main obstacles for static analysis of malwar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dynamic analysis method to monitor activities of ransomware. The proposed method can analyze ransomwares more accurately. The suggested method is comprised of extracting signatures of benign program, malware, and ransomware, and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signatures for ransomware detection. 최근 랜섬웨어에 의한 피해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국가 기관, 기업, 민간 등 사회전반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랜섬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을 감염시켜 사용자의 접근을 제한하고 일종의 몸값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 시스템 자체를 잠그거나 하드 디스크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암호화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만들고, 컴퓨터의 정상 복구를 위해 사용자들은 공격자로부터 몸값(Ransom) 지불을 요구받는다. 기존의 기타 악성코드들에 비해 공격수법이 매우 악랄하고 피해규모가 막대하므로 확실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악성코드 분석 방식은 크게 정적 분석, 동적 분석 두 가지로 나뉜다. 최신 악성코드들은 정교한 패킹 기술이 도입된 경우가 많아 정적분석은 분석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랜섬웨어의 활동 모니터링 및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동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정상파일, 랜섬웨어, 기타 악성코드의 시그니처를 추출하는 방법과 랜섬웨어 탐지에 가장 적절한 시그니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백색 LED 조명용 색변환 필름의 적용을 통한 고연색성 조명 구현에 대한 연구

        이규빈,이현종,조주법,최인성,박성민,고재현 한국물리학회 2023 새물리 Vol.73 No.8

        The optical properties of white light-emitting diodes (LEDs) with a yellow phosphor plate and a red quantum dot film applied sequentially on top of a blue LED chip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phosphor thickness, quantum dot concentra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icroprism film. It was found that an excessively thick yellow phosphor plate leads to an increased absorption of the blue LED, resulting in a higher proportion of yellow light and deviation from the Planckian locus. This deviation arises due to the absence of long-wavelength red component in the emitting spectrum of yellow phosphor plates. Particularly, the application of one-dimensional microprism film to the quantum dot film demonstrates notable enhancement. The reflection at the prism interface facilitate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light within the vertical cavity formed by the prism film and the bottom reflector. This phenomenon considerably increases the colo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red quantum dot film, resulting in improved on-axis brightness and color rendering index.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improving the color rendering performance of lighting with remote color-changing components. 청색 LED 칩 위에 황색 형광체 플레이트와 적색 양자점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용된 백색 LED 조명의 광특성을 형광체의 두께, 양자점의 농도, 그리고 마이크로 프리즘 필름의 부착 유무에 따라 조사하였다. 황색 형광체가 과도하게 두꺼우면 청색 LED의 흡수가 많아지고 황색광의 비중이 높아져 플랑크 궤적으로부터 벗어남을 확인했고 이는 황색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에 적색 성분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 적색 양자점 필름을 추가할 경우 630 nm 부근의 적색 피크가 형성되며 연색지수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양자점 필름 위에 일차원 마이크로 프리즘 필름이 배치될 경우 프리즘 계면에서 발생하는 반사로 인해 상하 공동 내부에서 빛의 왕복운동이 촉진되고 이로 인해 적색 양자점 필름의 색변환 효율이 증가했다. 이로 인해 정면 밝기 및 연색지수가 개선됨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원격 색변환 부품을 적용하는 조명의 연색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 에너지 순환을 위한 폐자원 에너지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촉매를 이용한 성능향상

        이규빈,안연주,이원미,권용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각국에는 기존의 연료인 석탄 및 석유의 에너지를 줄이고 온실가스 저감 및 저탄소 생활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매립되는 폐기물을 재사용하기 위해 폐기물에 저장된 많은 양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에너지중 일부는 자체적으로 소모가 되고 일부는 한국전력에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가스는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지 못하여 버려지게 된다. 그 이유는 매립지에서 발생된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고 전기에너지의 다양한를 따라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한 에너지 공급과 잉여전력의 저장을 위해 재생에너지 산업에 꼭 필요한 장치가 에너지저장장치(ESS)이다. 그 중 친환경 적이며 높은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갖는 장치가 VRFB이다. VRFB의 경우 바나듐을 활물질로 사용한 2차 전지로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화학적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순간에 발전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ESS를 사용하면 에너지 공급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버려지는 에너지를 저장하여 언제든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많은 장점을 가진 VRFB 이지만 아직 기술적으로 완전하게 정립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많다. 우리는 VRFB 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촉매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해 왔다. B과 N은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진 촉매로서 이를 다공성 carbon 인 MSU-FC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이 촉매를 사용함으로서 에너지 밀도와 에너지효율에 성능향상을 보였고 또한 Capacity 또한 유지되는 것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