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이경훈 한국과학교육학회 199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관계와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관계와 차이가 성별, 지역별, 학년별로 조사되었다. 404명의 학생들이 군집 표집에 의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하여 2개의 도구가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이경훈(1996, 1997)이 개발한 과학에 대한 태도의 ABC척도와 수정과 학적 태도척도(MSAS)이다. 1.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5단계 평정 척도로 3.24로 중립적인 경향에서 약간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났다. 2. 고등학생의 과학적 태도는 5단계 평정 척도로 3.37로 중립적인 경향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개방성>비판성>판단유보>객관성>정직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과학에 대한 태도는 대도시보다 중소 규모의 도시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 역시 대도시보다 중소 규모의 도시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여학생과 남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는 0.5716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반면에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는 0.2940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적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상관은 그보다 낮은 0.2340을 나타냈다. 5. 조사 집단의 도시 유형별, 학년별, 성별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ANOVA)을 한 결과 집단간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집단별로 과학적 태도를 통제한 후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집단간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통제하고 과학적 태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nd relations i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achievement in highschool students.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achievement and evaluated variations within city type, gender, grade level group. 404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sampled by cluster sampling method. Two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BC inventory(affection, behavioral intention, cognition scale of attitude toward scienc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Lee, 1996, 1997). And MSAS(modified scientific attitude scale) has modified previous one.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High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is 3.24, 5-rating summative Likert scales. It showed slightly positive and favorable. 2. High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is 3.37, 5-rating summative Likert scales. It showed slightly positive tendencies of scientific attitude. 3. Findings indicated that middle·small city's students scored higher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than metropolitan students. 4.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is 0.5716.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is weaker than the relationship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5. The results of three-way ANOVA indicated that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p<.05)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6. After adjustment for the covariate(Scientific Attitude's sc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of all group were found on the Attitude toward Science(p>.05). But after adjustment for the covariate(Attitude toward Science's sco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main effects of all group were found on the Scientific Attitude(p>.05).

      • 영세사업장 종사자의 산업안전보건법 의식제고 및 안전활동 향상을 위한 연구

        이경훈,박해천,심민영,조상훈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4

        The government separated and established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from the Labor Standard law since 1981 to promote the labor's working environment and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laborers. The government made a lot of effort to discharge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by continuous revision of the law thereafter. it is, however, difficult to establish clear-cut lines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due to the fact that the substantial application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is adapted by enterprise's autonomous management. There are frequent industrial disasters o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have financial difficulty and it means this causes much more social cost. Finally, for the improvement of laborer's safety, health and working environment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e need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through enhancing a government-office's administration and surveillance with the changing mind of a business proprietor. On this paper, w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dministration, inspection and regulation of safety and health by mean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Thereafter we analyze how much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d vicarious businesses of safety & health management help. we used the survey method to gather data from 380 laborers directly and analysed the data by SPSS v17.0.

      • KCI등재후보

        박제의 조감도-이상의 「날개」에 대한 일 고찰

        이경훈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8 No.-

        The last scene of “Wings” has been misread frequently as an episode that occurred on the roof garden of the Mitsukoshi Department Store. It has even been misunderstood as a suicide. However, it actually happened on the street, not on the roof. Further, this misreading of the text is initiated by the narrator, who effectively blinds the reader by concentrating their attention on the height of the modern building. The height of building corresponds with an image of flying. Reading the text as a suicide implies a dangerousness to the city and a fear of it, making this misreading a very historical one. “The irony of devouring the most abominable of foods” is the epistemology of “Wings,” which goes beyond differentiating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visual sensation and tactile sensation. As a stuffed bird, the protagonist cannot see. He is a tactile being. He recovers his sight and gains a deepened insight into society upon finding a box of Adalin. This goes beyond an individual function of sight and synthesizes into a “seeing through.” “Seeing through” is a type of touching interaction with an object that penetrates it. Through the protagonists ‘projection’ of himself on society,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visual sensation and tactile sensation is sublated. This also relates to the principle of the bird’s-eye view. The Bird’s eye-view is not constructed by a visual sensation alone. A landscape becomes a picture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paper. The movement of a shutter opening and closing turns a landscape into a picture. A photograph can be created through the blinking interaction of ‘bird’ (cho) and ‘crow’ (o). Every bird’s-eye view is created by (as) a ‘crow’s-eye view’(오감도). This connects to the meaning of the “stuffed genius.” The protagonist, who was the subject of sight as an architect, now becomes the object of observation as a lumpen. He is able to, as (by) himself, touch both “genius” and “taxidermy object” at the same time. Wings are the symbol of the location of being that mediates between ‘a responsible doctor’ and ‘an experiment animal.’ In this way, he declares the crow’s-eye view of a T.B. or syphilis patient inside of the bird’s-eye view of Lee Kwang-su, a man of letters who is likened to a doctor. Herein lies the reason for the illusion and misunderstanding of readers. Readers, most likely, cannot read “Wings” dispassionately. Readers probably touch the protagonist, just as the author intended. 「날개」의 마지막 장면은 종종 미스코시 백화점 옥상에서 일어난 일로 오독되었다. 심지어 그것은 자살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옥상이 아니라 거리에서 일어난 일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오독은 화자가 직접 설계한 것이다. 그는 근대 건축물의 높이에 독자의 주의를 집중시킴으로써 독서의 맹목을 발생시켰다. 건물의 높이는 날기와 잘 어울린다. 자살로 읽는 것은 도시의 위험성과 그에 대한 공포를 함축한다. 따라서 그 오독은 지극히 역사적이다. 한편 “제일 싫어하는 음식을 탐식하는 아이러니”는 주체와 타자, 시각과 촉각을 종합하는 「날개」의 인식론이다. ‘박제’인 주인공은 보지 못한다. 그는 촉각의 존재다. 아달린 갑의 발견과 더불어 그의 시각은 회복되고 사회에 대한 통찰로 심화되지만, 이는 시각의 개별적 작용을 넘어선 투시적 종합이다. 투시는 대상으로 침투해 들어가는 일종의 접촉 행위며, 근대 사회 속에 뒹구는 이 자기 기투(企投) 속에서 시각과 촉각의 대립은 지양된다. 이는 조감도의 원리이기도 하다. 조감도는 시각으로만 구성되지 않는다. 풍경은 종이에 접촉됨으로써 그림이 된다. 한편 카메라 렌즈가 셔터에 의해 열렸다 닫힐 때 풍경은 사진으로 고정된다. 눈을 깜빡이는 ‘조(鳥)’와 ‘오(烏)’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진은 탄생한다. 모든 조감도는 오감도로써(서) 완성된다. 이는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의 의미와도 관련된다. 건축가로서 시선의 주체였던 주인공은 이제 시선의 대상인 룸펜이 되었다. 그는 천재와 박제 모두를 자기 자신으로써(서) 한꺼번에 어루만졌다. 날개는 ‘책임의사’와 ‘실험동물’을 매개하는 존재의 위치를 표상한다. 이렇게 그는 문사를 의사에 비유한 춘원의 조감도 안쪽에 결핵이나 매독에 감염(접촉)된 환자의 오감도를 선포한다. 이는 독자들의 착각과 오해를 낳은 이유다. 독자들은 「날개」를 냉철히 바라볼 수만은 없었을 터이다. 작자가 계획한 대로, 아마도 독자들은 주인공을 만져왔던 것이다.

      • KCI등재

        생활체육지도자의 근무여건 및 환경에 대한 인식연구

        이경훈,유병인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지도자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는 근무여건 및 환경에 대한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제도시행초기 지도자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반구조화된 면담법과 질적 연구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두4개 지역에서 16명의 생활체육 지도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현대사회가 필연적으로 수반하게 되는 다양한 형태의 사회병리현상에 대한 현실적 대안으로 생활체육에 대한 일반의 관심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생활체육 지도자들이 인식하는 근무여건 및 환경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활체육 지도자들이 현재의 근무환경이나 여건에 적지 않은 불만을 느끼고있으며 이런 문제점들이 조속히 개선되는 것이 본 제도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이라고 인식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기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isure sports(Sports for All) leaders' vocational environment and their performance in the field of community activity programs.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the methodologies utilized for this study. 16 community sports program(Sports for All) leaders from four different regions wer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interest in healthy life and quality of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more people were trying to involve in various types of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From this point of view. providing the community sports programs leaders as part of public services should be evaluated at its early stage of operation. Specially, the leaders' suggestions and opinions about this program were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there were various types of suggestions and opinions about the program and its operat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leaders had several suggestions about their working environments and status as a program leader. These perceived problems were considered as major barriers of this program by the leaders, so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se problems.

      • 이광수의 친일소설 연구 1 : <그들의 사랑>, <봄의 노래>에 대해

        이경훈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4 연세어문학 Vol.26 No.-

        먼저 필자가 확인한 이광수의 친일소설 목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진정 마음이 만나는 것이야말로(心相觸れてこそ), 녹기(錄旗), 1940. 3~7 2. 그들의 사랑, 신시대(新時代), 1941.1~3.(김규동, 김병걸 편 <친일문학작품선집>에 수록됨) 3. 봄의 노래, 신시대, 1941.9~1942.6. 4. 가천교장(加川校長), 국민대학(國民大學), 1943.10.(송민호, <일제말 암흑기 문학 연구>에 번역 수록됨) 5. 대동아(大東亞), 녹기(綠旗), 1943.12.(<신반도문학선집 제2집>에 수록됨) 6. 蠅(파리), 반도작단편집, 조선도서출판국, 1944.5.25. 7. 원술(元述)の출정(出征), 신시대, 1944.6. 이 중에서 <그들의 사랑>, <봄의 노래>는 한국어로 씌여, 각각 3회, 10회(필자가 확인한 것은 9회까지)로 중단된 장편이며, <진정 마음이 만나는 것이야말로>는 일본어로 된 장편(필자가 확인한 것은 5회까지), 그리고 나머지 <가천교장>, <대동아>, <승>, <元述の出征> 등은 일본어로 씌어진 단편들이다. 이 밖에도 국민문학에 1943년 1월부터 3월까지 3회 연재로 그친 <사십년>, 1940년 4월(5.17~19, 5.21~24.)에 경성일보에 연재된 <山寺の人人>등의 일문 소설이 있으나, 이것들은 본격적인 친일작품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본격적인 친일소설들에 대한 전체적 고찰의 일부분으로서 중단된 한국어 장편인 <그들의 사랑>과 <봄의 노래>에 대해 우선 논하기로 한다.

      • 통계회귀분석에 의한 Hansel-Spittel 유동응력 모형 개발

        이경훈,송우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재료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동응력 모형은 구조변형 해석에 필요불가결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응력 모형 개발을 위해 통계적 회귀분석법을 활용한다. 확률론적 시각에 기초하여 측정오차를 정규분포를 따르는 난수로 가정한 후 가법모형에 따라 측정된 변형률과 진응력 간의 관계를 로그 공간상에서 표현한다. 측정오차의 분포함수로부터 진응력 측정값을 표현하는 확률 모형을 구성하고, 이로부터 가능도 함수를 도출한 후 최대가능도법에 따라 유동응력 모형의 상수를 추정한다. 예시를 위해 AA1070 알루미늄 합금의 유동응력 모형을 Hansel-Spittel식에 근거해 도출하였고, 추정된 Hansel-Spittel 유동응력 모형으로 예측한 진응력이 인장실험으로 측정한 진응력과 상당히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For forming simulation flow stress modeling is imperative in emulating the mechanical behavior of a material of interest. To develop a flow stress model, this research utilizes statistical regression. This research presumes an additive noise model for experimental strain and stress measurements in a log space. By a probabilistic formulation, this research draws on the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to obtain the parameters of a flow stress model. For illustration, we used the Hansel-Spittel flow stress equation with strain and stress measurements of AA1070 aluminum alloys. We found that the fitted Hansel-Spittel flow stress model agrees well with the strain and stress measurements.

      • KCI등재

        예쁘고 흉악하다 -식민지 시대 말기 소설 속 한글의 몇 가지 양상에 대해-

        이경훈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4 No.-

        In Choi Jung-hee’s Japanese short story “A Soldier of Illusion (Hwan-ui Byeongsa)” (1941), Hangul is not a language symbol but a sensual object that matches well with the Korean heroine Young-sun. It is downgraded to “shape,” becoming a gendered representation of the colony and at the same time leaping to the metaphysical grounds of the “Great East.” In “Blood Letter (Hyeolseo),” Lee Kwang-su performs a translation as a rebellion to overthrow the gender hierarchy between empire and colony. However,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Lee Kwang-su expects the disappearance of the text written in Hangul, and imagines the language of “Japan and Korea are one” that sublates the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ith the idea of “the letters of Kamis’ era (Sindae Munja).” Park Tae-won’s “Aekyung” evokes not only the various social positions of colonial Koreans but also the heterogeneity and cracks of colonial Korea by presenting Japanese language in Hangul. In other words, the frivolous episodes of this novel are not different from this transliteration. And this transliterated Japanese is a slang of the colonial city’s alley rather than “Kokugo (national language).” The important issue of Chae Man-sik’s “Frozen Fish(Nangdongeo)” is the antinomy and contradiction contained in the name of hero’s daughter. It embodies the broken subjectivity of colonial Koreans. This novel also symbolizes the anxious and complex situation of colonial Koreans who can not be fully assimilated into the empire’s ideology of war by the letters of “뚫”and “끊.” This is the profound meaning of “ugly” Hangul. 최정희의 일본어 소설 「환의 병사」에서 한글은 언어 기호가 아니라 여주인공과잘 어울리는 감각적 대상으로 미화된다. 그것은 “모양”으로 격하되며 식민지의 젠더적 표상이 됨과 동시에 “대동아”의 형이상학적 근거로 비약한다. 이광수는 「혈서」에서 제국과 식민지 간의 젠더적 위계를 전복하고자 하는 반역으로서의 번역을 수행한 바 있다. 그러나 결국 이광수는 조선문의 소멸을 예상하는 한편, “신대문자”를 거론하며 조선어와 일본어의 대립이 지양된 내선일체의 언어를 상상한다. 박태원의 「애경」은 일본어를 한글로 제시함으로써, 조선인의 다양한 사회적 위치 및 식민지의 이질성과 균열을 환기한다. 이 소설의 시시한 에피소드들은 그 자체가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일본어는 “고쿠고”이기보다는 식민지 도시 뒷골목의 말이다. 채만식의 「냉동어」에서 주목할 것은 딸의 이름이 함축하는 모순과 이율배반이다. 그것은 식민지인의 분열된 주체성을 구현한다. 또한 이 소설은 “뚫”과 “끊”이라는 글자로써 제국의 전쟁 이념에 완전히 동화될 수 없는 식민지인의 불안하고 복잡한 모습을 은유한다. 이것이 “흉악한” 한글의 심오한 의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