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위내시경 디지털 영상에서 정상과 위궤양 딥러닝 분류 모델

        이경윤,김영재,김광기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Due to the development of endoscopic equipment,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th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Therefore, many endoscopic images have been provided, and studies on endoscopic image classification have been increased actively. In this paper, we aim to classify gastric ulcer, a disease frequently found in endoscopy.Gastric ulcers can lead to complications if not properly treated early on, so it is most important to diagnose the lesions early.Our study used the ResNet-50 in-depth learning model. A model was created using a total of 1,525 images, and data enhancement was applied for efficient learning.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0.9016 with accuracy and 0.83 with ROC curve. 내시경 장비의 발전으로 위장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치료에 많은 향상이 있다. 따라서, 많은 내시경 이미지과 함께 내시경 이미지 분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내시경에서 많이 발견되는 질환인 위궤양을 분류하고자 한다. 위궤양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초기에 병변을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ResNet-50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정상과 위궤양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총 1,525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모델을 생성하였고,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데이터 증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분류 성능은 정확도 0.9016, ROC 곡선은 0.83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소비자 교육에서 아동문학 활용 방안

        이경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and case of the use of children's literature in consumer education classes Methods To this end, the concept of imaginary participation was def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alysis, and children's literature was proposed as a method to promote imaginative engagement in social studies classes. In addition, among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 current problems of consumer education were analyzed, cases of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consumer education were presented. Results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allows students to deeply understand others and have various perspectives on society. In particular, in consumer education, children's literature makes them aware of the need for consumer life to think about the environment and community Conclusions Children's literature has many advantages in social studies classes.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various discussions on the use of children's literature in social studies classes, such as the criteria for selecting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role of teachers, are needed. 목적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에서 소비자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소비자교육을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방법에 대한논의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소비자교육 수업에서 상상적 참여를 위한 방법으로 아동문학의 활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아동문학 활용의 의의와 소비자교육에서 아동문학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소비자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아동문학의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과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아동문학을 활용하면 학생들은 나와 다른 사람들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을 뿐만아니라 현상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소비자교육에서 아동문학을 활용하면 환경과 공동체를 생각하는 소비생활의필요성을 인식하게 해 주고, 소비자 가치⋅태도 측면을 함양시킬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소비자교육에서 아동문학의 가능성을 활용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아동문학 선정기준, 아동문학을 활용한 후의 후속 활동 등 사회과 수업에서 아동문학 활용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초·중등 및 대학교재 중 물질특성에 대한 연계성 연구

        李京玧,文正大,文星培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1998 교사교육연구 Vol.36 No.-

        Material Characteristics contents in the chemistry textbooks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were investigated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ar articulation. For this purpose, the eleven subjects of chemistry contents were selected from chemistry textbooks, and the learning purpose and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rul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otal articulation were relatively effective. But the gaps partly appeared in case of comparing with the level of intellectural development of student. On the based of this results a new concept diagrams were proposed through the structure diagrams considered both macro and micro aspect. To develop the curricular articulation between the school units it is important that textbooks should be with the consistent plan after the discussion with the actual teachers of the school unit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이경윤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7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five types of interaction on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class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s G and D, which are Seoul's designated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Types of interaction are composed of five - participative, interactive, social, cognitive, and metacognitive massage.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 not only survey items which investigate achievement test sores, learne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ut also posting opinions on the web are gathe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cognitive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test scores, whereas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t show it. (2)cognitive,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t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r satisfaction. (3)cognitive,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t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r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사회과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의 유형이 어떤 학습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디지털교과서 시범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촌락의 생활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이라는 학습 주제로 제주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과 네이버 카페에서 한 달 동안 교류를 하였다. 학습 효과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나누어 실험 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웹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Henri(1992)의 분류를 기반으로, 참여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메시지의 빈도는 1, 2차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1, 2차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수업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 분석

        이경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utilizing technolog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researched what teachers need to utilize technology in social studies class effectively. An embedded design amongst mixed methods of research was used. The main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and the secondary research method was qualitative, which allow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quantitative data.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86 teachers, who teach elementary social studies, Among them, 5 teachers were selected for in-depth understanding.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belonged to the type of “teacher-centered”. Second,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regarding utilizing technology. Third, teachers who had a career of less than 5 years tend to think students’ role as being passive in technology class.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사회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다. 연구 방법은 혼합 연구 방법의 내재 설계로, 주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 방법, 부 연구 방법은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부산, 대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3~6학년 담당교사 186명이며 이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다섯 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활용 유형은 ‘교사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가 생각하고 있는 이상적인 테크놀로지 활용 모습과 현실에서 활용하고 있는 모습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5년 이하 경력의 교사는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서 학생의 역할을 수동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