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게’와 유정성

        유현경(Yoo, Hyunkyung) 도서출판 박이정 2007 형태론 Vol.9 No.2

        조사 ‘에게’와 ‘에’는 결합되는 명사의 [유정성] 자질에 따라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이형태 관계로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조사 ‘에게’는 ‘에’의 이형태가 아니며 고유의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별개의 형태소이다. 조사 ‘에게’는 ‘결합하는 명사의 [유정성] 자질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나타내는 표지’로 볼 수 있다. ‘에게’는 [유정성]의 자질을 가지고 있는 명사 부류와 주로 결합하지만 [유정성]에 대한 판단은 화자에게 달려 있다. 즉 화자가 [유정성]의 정도에 대하여 어떠한 판단을 하느냐에 따라조사 ‘에게’의 결합 여부가 결정된다. [유정성]의 문제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나타나는 범언어적 현상이다. 조사 ‘에게’의 결합 양상을 통해서 살펴본 한국어에서의 [유정성]은 다른 언어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차이점을 드러낸다. 유정성(animacy)은 [+alive]와 관련이 있지만 살아있는 모든 것이 유정물은 아니며 무정물 중에서도 유정성을 가지고 있는 부류로 표현되는 예가 드물지 않다. 영어에 비해서 한국어는 유정물로 인식하는 명사의 범위가 넓으며 [유정성] 자질에 따라 나타나는 문법적 현상도 다양하다. It has been proposed that particle eygey is the allomorph of particle ey in front of semantic feature [animacy] of the noun attached to particles. The particle eygey and ey are not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and have differences in the combinations with other particles and differ from each other in meaning. Therefore particle eygey is not the allomorph of particle ey. Particle eygey is the marker of Speaker's mental attitude toward semantic feature [animacy] of the noun attached to particles. The occurrence of particle eygey is determined by what speaker think of [animacy]. The coding of animacy is dependent on context/situation.[animacy] is not simply a matter of the semantic feature [±alive], its linguistic manifestation is somewhat complicated. Languages vary in the way they manifest animacy. In Korean, the range of noun considered as animate is broader than English. English and Korean grammars show the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them in animacy coding.

      • KCI등재

        문법 기술에서의 체계 정합성 문제 - 보어 기술을 중심으로 -

        유현경 ( Yoo Hyunkyung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70 No.-

        한국어 문법에서 보어 기술은 문법 체계 전반의 여러 부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격의 개념과 격조사 체계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보어는 그 개념과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 보어는 문장에서의 필수성이 지나치게 부각된 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문장에서 필수적 부사어를 보어에 포함해야 한다는 논의가 보어에 대한 연구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문장성분을 규정하는 데 있어서 필수성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문법관계로서의 어떤 특성을 가지는 성분인가이다. 주어나 목적어가 공통적인 의미ㆍ통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보어가 문장성분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보어의 개념과 특성부터 다시 고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어를 요구하는 용언들의 특성을 살펴야 한다. 주어만을 요구하는 용언을 자동사라 하고 주어와 목적어를 요구하는 용언을 타동사라 하듯이 보어가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용언들을 유형화할 수 있다면 보어가 설 자리는 좀 더 명확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grammatical description of complement in previous studies within the framework of linguistic system and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consistency in grammatical explanation. The account of complement in Korean grammar is closely linked to various parts of the grammatical system. The concept and scope of complement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n the case system. Previous studies put too much emphasis on the essentiality of complement; most of researches on complement have insisted that compulsory adverbials should also be regarded as complement.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when it comes to discuss sentential component is its grammatical relations.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and features of complement should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complement to be settled as one of the sentential components just as subject or object has its own categorical characteristics. In line with this, the hallmarks of the predicates which take complement should be examined. As the predicates only requiring subject are referred to as intransitive verb and the predicates requiring both subject and object are referred to as transitive verb, the predicates essentially requiring complement can also be sorted into one group. By doing this, we can clarify the status of complement in Korean grammar.

      • KCI등재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현경(Yoo, Hana HyunKyung),김기현(Kim, Ki Hyun),김미성(Kim, Mi Seong),윤유식(Yoon, Yoo Shi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지역축제는 지역의 문화와 특성을 알릴 수 있는 대표적인 행사이다. 부안의 마실축제는 과거 원전수거물 처리센터 건립을 둘러싼 갈등을 해소하고 지역민의 화합을 개최목적으로 시작하여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 만드는 거리·화합형 대표축제로 브랜딩하고 있다. 축제가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는 축제에 참가하는 지역주민 및 외지인에게 중요한 사안이고 끊임없이 모니터링 해야 하는 사항이다. 이러한 서비스 평가를 통하여 축제개발과 기획에 보완사항과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증진에 반영하는 것은 기존의 다른 많은 연구에서도 제시되고 있다. 부안 마실축제의 발전과 성장을 위하여 부안 마실축제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것은 이러한 축제의 성공과 발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안 마실축제 서비스 품질을 축제안내, 프로그램, 기념품, 음식, 부대시설 등의 내용을 포함한 측정변수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축제만족도 및 충성도에 대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축제 현장에서 축제행사경험을 마친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축제행사내용, 편의시설, 기념품 등이 축제만족도에 구조적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축제의 기본적인 프로그램 내용이 중요하며, 쉴 수 있는 공간,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 등이 중요한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부안 마실축제의 기념품 등이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은 다른 기존 축제와 다른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안은 축제의 프로그램과 내용, 그리고 편의시설강화를 더욱 필요로 하며, 지역 특산 기념품 등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더욱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음식과 안내 등에 대한 보안과 검토를 통하여 이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부안 마실축제는 거리형 주민화합축제로서 지역주민의 협력과 협조가 더욱 필요한 축제임으로 향후 지역주민의 협력과 관련한 속성 및 협력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service quality of Buan Masil Festival.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were to explore whether or not the service quality of local festival affects overal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t the 4th Buan Masil Festival on May 6-8, 2015. A total of 373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ervice quality of program, souvenir, and facility lead to visitors" satisfac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influenced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품사 통용어 ‘조금’의 사전적 처리

        유현경(Yoo, Hyunkyung) 한국사전학회 2014 한국사전학 Vol.- No.23

        Korean word jogeum, which means ‘a bit’, is used as a noun or an adverb in sentences. Its word class conversions can be problematic when it comes to the dictionary description. On behalf of the most appropriate account on the word class conversions of jogeum, this paper attempts to classify example sentences in the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and suggest the criteria for usage classification. Proper categorization of usages is important when building dictionaries as the definition of each entry depends upon the usage analysis. If we misclassify usages of headwords which have word class conversions like jogeum, it will directly affect the explanation of the words. The current Korean dictionary descriptions of word class conversion words contain problems in two facets: its lack of consistency in one dictionary and misclassification of the usages. While the dictionary examples of jogeum meaning ‘short tim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usage of adverb jogeum, that meaning ‘small amount’ should be accounted as the usage of noun jogeum. Among the latter cases, if jogeum is followed by auxiliary particles or if it is used in a negative sentenc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adverb. In the light of this, the current dictionary examples of noun jogeum should be reconsidered when accompanied by specific particles or used in limited sentence structures. Although the conceptual distinction of noun and adverb is clear, its boundary is somewhat unclear in actual usages. The analysis on the word class conversion words, which are widely observed in Korean, provides a useful ground to the study of Korean morphology.

      • KCI등재
      • KCI등재

        컨벤션 광고태도 및 광고속성에 따른 광고 만족도 및 참가행동의도 연구

        유현경(Hana Hyunkyung Yoo),윤유식(Yoo Shik Yoon),이수혜(Soohye Lee)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 관광연구저널 Vol.2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attitude towards convention advertisement and advertising attribution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Drawing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measurement scales of each concept were developed for the survey. A quantitative approach vi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administered at convention center in COEX and KINTEX.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s of convention ad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survey. A total of 368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vide factors of attitude towards convention ad and advertising attribution. Next,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otential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convention advertisement and advertising attribution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of convention advertisement as well as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convention advertise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resulting, all the proposed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supported. These findings imply the importance of advertisement in convention industry and should be adopted by practitioners in their strategic marketing. Mor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중요한 타인의 정서적 지지 편차 변동성이 복합부위통증증후군환자의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지연구

        유현경(Hyunkyung Yoo),정태진(Taejin Jeong),조성근(Sungkun Cho) 대한스트레스학회 2020 스트레스硏究 Vol.28 No.4

        이 연구에서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환자를 대상으로 지각한 정서적 지지와 선호하는 정서적 지지 간의 편차의 변동성이 환자의 통증강도와 일상생활 기능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21명의 CRPS 환자를 대상으로 15일 간의 일지연구를 실시한 결과 정서적 지지 편차 변동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서적 지지 편차의 변동성이 작을 때는 통증강도가 증가할 때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으나, 클 때는 통증강도가 증가할수록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모델을 지지하는 결과로, 환자가 요구하는 정도의 정서적 지지를 일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CRPS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Daily functioning is an important aspect of chronic pain management,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living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Previous studies have established that emotional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is beneficial for chronic pain patients. However, emotional support can be discrepant from one’s preference and can also fluctuate.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instability in emotional support discrepancy on the daily functioning of patients with CRPS.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21 CRPS patients. Google Forms was used to obtain daily diary ratings over 15 days. The 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 was calculated as an indicator of instability of emotional support discrepanc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veal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stability in emotional support discrep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pain severity daily activity avoidance (coefficient=0.01, t (292)=5.57, p<.001), activity interference (coefficient=0.01, t (292)=5.98, p<.001), distraction (coefficient=0.01, t (292)=5.10, p= .007)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tability in emotional support discrepancy reduces the buffering effect of emotional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유현경(Yoo Hyunkyung) 한국사전학회 2011 한국사전학 Vol.- No.17

        This paper is aimed at describing the trends and prospects for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and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from medial 19th century to the present and the theoretical problems in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compiling process.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started as a bilingual dictionary around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planned and discontinued because of political and social causes. In this time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a cultural event to not only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nguistics but also the whole society along with unification of notation. From the end of 19C to the present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including 〈Keunsajeon〉, has been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Korean culture and the work that arranges and unifies Korean was materialized by lexicography. These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dictionary continued while compiling dictionary and also after publication. Especially, the study of theoretical lexicography and practical lexicography centered on the laboratory performed the crucial role in raising Korean lexicography to academic level. After 2000,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xicography was founded and it ha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Korean lexicography. From now on web dictionary will be the mainstream among Korean dictionaries and recently it is a trend that mobile dictionary growing f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