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기계부품의 파라메트릭 모델링 시스템

        유우식 ?정종철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25 No.1

        This paper describes an automatic parts design system for gears, brake, and clutch. These parts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power transmission assembly. In conventional design process, the design of power transmission requires a number of recurrent calculations and drawings. [숨은설명:시작] <span lang=EN-US style='mso-bidi-font-size:8.0pt'> [숨은설명:끝] <span lang=EN-US style='mso-bidi-font-size:8.0pt'>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ee-dimensional automatic design system that reduces the number of recurrent calculations and drawings.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modules for designing gear, brake, and clutch. [숨은설명:시작] </span> [숨은설명:끝] </span>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applied to develop a transmission of [숨은설명:시작] <span style="mso-spacerun: yes"> [숨은설명:끝] <span style="mso-spacerun: yes"> [숨은설명:시작] </span> [숨은설명:끝] </span> forklift [숨은설명:시작] <span style="mso-spacerun: yes"> [숨은설명:끝] <span style="mso-spacerun: yes"> [숨은설명:시작] </span> [숨은설명:끝] </span> truck and shown to be a useful system [숨은설명:시작] </span> [숨은설명:끝] </span> [숨은설명:시작] <span lang=EN-US> [숨은설명:끝] <span lang=EN-US> . [숨은설명:시작] </span> [숨은설명:끝] </span>

      • 철강산업의 통합 수ㆍ배송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유우식,하성훈,류한경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3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11

        In this paper, we purpose the integrated TMS to solve the problem of current systems. Current system resulted in the inconvenience because customer and user must contact to each systems when they want to know the information about the order. In this time, we make the system customer and user can confirm all of order information from one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by integrating the information brought from two systems on constructing integrated DataBase.

      • 와이어 컷 방전가공의 효율적인 NC 모의가공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유우식,김남웅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3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11

        This paper describes the NC simulator system for Wire-cut electrodischarge machining. Electrodischarge Wire-cut machining is applicable to all materials including metals, alloys, and most carbides. Although CAM system generate the NC code considering electrodischarge conditions, incorrect Wire-cut tool path bring about fatal results. The simplest way of simulating a EDM process is to display the trajectory of Wire-cutter location by line segments. With this kind of simulation, the programmer can get a general idea about whether the wire is moving as planned but cannot locate gouging or excess material because only the wire location will be seen, not the changes in the workpiece as it is machined. The ideal way of simulating the EDM process is to display the solid model of the workpiece as it is machined. Therefore we propose the ideal NC simulator system for Wire-cut EDM.

      • KCI등재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네 가지 이본(異本)의 이미지 비교를 통한 인쇄 순서, 인쇄 시기 및 인쇄 방법 추정

        유우식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동서인문 Vol.- No.20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은 고려시대인 1377년에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한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로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1234년에서 1241년 사이에 인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상정예문(詳定禮文)』이 기록에 등장하는 최초의 금속활자본일 가능성이 있으나 실물이 전하지 않아 공인받지 못하고 있다. 한편, 1239년 9월에 고려 무신정권의 권력자였던 진양공(晉陽公) 최이(崔怡)의 지문이 있는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는 네 가지 판본이 전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 두 가지 판본은 1984년 5월 30일(삼성본)과 2012년 6월 29일(공인본)에 각각 보물로 지정되었다. 나머지 두 가지 판본(대구본, 반야사본)은 문화재 지정 절차를 진행했거나 진행 중이다. 모든 판본이 목판으로 인쇄되었다는 판단이 지배적이지만 네 가지 판본 가운데 하나(공인본)가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이라는 주장이 지난 50여 년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근래에 다른 판본(대구본)의 문화재 지정 절차 진행 중에 1472년 6월에 김수온(金守溫)이 작성한 발문(跋文)이 제거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미 보물로 지정된 두 가지 판본을 포함해서 모두 인출 시기를 보물 지정 당시에 판정된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 초기에 해당하는 1472년 이후로 늦춰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네 가지 판본의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인쇄상태의 특징을 파악하여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추출하여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네 가지 판본의 인쇄 순서, 인쇄 시기 및 인쇄 방법을 추정해본 결과, 공인본과 나머지 세 가지 판본은 다른 판본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쇄 순서는 공인본 → 반야사본 → 대구본 → 삼성본의 순서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인쇄 시기는 김수온의 발문이 제거된 대구본이 1472년이고 공인본은 1239년 9월이며 반야사본은 공인본과 대구본 사이에 인쇄된 것으로 추정되고 삼성본은 대구본이 인쇄된 1472년 이후로 추정된다. 공인본은 금속활자본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나머지 세 가지 판본은 목판인쇄본으로 시기에 따라 일부 목판을 추가로 번각하여 인쇄한 것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이본(異本)의 비교 연구 ― 1239년에 인쇄된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의 확인 ―

        유우식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3 No.-

        고려 고종(高麗 高宗) 26년인 1239년에 무신정권의 실력자이던 진양공(晉陽公) 최이(崔怡)가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를간행하면서 적은 발문(跋文)이 적혀 있으며 판식(版式)이 같은 판본이 여섯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삼성본(三省本)과 공인본(空印本)의두 가지 판본은 1984년과 2012년에 각각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물로 지정된 판본과 매우 유사한 대구본(大邱本)과 반야사본(般若寺本) 의 두 가지 판본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신청하여 심사가 진행되었다. 대구본은 문화재 지정신청이 부결되었으며 반야사본은 심사가 진행 중이다. 보물로 지정된 판본과 유사도가 덜한 두 가지 판본중의 하나인 종로도서관본(鐘路圖書館本)은 2021년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나머지 한 가지 판본은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에 일산문고본(一山文庫本)으로 소장되어 있다. 최이의발문에는 금속활자본임을 나타내는 기술이 있으나 많은 판본이 목판본의 특징을 보여 모든 판본이 금속활자본을 목판으로 번각하여인쇄한 목판인쇄본이라는 주장과 한가지 판본은 금속활자본이라는주장이 1970년대부터 이어지고 있다. 여섯 가지 판본의 인쇄 방법과 시기에 관해서 제기되고 있는 여러 가지 논란을 모두가 수긍할수 있는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여섯 가지 판본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인쇄 방법 및 인쇄 시기의 전후 관계를 추정하고 확인하였다. 여섯 가지 판본의 인쇄 순서는 공인본(1239년)-반야사본-대구본(1472년)-삼성본-종로도서관본(1526년) -일산문고본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2012년에 보물로 지정된 공인본은 1239년에 금속활자로 인쇄된 판본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이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Lung Allocation and Outcomes of Lung Transplant according to the Korean Urgency Status

        유우식,김송이,김영태,이현주,박샘이나,최선미,김도형,조우현,여혜주,박승일,최세훈,홍상범,심태선,조경욱,전경만,정병호,백효채,이진구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9 Yonsei medical journal Vol.60 No.10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ung allocation and outcomes of lung transplant (LTx) according to the Korean urgencystatus. Materials and Methods: LTx registration in the Korean Organ Transplantation Registry (KOTRY) began in 2015. From 2015 toJune 2017, 86 patients who received LTx were enrolled in KOTRY. After excluding one patient who received a heart-lung transplant,85 were included. Subje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Korean urgency status. Results: Except for Status 0, urgency status was classified based on partial pressure of oxygen in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ndfunctional status in 52 patients (93%). The wait time for lung allograft was well-stratified by urgency (Status 0, 46.5±59.2 days; Status1, 104.4±98.2 days; Status 2 or 3, 132.2±118.4 days, p=0.009). Status 0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perative times and higherintraoperative blood transfusion. Status 0 was associated with prolong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use, postoperativebleeding, and longer mechanical ventilation after operation. Survival of Status 0 patients seemed worse than that of non-Status0 patients, although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Korean urgency classification for LTx is determined by using very limited parameters and may not be a true reflectionof urgency. Status 0 patients seem to have poor outcomes compared to the other urgency status patients, despite havingthe highest priority for donor lungs. Further multi-center and nationwide studies are needed to revise the lung allocation systemto reflect true urgency and provide the best benefit of lung transplantation.

      • KCI등재

        이미지 분석법을 활용한 형상정보의 비교와 객관적 검증결과의 도출사례: 한국은행 본관 정초석 '이토 히로부미 글씨'의 검증

        유우식,Yoo, Woo Sik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0 보존과학회지 Vol.36 No.6

        There have been reports that the "jeongcho (定礎)" letters of the foundation stone at the historical site No. 280 of the "Main Building of the Bank of Korea in Seoul" were written by Prince Ito Hirobumi (伊藤博文), the first Resident-General of Japan in Korea. An on-site investigation by an advisory group consisting of three experts in calligraphy; revealed that the two characters of '定礎' inscribed on the foundation stone are the characteristics of Ito Hirobumi's handwriting, judging from the writing style and habits observed in the collections of the Central Library of Hamamatsu City, Japan. It was reported that his writing was confirmed by the experts, but no basis was provided. To provide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supporting data, rather than qualitative judgment based on feeling,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basis for judgment through quantitative image comparison results through image analysis. In this paper, using image analysis software, Ito Hirobumi's calligraphy writing and the inscribed characters of the foundation ston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nfirm the contents of the press release. The character comparison process and character area measurement results are a good example showing that if objective judgment basis data are needed in a similar situation, an objective judgment basis can be prepared through quantification using image analysis. 사적 제280호 「서울 한국은행 본관」 정초석의 '정초(定礎)'글자가 조선통감부 초대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쓴 글씨라는 보도가 있었다. 서체 관련 전문가 3인으로 자문단을 구성하여 현지조사를 진행한 결과, 정초석에 새겨진 '정초(定礎)' 두 글자는 일본 하마마츠시(浜松市) 시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상의 이토 히로부미의 필적과 운필법 등의 특징으로 그의 글씨임을 확인하였다고 보도되었다. 느낌에 의한 정성적인 판단 보다 객관적인 판단자료를 제공하려면 이미지분석을 통한 글자의 정량적인 비교를 통한 판단의 근거자료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이토 히로부미의 붓글씨와 정초석의 글자를 겹쳐 육안에 의한 비교와 글자의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글자 이미지의 비교분석과 소장자가 기술한 소장경위의 조사를 바탕으로 정초석의 글자가 보도자료의 내용대로 그의 글씨임을 확인하였다. 글자간의 유사성의 비교에 있어서 이미지분석법을 활용한 정량화를 통하여 객관적인 판단근거를 마련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