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조작 휴먼 케어 로봇의 국제안전표준

        유수정,지상훈 한국통신학회 2020 정보와 통신 Vol.38 No.1

        전 세계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비대면 공공 서비스와 가정내 개인 서비스 로봇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최근 다양한 휴먼 케어 로봇들이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에, 상용화를 위한 로봇 성능과 안정성의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엄격한 검증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본고에서 이동-조작 휴먼 케어 로봇의 안전과 관련된 표준을 소개한다.

      • KCI등재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수용자 관여 저널리즘(Engaged Journalism) 실천 : 제안자와 후원자의 상호지향성을 중심으로

        유수정,김균수 (주)에스비에스 2020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8 No.2

        본 연구는 크라우드펀딩이 뉴스 생산 관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제안자와 후원자가 수용자 관여 저널리즘 실천행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했다. <다음카카오스토리펀딩> 저널리즘 프로젝트의 제안자와 저널리즘 프로젝트 펀딩 후원 경험이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각각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해 서로의 인식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결과,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제안자와 후원자는 대체로 유사한 지향을 가지고 크라우드펀딩을 실행하거나 참여하고 있었다. 제안자는 후원자가 금전적인 목표 외에도 사회적으로 의미있고 사회 변화를 야기하며, 민주사회 시민으로서 후원에 참여하는 데 높은 기대를 가지고 펀딩에 참여한다는 점을 비교적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후원자는 기사 제작/유통 과정에서의 통제, 후원자의 역할, 사회적 영향력 등 일부 항목에 대해 제안자의 인식 수준보다 더 큰 기대를 가지고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자와 후원자간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 지점을 통해, 생산-지향 수용자 관여의 측면에서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보다 의미를 갖기 위해 전제되어야 하는 요건들에 대한 단서를발견하고 이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논의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oponents and funders involving crowdfunding journalism perceive the practices of audience engaged journalism through crowdfundi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for crowdfunding to provide an opportunity that news audiences engage in news production beyond a simple revenue source.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online surveys for proponents who proposed crowdfunding journalism projects through <DaumKaKaoStoryfunding> and funders who participated in any crowdfunding project, respectively. The data was analyzed by comparing perceptions of each other drawing on the co-orientation model. As the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proponents and funders participated in the crowdfunding journalism with generally similar orientation toward each other. Crowdfunding proponents recognized with a relative precision that funders participated in crowdfunding with expected to contributing socially significant and innovating changes in the society and with a goal to comply a civic duty as a democratic citizens, in addition to the financial support. However, funders participated with a higher expectation than proponents in terms of news production/circulation, funders’ roles, and social influences. The study found some prerequisites that need to be thoroughly considered by highlighting recognition discrepancies between proponents and funders, and discusse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인간대상연구에서 취약성에 대한 접근방식 변화의 필요성과 방향

        유수정,최슬비,김은애 한국생명윤리학회 2020 생명윤리 Vol.21 No.1

        To protect the vulnerable individuals and groups (thereafter referred to as "vulnerable subjects") is an important concern in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such as clinical trials. The responsibility for protecting the vulnerable subjects lies with researchers and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thereafter referred to as the "IRBs"). In order for researchers and IRBs to protect the vulnerable subjects, they must be able to answer what the vulnerability is as well as to identify who the vulnerable subjects are. However, under the current law such as 「Bioethics and Safety Act」 and Pharmaceutical Affairs Act」, the definition of vulnerable subjects focuses more on grouping and listing those who should be considered vulnerable.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clear identifying criteria or methods to determine the vulnerability and the vulnerable subjects, or to accurately and flexibly identify the vulnerable subjects for each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and to come up with practical protection measures for them.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efinition and traditional approach to the vulnerability can be criticized because it involves categorical exclusion of all members of a group that have a certain characteristic. Accordingly, this approach marginalizes the vulnerable subjects, rather than protects them.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vulnerability and the concern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vulnerable subjects. This article also discusses the ways to modify the legal definition of vulnerable subjects and existing approach to the vulnerability. This article analyze the contents of the Helsinki Declaration, the Belmont Report, and the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for health-related research involving humans 2016 by the CIO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argue that the legal definition of vulnerable subjects should be presented appropriately in identifying the vulnerable subjects in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as a higher concept. Furthermore, we also argue that the vulnerability should be amended to understand wh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vulnerable subjects. Finally, we argue that the vulnerability and the vulnerable subjects should be judged not only by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vulnerability but also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overall context surrounding the research and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reasons for participating as well as the reasons for excluding vulnerable subjects should also be considered. 임상시험을 포함하여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취약한 개인과 집단(이하 ‘취약한 연구대상자’라 한다)에 대한 보호는 매우 중요하고, 취약한 연구대상자 보호에 대한 책임은 연구자와 함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이하 ‘IRB’라 한다)에게도 있다. 연구자와 IRB가 취약한 연구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취약성이란 무엇이고 취약한 연구대상자가 누구인지를 먼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법상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취약한 연구대상자에 대한 정의뿐인데, 이는 취약하다고 판단되어야 하는 연구대상자를 집단적으로 단정짓듯이 하며 일일이 나열해 두는 데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취약성과 취약한 연구대상자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방법을 확인한다거나, 모든 인간대상연구 각각에 있어 정확하면서도 유연성 있게 취약한 연구대상자를 파악해내고 이를 위한 실질적인 보호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정의와 이를 기반으로 취약성과 취약한 연구대상자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은 특정한 조건을 가진 집단에 속하는 전체의 구성원이라면 재고의 여지 없이 취약한 연구대상자로 간주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취약한 연구대상자가 보호라는 명목 하에 결과적으로 연구에서 범주적으로 배제되도록 만들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취약성에 대한 기존의 접근방식과 취약한 연구대상자에 대한 법적 정의가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 <헬싱키선언>과 <벨몬트보고서>, 그리고 특히 <건강 관련 인간대상연구에 대한 국제윤리가이드라인(일명 ‘CIOMS 가이드라인’)>상 관련 내용의 분석을 통해 취약한 연구대상자에 대한 법적 정의가 어떻게 교정되어야 하고 취약성에 대한 기존의 접근방법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이를 통해, 취약한 연구대상자에 대한 법적 정의는 인간대상연구라는 상위개념의 연구에 있어 취약한 연구대상자를 파악하는 데에 적절하도록 제시되어야 할 것이고, 취약성이 무엇이며 왜 취약한 연구대상자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교정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취약성과 취약한 연구대상자는 취약성의 다양한 유형을 고려하여 판단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연구와 연구대상자를 둘러싼 전체 맥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어야 하고, 이러한 판단에 있어 취약한 연구대상자를 배제시켜야 할 사유만이 아닌 참여시켜야 할 이유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간호사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유수정,하원춘,박영미,하윤옥,배경희 보건의료산업학회 2017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As a descriptive study,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and factors influencing these variables, based on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and Gyoengnam provinces. Methods : The 508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five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and Kyongnam provinces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etween June 1 and July 15,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3.0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analysis. Results : The average scores for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among the participants were 15.88 (1.71), 4.38 (0.45), and 4.24 (0.40) respectively. When the scores for the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medical waste were higher, the score for practice (r=.500, p<.001) increased,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was attitude toward medical waste (β=.45, p<.001). Conclusions : Thus, to reinforce a positive attitude toward medical waste management, continuous education and a systematic approach to minimize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s are need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다중부담에 영향 미치는 사회적 관계: ‘단단한 껍데기’와 ‘날개’가 되는 관계를 중심으로

        유수정,이청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2 여성연구 Vol.1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다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양상을 그대로 드러내어 보여줌으로써 이들의 다중부담 완화와 웰빙(well-being)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 6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에 적응해가는 결혼이주여성을 나비가 되어 비상을 기다리는 번데기에 비유하여 이들의 다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결혼이주여성에게 ‘단단한 껍데기’로 작용하는 사회적 관계는 이들의 어머니, 며느리, 아내, 외국인으로서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한편,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지지가 되는 사회적 관계는 ‘날개’로 작용하여 이들의 다중부담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이 이주 후 새롭게 맺는 사회적 관계가 이들의 다중부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가정 내 성평등을 위한 프로그램 방향성 설정, 상호문화존중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응 교육 실시, 원주민과 이주여성 간 자조모임 확대를 위한 정책 개정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뇌졸중 노인을 돌보는 주간호제공자의 부담감과 예측요인 : 한방병원 입원 노인을 중심으로

        유수정,김신미,이윤정,박연환 노인간호학회 2004 노인간호학회지 Vol.6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burden in primary caregivers caring for an elderly person who has had a stroke. Method : A convenience sample of 124 primary caregivers of elderly people with a stroke admitted to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done with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including Caregiver Burden Scale (Chang, 1995). Result: Average burden score was 93.19, indicating a moderate to severe level of burden. Time-dependent burden had the highest score of the sub-domai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caregiver burden were gender and age of the elderly person,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caregiver, whether living together or not, and the presence of another caregi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level of ADL of the elderly person,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person and the caregiver prior to the stroke, caregivers' relation to the elderly person and primary income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variance in overall burden. Conclusion : Recognition of high levels of caregiver burden and factors influencing burden will allow us to develop different nursing strategies to decrease caregiver burden in those caring for an elderly person with a stroke.

      • KCI등재

        인체유래물은행 관련 법적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유수정,구영신,최경석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2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5 No.3

        The Bioethics and Safety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ioethics Act”) was fully revised in 2012, and came into effect in 2013. The Act was revised and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genetic and genetic information but also human materials introducing the term, ‘human material bank.’ The Bioethics Act stipulates that human material bank has the ability to collect and provide human materials to others, as well as to directly collect and use human materials to be used for research. There is no clear regulation on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person to collect. There is confusion and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relevant regulations on whether or not for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human material bank to pre-review when a human material bank directly collects or asks others to collect human materials. In addition, there is no clear management protocol for human material bank to prevent its over-collecting human materials. Thus, we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vague legal regulation regarding human material banks under the Bioethics Act. In order to secure citizens’ trust on the operation of human material biobank and improve its quality, we provide clear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current regulations in Bioethics Act and suggest concrete legal contents for the revision of the problematic regulations related to human material bank or the introduction of new regulations. 2012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전부개정되어, 2013년부터 시행된 생명윤리법에서의 유전자은행 관련 규정을 단지 유전자 및 유전정보만이 아니라 인체유래물까지 포함한 “인체유래물은행”으로 개정 확대하였다. 생명윤리법에서는 인체유래물은행이 수집·획득한 인체유래물을 타인에게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체유래물연구에 쓰일 인체유래물을 직접 채취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으나 인체유래물은행의 개설허가 및 채취자의 자격요건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고, 인체유래물은행의 직접 채취 또는 채취 의뢰 시 기관위원회 사전 심의 여부에 대해서도 관련 법률 규정을 해석하는 데 혼란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인체유래물 과잉 채취 방지를 위한 관리방안도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명윤리법상 인체유래물은행에 관한 법적 기준이 모호하고 불명확한 점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인체유래물은행 운영의 신뢰 확보 및 질적 향상을 위해 현행 생명윤리법상 인체유래 물은행 관련 규정에 대한 명확한 해석뿐만 아니라, 현행 생명윤리법에서 인체유래물은행 관련 법 개정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