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클러스터 구축이 지역축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원서진,전인오,Won, Seo-Jin,Jeon, In-Oh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 벤처창업연구 Vol.5 No.3

        In this study, a unit of regional tourism as a cluster of innovative strategies that can be an assumption that the activation of tourism clusters building on local festivals and participated to review the empirical 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hieve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were given recognition for the cultural festival in Chungnam, Chungcheong-do you want to go to the local cultural festival linked to the tourist attractions, the cluster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motives, the festival satisfaction, revisit the decision, recommendation of th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degrees. To this end, local cultural festivals and attractions, Chungnam 150 spectators in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AS 9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analyze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estival of the cluster attribute satisfaction and revisit four on the most direct impact on the competitive conditions were not. Festival in regard to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in returning to the doctor more were affected. The condition is the element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is a race condition was the biggest influence. Therefore, the element condition Satisfaction Festival, a race condition in four to revisit the biggest indirect impact can be see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서진 ( Seo Jin Won ),송인욱 ( In Uk So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2

        본 연구는 (재)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의 경기도내 국제결혼이민자가족의 실태조사 자료를 2차자료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인적 특성요인으로는 결혼기간, 부부의 나이차, 소득수준, 학력수준, 한국어구사능력, 주관적 건강상태를 포함하였으며, 문화적 특성요인으로는 가족가치관과 부부간 의사소통 형태, 사회적 특성요인으로는 기관이용과 모임참여 여부를 포함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경기도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외국인 부인의 한국어 구사능력이 높을수록, 건강할수록 결혼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가치관이 가족중심적일수록 결혼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erson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dataset used in this study was from the Gyeonggi-do Family and Women`s Research Institute. The sample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was 380 marriage migrant women in Gyeonggi-do. The result indicated that marital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marriage, language ability, health, and family value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In other words, women with shorter length of marriage, better language ability, better health, and more family-centered family value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as well.

      • KCI등재

        물류전시회 체험요소가 참가활동성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서진(Won, Seo-Jin),임왕규(Lim, Wang-Kyu) 한국물류학회 2012 물류학회지 Vol.22 No.5

        세계적으로 물류전시산업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물류산업의 규모도 외형적으로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이로써 물류전시회 규모, 개최 빈도 등으로 물류전시회에 방문하는 참관객의 수는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되며, 최근 들어서는 물류전시회에서 참관객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물류전시회에 참가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과에 대한 요인들로 매출활동, 정보수집, 관계구축, 이미지 구축, 동기부여활동 파악이 가장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물류기업의 물류전시회 체험요소를 통한 참가활동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물류업체의 물류전시 마케팅전략이 물류기업성장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Global logistics exhibition industry is showing steady growth of the scale appearance and rapid growth of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This scale logistics exhibition, held in exhibition logistics, including frequency of visits of visitors is expected to rise year after year, the proportion or importance in the exhibition visitors recently Logistics is increasingly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logistic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ir respective companies. Performance to a number of factors, sales activities, information gathering, relationship building, image building, motivational activities, identify the most major factors that were unknown. Som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in exhibition logistics exhibition activities were affecting factors. Trade activities in order to increase showed that the showrooms in the sensuous experience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experience, behavioral experience, relationships and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activities affecting Logistics exhibition experience elements will need to be increased. Second, the exhibition activities were affecting Trade and satisfaction. Exhibition sales activity and performance, information gathering, relationship building activities, image building, motivation Affect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of the Trade Performance of making a lot of impact on participation activities can be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ctivities will also increase participation. Experience elements in exhibition logistics of the exhibition,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role and participation are important an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element of the experience in advance, taking into account the experience element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affecting the performance Affect logistics exhibition held in each factor is one of the important shows. Logistics exhibition experience elements of logistics enterprises through participation activity and shows. This shows that growing logistics company, logistics companies, logistics exhibition marketing strategy may be a factor in

      • KCI등재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3세대 가족과 비3세대 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서진 ( Seo Jin W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가구유형이 손자녀 양육과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기초로 2차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패널조사 응답자 중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중고령자 5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손자녀를 양육하는 시간과 손자녀를 양육하는 기간 모두 조부모의 우울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적을 수록 조부모의 우울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가구유형에 따른 손자녀 양육과 조부모의 우울감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에 대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ndparenting on the grandparent`s level of depression. In addition, it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ehold typ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555 grandparent sample in this study wa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grandparenting(grandparenting time per day and total weeks of grandparenting per yea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randparent`s level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 grandparent`s age was also associated with grandparenting, grandparent`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Grandparent`s health condition and marital status was associated with social support. Grandparent`s gender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ndparent`s depression and grandparenting time per day.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to the grandparent`s depression; however, it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grandparenting and grandparent`s depression. In addition, household type was not a significant moderator of measuring the relationships among grandparenting, grandparent`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 KCI등재

        경상북도 거주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은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서진(Seo Jin Won),송인옥(In Uk S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4 農村社會 Vol.24 No.1

        본 연구는 앤더슨모형을 적용하여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은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7개 시와 군에 거주하고, 현재 근로 중인 50대 베이비부머 400명이며, 1개월간 조사원을 통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앤더슨모형의 선행요인으로 거주지역, 성별, 연령, 학력을 포함하였으며, 자원요인으로는 근무형태, 고용형태, 소득(근로소득, 금융소득, 부동산소득), 본인 및 배우자의 연금 및 보험 가입여부(국민연금, 특수직역연금, 사적연금, 민영건강/생명보험)를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욕구요인으로는 동거상태(독거여부, 자녀와 동거여부)와 건강상태(만성질환유무, 우울)를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나이가 많은 시간제 근로자이면서 부동산 소득이 있고, 사적연금과 민영건강/생명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베이비부머의 주관적은퇴준비도가 높았다. 또한 자녀와 동거하고, 우울감이 높은 베이비부머는 주관적 은퇴준비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베이비부머의 노후 생활보장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베이비부머의 은퇴준비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retirement preparation of babyboomers living in Gyeongbuk province applying Andersen Model. 400 babyboomers in their 50s were selected from seven areas in Gyeongbuk province. The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those who were at the workforce. For data collection, interviewers did face-to-face interviews. Researchers included area, gender, age, and education as predisposing factors. For enabling factors, work type, employment condition, income(earned income, financial income, and income from property), pension and insurance were included. Lastly, family type(living alone or not and living with a child or not) and health condition(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 were included as need factors. Findings indicated that older part-time babyboomers who had income from property were more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In addition, those who joined private pension and private health/life insurance plan tended to be more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However, babyboomers living with their children and those with higher depression level tended to be less prepared for the retirement. Based on the findings, researchers addressed implications regarding financial security for later life and babyboomers` retirement planning.

      • KCI등재

        지역간 비교를 통한 중고령자의 생산적 활동과 우울의 관계

        송인욱(Song, In-Uk),원서진(Won, Seo-J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는 50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생산적 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산적 활동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차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를 2차 자료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및 결혼상태가 대도시 거주 중고령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거주 중고령자의 경우 연령, 학력, 결혼상태, 가구소득이 우울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생산적 활동에서는 유급노동과 손자녀돌봄이 대도시 거주 중고령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원봉사는 오히려 우울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도 거주 중고령자의 경우 유급노동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유급노동을 하는 중고령자의 우울이 유급노동을 하지 않는 중고령자에 비해 낮았다. 사회적 관계망은 지역에 상관없이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는 친구 및 가족과의 관계 만족도와 몇가지 생산적 활동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ging and depression of people over 50 years old. Also, it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ging and depression. Findings indicated that gender,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of senio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non metropolitan resident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income were significant factors to the depression. Among productive aging factors, paid work and grandparenting decreased depression of those in the metropolitan area while volunteer activity increased their depression. For those living in the non metropolitan area, paid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depression. Social network factors decreased depression regardless of the area of living. Moderating effect was on the satisfaction of friend and family relationship to some of productive aging factors.

      • KCI등재

        앤더슨(Andersen)모형을 이용한 장애노인 우울 예측요인

        송인욱(Song, In Uk),원서진(Won, Seo Ji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3

        본 연구는 앤더슨모형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장애노인들이 경험하게 되는 우울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노년기 우울의 예방적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를 2차 자료분석하였으며, 65세 이상 장애노인 44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우울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요인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고, 자원요인에서는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았으며, 욕구요인에서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심장장애를 가진 노인의 우울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우울예측요인의 특성을 고려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ffects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y applying Andersen model. And it is also to provide preventive intervention strategies of depression in the later life. Researchers conducted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4th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444 older adults who were 65years old and older with disability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earchers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address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y. Findings identified that those who were younger, received senior pension, and had more social support tended to be less depressed. In addition, older adults with a physical disability, brain related disability, vision impairment, and heart problem were more depressed than those without these disab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researchers indicated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y and clinical intervention methods for preventing depression in the later life.

      • KCI등재

        산재경험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문용필(Yong-pil Moon),원서진(Seo-jin W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산재경험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앤더슨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과거 산재당시 종사상지위에 따라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로 구분해 경제적 노후준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재보험패널조사(PSWCI)의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요인에서는 학력이 높고 정규직인 근로자가 비정규직인 여성 근로자에 비해 경제적 노후준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원요인에서는 정규직, 비정규직 근로자 모두 근로소득이 많을수록 노후준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국민연금 가입여부는 경제적 노후준비에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비정규직 근로자에게는 건강보험 가입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욕구요인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모두 산업재해로 인한 통증이 일상 및 삶을 방해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에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ddress factors affecting economic preparation of the elderly with industrial injury using Andersen model. In addition, it is also to explor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employment status between regular employees and non-regular employees. The authors analyz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PSWCI)’s 1st wave data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uthors found gender and education were related to economic preparation. In addition, earned incom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degree to which pain interferes with daily life and the liv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were associated with economic preparation. But national pen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conomic prepar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addressed poli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financial security of injured worker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차별경험과 심리적 적응: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김혜미 ( Hye Mee Kim ),원서진 ( Seo Jin Won ),최선화 ( Sun Hwa Cho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최근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정의 아동 역시 증가하고 있으나, 소수인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여러 사회적 차별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별경험은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일종의 스트레스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차별경험이 아동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지역의 25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차별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 및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차별을 많이 경험한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우울 및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지지, 또래지지, 교사지지를 통해 알아본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또래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차별경험은 또래지지를 약화시키며 약화된 지지체계는 아동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는 사회적 지지 약화모델의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또래지지는 또한 차별과 이에 따른 아동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As new minorities growing up with bicultural identities in Korean societ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often exposed to racial discrimination and such experience often acts as a stressor in their everyday lif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as well as the role of social support, surveys were conducted in 25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city,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level that the more they were exposed to discrimination, th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y experienced. Among social support domains, only peer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Supporting the social support deterioration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mor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led to reduced peer support which in turn, also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ing depressed and anxious. Peer support was also significant in partially mediating the discrimination-psychological distress relationship.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