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쥐 정소 내에서 Egr1에 의한 Sirt1의 발현 분석

        옥승석,계명찬 한국발생생물학회 2015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5 No.9

        Sirtuin-1(Sirt1)은 NAD+ dependent deacetylase로써 유전자 침묵, 포도당과 지질대사, 세포자살 등 다양한 cellular process에 연관되어 있다. 최근 이뤄진 여러 연구에서 Sirt1 Knockout mouse가 정자형성 장애와 불임증상을 가진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Egr1(Early Growth Response 1)은 Egr family에 속하는 전사인자로서 mitogenesis와 differentiation에 필요한 유전자들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이는 Sirt1의 전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정소 내에서 Egr1의 유무에 의한 Sirt1의 발현 수준 차이를 밝히고자 Egr1 knockout mouse와 wild type mouse를 이용하여 Sirt1의 발현패턴을 분석하였다. Sirt1의 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Quantitative RT-PCR과 conventional RT-PCR을 이용하여 각각 ICR strain adult male mice와 Egr1 Knockout adult male mice의 testicular cDNA에서 mRNA 수준에서 Sirt1의 발현수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Immunohistochemistry를 이용하여 Sirt1단백질의 localization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Wild type과 Egr1 Knockout mouse의 정소 내에서 Sirt1 mRNA의 발현 수준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Egr1 Knockout mouse의 정소 내에서 Sirt1 단백질의 발현수준은 wild type과 비교하여 현저히 떨어졌으며, 이 변화는 특히 pachytene spermatocyte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Sertoli cell에서는 Pachytene spermatocyte에서만큼 뚜렷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Egr1이 pachytene spermatocyte에서 Sirt1 단백질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Sirt1 Knockout mouse가 불임 증상을 보이며, 정자형성에 장애가 있는 반면, Egr1 KO mouse는 정상적인 생식능력을 가짐으로 보아 premeiotic 또는 meiotic stage에서의 Sirt1 결핍이 이러한 infertility의 원인이 될 것으로 추측된다.

      • TG407을 이용한 phthalate의 대체후보물질의 위해성

        송창엽,옥승석,박선정,수영,박승현,오영석,계명찬 한국발생생물학회 2017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7 No.8

        내분비계 교란물질은 환경으로 방출되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조직에 축적되며, 각종 형태의 교란을 일으킴으로써 생식 이상과 성장억제 등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분류되는 Phthalate 및 대체물질 안전성 평가를 위해 TG407 실험을 수행하였다. TG407에 따라 (8주령) 수컷 Mouse에 Sonde를 이용하여 Phthalate (DEHP, 양성대조군; 4, 400 mg/kg/day) 및 대체후보물질 2종 (ATEC; 4, 40, 400 mg/kg/day), (ATHC; 400 mg/kg/day)를 28일 동안 경구투여 하였으며, 경구투여 종료 후 Sampling, 혈당 측정, CBC 측정, 호르몬 측정을 수행하였다. CBC와 혈당, Insulin 측정 및 뇌, 뇌하수체, 심장, 부정소, 정낭의 무게 측정 결과,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T4와 T3의 농도는 ATHC를 제외하고는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THC(400 mg/kg)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T4가 높았으며, T3는 낮았다. 간의 경우 DEHP(400 mg/kg)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였다. 신장의 경우, DEHP(400 mg/kg), ATHC(400 mg/kg)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부신의 경우, DEHP(400 mg/kg), ATEC(40, 400 mg/kg), ATHC(400 mg/kg)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였다. 흉선의 경우 DEHP(400 mg/kg), ATHC(400 mg/kg)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비장의 경우, DEHP(400 mg/kg)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였다. 정소의 경우, DEHP(400 mg/kg), ATEC(40, 400 mg/kg), ATHC(400 mg/kg)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전립선의 경우, DEHP(400 mg/kg), ATHC(400 mg/kg)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였다. 간, 신장, 부신, 비장, 정소, 부정소, 전립선을 대상으로 조직학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특이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ATEC가 가장 독성이 낮은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ATEC와 같은 대체소재가 향후 플라스틱 시장에서 Phthalate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Azole계열 항곰팡이 물질의 양서류 독성: 총설

        박찬진 ( Chan Jin Park ),박용아 ( Yong Ah Park ),옥승석 ( Seung Seok Ok ),계명찬 ( Myung Chan Gye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1

        양서류는 육상과 수상생태계를 연결하는 먹이사슬의 연결자로 진화적 생태적 지이를 갖는다. 양서류의 배아와 유생은 모체와 독립되어 수환경 내에서 초기발생 및 성장하기 때문에 수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Azole계열 항곰팡이제는 농업 및 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농지, 하수처리장 등으로 부터 수계로 유입된다. 최근, 양서류에서 이러한 azole계 물질에 의한 기형유발, 내분비계장애 효과가 증가하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azole계 물질의 양서류 독성을 파악하고 azole계 물질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azole계열에 속하는 imidazole, triazole, thiazole, oxazole, pyrazole 항곰팡이 물질이 양서류의 발생, 분화, 생식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최근까지의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Amphibians play a pivotal role in the ecosystem as a mediator between aquatic and terrestrial environment. Currently they are directly exposed to a variety of chemicals in the aquatic environment throughout their life cycle. Azole fungicides have been widely used in medical applications and agricultural activities. The direct exposure of azole fungicides causes an alarming situation for various ecosystem. Recently, teratogenesis and endocrine disruption by azole fungicides have been reported in amphibians. In an effort to provide the current information for amphibian toxicity of azole fungicides and to make the guidelines for safe usage of azolebased materials, the effects of azole fungicides including imidazole, triazole, thiazole, oxazole, and pyrazoleon on early development, differentiation and reproduction of amphibians were reviewed.

      • SCOPUSKCI등재

        출산에 따른 그레이브스병의 재발 및 관련이자

        임창훈,최현아,승석,김해성,이창욱,정호연,한기,장학철,박원근,윤현구,한인권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2

        Background: Pregnancy affects the course of Graves' Disease (GD), and patients who initially maintain euthyroid function into their middle trimester with minimum doses of antithyroid drugs become exacerbated after delivery. Even patients who are completely cured, requiring no treatment during pregnancy, can relapse after deliver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stpartum changes in the thyroid functions of patients with GD, and attempted to deter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chang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pregnant women visiting our outpatient clinic for routine prenatal evaluations. 45 women previously diagnosed with GD, who had been treated and cured with hyperthyroidism, and were no longer taking any thyroid medications, were evaluated for 1 year post delivery. Results: Among 45 patients, 20 (44.4%) developed thyroid disorders following delivery. Postpartum thyroiditis (PPT) developed in 8 patients (17.8%), and GD developed in 12 (26.0%). The onset of the PPT disease 3.1 ± 1.4 months following delivery, which was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e 6.7 ± 2.7 months required for the post delivery onset of GD (p=0.003). The TBII values, measured during the thyrotoxic state in each womaen, were negative in women with PPT and positive in 71.4% of women with GD (p=0.030). The duration of treatment for hyperthyroidism prior or pregnancy, the number of recurrences, and the time interval without treatment,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ostpartum thyroid disorders. Whereas, the mean number of past pregnancies for women who developed PPT was 3.9 ± 2.1,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2 ± 1.7 for women developing no thyroid dysfunctions (p=0.044). In 13 women their initial onset of GD occurred within one year postpartum, 7 (53.8%) having had a recurrence,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men whose disease onset occurred unrelated to delivery (5 of 32 women: 15.6%). Conclusion: Women with GD developed postpartum thyroid dysfunctions in 44.4% of cases. Women whose initial disease onset occurred within one year postpartum had higher recurrences of GD, and women who developed PPT had a history of higher gravidity compared to the euthyroid women postpartum. Therefore, if women with GD develop postpartum thyroid dysfunctions, the diagnosis should be made, and a treatment modality planned, following careful considerations of the patients' past obstetric history, changes in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TBII values

      • 출산에 따른 그레이브스병의 재발 및 관련인자

        임창훈,최현아,승석,김해성,이창욱,정호연,한기,장학철,박원근,윤현구,한인권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2

        연구배경: 임신은 그레이브스병의 경과에 영향을 주어 임신중기에 이르면 갑상선기능이 정상으로 유지되어 적은 용량의 항갑상선제만으로 용이하게 조절되다가 출산 후에는 악화되며, 관해상태에 이르러 임신 중에 치료하지 않았던 경우에도 출산 후에 자주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출산 후에 발생하는 갑상선기능이상의 변화 및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1996년 3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산전진단을 위하여 내원한 여성중 과거력상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치료받고 완쾌되어 임신 중 치료를 받지 않았던 여성중 출산 후 1년까지 추적 관찰하였던 4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결과: 45예 중 20예(44.4%)에서 출산 후 갑상선기능이상이 발생하였는데, 8예(17.8%)에서는 산후갑상선염이, 12예(26%)에서는 그레이브스병이 재발하였다. 산후갑상선염의 발병시기는 출산 후 3.1±1.4개월인 반면 그레이브스병의 재발은 6.7±2.7개월로 차이가 있었으며(p=0.003), 기능이상시 측정한 TBII는 산후갑상선염에서는 모두 음성인 반면, 그레이브스병의 재발에서는 75.0%에서 양성으로 나왔다(p=0.030). 임신 전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치료기간, 재발횟수 및 치료중단기간 등은 출산 후 갑상선기능이상의 발생과 관련이 없었으나, 임신회수는 산후갑상선염군에서는 3.9±2.1회로 정상군의 2.2±1.7회에 비해 많았다(p=0.044). 과거력상 처음 그레이브스병의 발병이 출산 후 1년 내에 발병되었던 13예 중 7예(53.8%)에서 재발된 반면, 처음 발병이 출산과 관계가 없었던 32예 중 5예(15.6%)에서 재발되어 의미 있는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6) Background: Pregnancy affects the course of Graves' Disease(GD), and patients who initially maintain euthyroid function into their middle trimester with minimum doses of antithyroid drugs become exacerbated after delivery. Even patients who are completely cured, requiring no treatment during pregnancy, can relapse after deliver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stpartum changes in the thyroid functions of patients with GD, and attempted to deter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changes.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pregnant women visiting our outpatient clinic for routine prenatal evaluations. 45 women previously diagnosed with GD, who had been treated and cured with hyperthyroidism, and were no longer taking any thyroid medications, were evaluated for 1 year post delivery.Results: Among 45 patients, 20(44.4%) developed thyroid disorders following delivery. Postpartum thyroiditis(PPT) developed in 8 patients(17.8%), and GD developed in 12(26.0%). The onset of the PPT disease 3.1±1.4 months following delivery, which was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e 6.7±2.7 months required for the post delivery onset of GD(p=0.003). The TBII values, measured during the thyrotoxic state in each womaen, were negative in women with PPT and positive攀접수일자: 2001년 9월 5일통과일자: 2002년 4월 19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