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어머니를 둔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오재연(Oh Jae-yeon),송미선(Song Mi-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외국인 어머니를 둔 유아들이 한국 사회에서 자라면서 어떠한 문제를 겪고 있는가를 면밀히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들이 그들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담과 설문지를 통해 외국인 어머니를 둔 자녀의 부모와 교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어머니를 둔 유아의 한국어 실력이 더 높을수록 개인적 기술 문제와 사회적 상호작용문제가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한국어를 잘할 수록할수록, 외모가 다른 친구들과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 유아일수록, 친구에게 따돌림 받은 경험이 적을수록 환경적응문제가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문화 가정 유아를 위한 적절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what kinds of problems the children in the Foreign mother's Families encounter as growing in the Korean society and what factors have impacts on being adaptive in kindergarten. First of all,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and socialization factor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life of children from the Foreign mother's Families in the kindergarten. Next, how those factors have impact on the adaptive behavior in kindergarten of children from Foreign mother's Families were examined. For achieve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arents and teachers of the children from Foreign mother's Families Surveying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technical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higher the Korean skill of a child from Foreign mother's Families, the less the personal description problems and social interaction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children with lower culture adaptation stress, more fluency in Korean, less awareness on the difference from other friends and less experience to be left out in the cold by the classmates showed less problems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reference for preparing the proper support plan for the children from Foreign mother's Families.

      • KCI등재

        연결어미 ‘-ㄴ데’와 접속부사 ‘그런데’의 사용 양상에 대한 대조적 연구

        오재연(Oh, Jae-youn),이선웅(Yi, Seon-ung)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3 No.-

        본고는 연결어미 ‘-ㄴ데’와 접속부사 ‘그런데’의 사용 양상을 ‘용법’과 ‘접속의 영역’을 기준으로 대조해 보고, 이를 통해 ‘-ㄴ데’와 ‘그런데’가 나타내는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ㄴ데’의 용법을 [이유], [대조], [양보], [배경 제시]로 나누고, 각 용법의 예문을 ‘그런데’를 사용하여 환언해 본 결과, [이유]와 일부 [배경제시] 용법에서는 ‘그런데’의 사용이 부자연스러움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는 선행절과 후행절 사이에 국면의 전환이 있음을 나타내는데, [이유]와 일부 [배경 제시]의 문장에서는 국면의 전환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Sweetser(1990)의 논의에 기대어 ‘-ㄴ데’에 의한 접속을 의미영역, 인식 영역, 화행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접속된 문장들을 ‘그런데’를 사용하여 환언해 본 결과, 내용 영역에서의 접속에서는 ‘그런데’의 사용이 자연스럽지만, 화행 영역에서의 접속에서는 명령이나 제안 화행인 후행절 앞에서 ‘그런데’의 사용이 자연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aning of sentences connected by the connective ending, ‘-eunde’ and the connective adverb, ‘geureonde’ based on the usages and conjunction domain, an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meanings. Firstly, the usage of ‘-eunde’ was divided into ‘reason’, ‘contrast’, ‘concession’, and ‘background presentation’, and the sentences used in each usage are changed into two sentences using ‘geureonde’. As a result, some differences between ‘-eunde’ and ‘geureonde’ were revealed in some usages. Secondly, referring to Sweetser(1990) we divided the sentences connected by ‘-eunde’ into the connection in the content domain, the epistemic domain and the speech-act domain, and changed the sentences connected in each area into two sentences using ‘geureonde’. As a result, it was natural in the content domain, but it was often unnatural in the speech-act domain.

      • KCI등재

        시간경과에 따른 한국가정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정 비교 연구

        오재연(Oh, Jae-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가정에서 태어나 생활하는 유아와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나 생활하는 유아들이 실제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1주, 2주, 3주, 4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교하여 살펴보고 국적(한국, 다문화)의 유아들이 어떠한 변인에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기관에 처음 적응하는 한국가정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4주간 적응과정을 그들의 담임교사에게 기록하게 하였으며, 연구결과, 한국가정, 다문화가정 유아 모두 시간경과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 적응해 나갔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가정, 다문화가정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변화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가정의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주는 변인은 따돌림정도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따돌림정도,어머니연령,어머니교육,아버지연령, 유아의 한국어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 from Korean families and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hemselves to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ver time (4 weeks) and identify variables influenced by young children’s ethnicity (Korean or multicultural)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is study, we had their class teachers record four weeks’ adaptation process of young children from Korean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who just started to attend the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young children from Korean families and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justed to the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ver tim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aptation over time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a variable affecting the adaptation of children from Korean families was the level of being bullied. The vairable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he level of being bullied, mother’s age, mother’s education level, father’s age, and the child’s Korean language skill.

      • KCI등재

        3세 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유형과 유치원생활 적응행동연구

        오재연(Oh Jaeyeon),이지현(Lee Je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들이 유치원에 입학한 후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해 형성하는 애착정도를 비교하고,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정도가 유아의 유치원생활에서의 적응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와 교사모두에 있어서 애착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경향이 적었다.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유형에 따라 유치원 생활 적응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개인/사회 기술문제, 활동적응문제, 또래협력 및 상호작용문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환경적응 문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유아와 어머니 그리고 유아와 교사와의 애착유형에 따른 유아의 유치원생활 적응과정을 파악하여 가정에서의 유아양육뿐만 아니라 유아교육 관련기관에서 애착유형별로 유아를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있어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유아의 현재 애착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함으로써 이에 대한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에 지침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attachment and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Two hundreds and twenty eight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different groups including 3-year old children(n=108), their mothers(n=108), and teachers(n=12). Four types of attachments were examined; 1) secure-secure type (both maternal and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were secure to the children) 2) secure-insecure type(the maternal attachment relationship was secure but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was insecure to the children) 3) insecure-secure type(maternal attachment relationship was insecure but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was secure to the children) 4) insecure-insecure type( both maternal and teacher and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were insecure to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 who were securely attached to both mother and teacher were more adaptive behavior than the children who were insecurely attached to both mother and teacher. The children who were securely attached to their mother but insecurely attached to teacher, and the children who were insecurely attached to their mother but securely attached to teacher were more adaptive behavior than the children who were insecurely attached to both mother and teach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child-mother or child-teacher attachment affects children's adaptive behavior. Moreover, a secure attachment relation with the teacher could compensate for the insecur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and vice-versa.

      • KCI등재

        생태학 이론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의 행복감 연구

        오재연(Oh, Jae Yeon),김경란(Kim, Kyung Ra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를 둘러싸고 있는 생태학적 변인인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변인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설명할 수 있는 생태체계 변인을 살펴보고 행복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 전남ㆍ전북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를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 변인 중 중간체계변인(유아-교사 상호작용,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둘 이상의 환경들 간의 상호작용이라 볼 수 있는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가 좋을 때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위해 기존의 단일요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유아교사의 문화적 맥락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cosystem variables that can explai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comprehensively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happiness through analyzing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re related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variables surrounding the teachers such as microsystem, mesosystem, and exosystem variable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24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Gwangju, Jollanam do, and Jollabuk do.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ecological environment variables surroun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mesosystem variables (teacher child interaction,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and colleague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teachers’ happiness. Moreover,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was higher particularly when ‘teacher child interaction,’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and colleagues’ which is 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environments were g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stead of research focusing on a single factor as in previous studies,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context should be examined comprehensively in order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출신국적별 외국인 부모의 양육행동과 삶의 질 및 문화적응스트레스 비교연구

        오재연(Oh, Jae Yeo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출신국적별 외국인 부모의 양육행동, 삶의 질,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비교하고 문화적으로 탐색하여 출신국적별 문화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누리 홈페이지의 현황과 행안부의 결혼 이민자 자녀현황을 기초로 서울, 경기, 전남, 경북지역의 유치원, 어린이집 및 다문화센터에 재원 중인 필리핀,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중국, 일본 국적을 가진 다문화가정 외국인 부모 404명에게 그들의 양육행동, 삶의 질,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출신국적별 외국인 부모의 양육행동, 삶의 질,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하위요인별 외국인 부모의 출신국적의 특징과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국적별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의 출신국적별 차이를 중심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출신국적별 외국인 부모의 올바른 자녀양육을 지지하고, 사회문화적 적응과 사회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이해와 실제가 반영될 수 있는 다양한 국가적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and accept cultures of individual nationalities by investigating child rearing behavior, life quality, and cultural adjustment stress in foreign parents of children in infancy based on their original nationa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foreign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one of the nationalities including the Philippines, Thailand, Vietnam, Cambodia, China, and Japan whose children attended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and multicultural centers. The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2013 Condi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ng Centers" and "the Conditions of Marriage Migrators and Naturalized People's Children" at the Danuri site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y were asked to answer questions about child rearing behavior, life quality, and cultural adjustment str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turned out to be various differences among nationalities in parenting their children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parents' nationalities in sub factors for their child rearing behavior, life quality, and cultural adjustment stress in foreign parents of children in infancy based on their original nationalities. Thus, based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nationalities reveal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supporting measures are required that can support desirable child rearing by practices for sociocultural adjustment and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행복한 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 인증제 구축 연구

        오재연(Oh JaeYeon),남민우(Nam MinWoo),김경란(Kim KyungRa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가진 행복한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인증제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관련 문헌고찰, 교육학 및 유아교육현장의 요구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행복한 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과 관련된 요소추출, 추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단계별 내용을 구성하였다. 인성교육 코스별 내용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점검하기 위해 교육학전문가, 유아교육전문가, 유치원 원장에게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아 행복 나눔 인성+ 단계, 마음나눔, 인성++ 단계, 세상나눔, 인성+++단계의 행복한 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 인증제를 구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인성교육 인증제는 유아교육현장에 나아가게 될 예비 유아 교사가 기관에서의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중요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ertification system to raise happy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uman character and capabiliti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and data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on people’s needs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extracted factor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for happy early childhood teachers, set purposes and goals focusing on the extracted factors, and designed contents for each stag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ntents for each course of character education were tested by pedagogists,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kindergarten directors, focusing on their field applicability, and then the final character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happ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haracter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to be used in major and non‐curricular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cours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ill work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uild a right and healthy inner personality and to cultivate human character and capabilities.

      • KCI등재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변인 탐색

        오재연(Oh Jae-Yeon),유구종(Yoo Ku-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전라남도지역 부모들의 인구학적, 심리학적 특성 뿐만 아니라 이를 둘러 싼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변인과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할 수 있는 생태학적 관련변인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검증을 통해 양육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양육 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살펴본 결과, 농촌지역 부모가 지닌 특성인 유기체 변인(부모연령, 부모효능감), 미시체계변인(유년기 기억, 유아나이), 중간체계변인(보육만족도), 거시체계변인(부모역할관, 자녀가치관) 등이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지역의 가정에서 자녀양육의 일차적 책임이 주로 어머니에게 부과되고 있으며, 농촌지역 부모가 지닌 특성인 체계변인들과 양육 스트레스는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find variables of parenting stress by verifying an ecological model which shows the relationships among micro-systems, medo-systems, exo-systems of demograph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rural areas mothers and fathers. The results show that parenting stress is associated with intimate variables such as parents' age, parental efficacy, micro-systemic variables such as childhood memories, child age, meso-systemic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of care, and macro-systemic variables such as parental roles and values of children. It also shows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parenting was mostly on mothers. The system variables of rural areas parent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ca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tudy of systemic variables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on parenting car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적응프로그램 실시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신념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재연(Oh, Jae-Yeon),김경란(Kim, Kyung-Ran),김연화(Kim, Yeon-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초기적응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효능감 증진효과를 살펴보는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광주?전남?전북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초기적응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19명과 비교집단 18명에게 사전사후 유아교사의 신념과 효능감을 조사하여 변화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기적응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교사의 다문화 이해, 다문화 민감성, 다문화 교육과정, 다문화 교실운영, 다문화 기관풍토, 지역사회, 기관, 그리고 부모 파트너십 신념과 일반생활측면, 수업기능측면, 인간관계측면의 효능감에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적응프로그램 실시는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실제 교육현장 지도역량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how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mprove, through an early adapt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their multicultural education faith and efficacy. The study"s objective is to improve the program developed to identify the adaptation effect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elected as subjects were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The study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faith and efficacy of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n=19) and the control group (n=18), comparing them. The study, observ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completed the early adaptation program) showed improvements in the following areas: understanding of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multi-culture, sensitivity to multi-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al courses, multicultural classroom operation, multicultural institution culture, working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efficacy in institution and parent partnerships, faith and general life aspects, class function aspects, and human relation aspects. Accordingly,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early adaptation program is an important course for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responsible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that it improves their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