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3․15장송데모의 역사적 의의와 통일정신

        오수열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2

        While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 of 1919 and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f 1980 ar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of democracy in Gwangju, only a few people remember the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and April 19 Revolution in the 1960s. This may be because the memory and shadow of the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and May 18 Democratic Uprising are so large, and because of actual limitations that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is represented by Masan and the April 19 Revolution is represented by Seoul. However, if we remember the historical fact that national resistance against the continuing hold on power by the despotic government of the Liberal Party was not triggered in Masan, we must remember and reevaluate the February 28 Demonstration which broke out in Daegue by students in Daegue and the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which broke out in front of the Jeonnam Police Station as a command post for an unfair election.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progress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March 15 Funeral Escort Demonstration which occurred along Geumnamro in Gwangju, and its unification spirit.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us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storical events which contributed to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such as the February 28 Demonstration in Daegu, the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the April 19 Revolution in Masan and demonstrations by Seoul and Korea University students. 광주(光州)의 민주성(民主性)을 대표하는 역사적 사건으로는 1919년의 광주학생운동과 1980년의 5․18민주항쟁이 지목되고 있는 반면 1960년의 광주3․15의거나 그 연장선상에서의 4․19혁명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는 광주학생독립운동과 5․18민주항쟁의 기억과 그늘이 워낙 넓은 까닭일 수도 있지만, 3․15의거의 대표성은 마산에 의해 행사되고 있고 4․19혁명은 서울로 대표되고 있는 현실적 한계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자유당독재정권의 영구집권 음모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마산에서 촉발된 것은 아니라는 역사적 사실을 기억한다면, 대구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이미 2월에 발발한 대구2․28의거와 투표가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부정선거의 총지휘소인 전남경찰국 면전에서 진행된 광주 3․15의거는 반드시 기억되어야 하고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1960년 3월 15일 광주 금남로에서 발발한 ‘3․15장송데모’의 경과와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고 그에 바탕하여 거기에 담긴 통일정신을 고찰함으로써 대구2․28, 광주3․15, 마산4․19, 서울 고대생시위 등 한국의 민주화에 기여한 역사적 사건들의 연계성을 찾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도 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공투쟁에서 국민당의 패배원인에 관한 연구: 항일전쟁시기를 중심으로

        오수열,최상욱,류영규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3

        In terms of world history, the rise and fall of a country is usually derived from external factors such as war, but it sometimes comes about due to internal conflicts and collision. In the Gukgongtujaeng between the Kuomintang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former was superior at the beginning of the conflict but was defeated and the latter gained a victory which was greatly affect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disintegration and collapse inside the Kuomintang as well as the external factor of Japan's invasion. If the Kuomintang gained the victory in Gukgongtujaeng and took control of the continent, it is certain that it would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like the establishment of the Kim Il-Sung government and the Korean War. In this respect,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on the Chinese mainland would work as a decisive factor in the destiny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s wh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gained the victory although it was in a dead-end crisis while the Kuomintang, which was superior in many aspects, was defeated in the Gukgongtujaeng, centering on the period from after the Sian Incident, a chance for a 2nd United Front, to the end of the 2nd World W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2nd United Front which was concluded under the cause of Ilchihangchon broke down. Second, public sentiment changed under the dictatorship of the Kuomin government. Third,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unification strategies and the muster of public sentiment were some of the reasons. Such results show that the center of politics lies in public sentiment for every country as well as the Gukgongtujaeng. 세계사에서 볼 때 국가의 흥망은 전쟁 등 외적요인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지만, 내부적 갈등과 충돌에서 비롯된 경우도 적지 않다. 중국대륙을 놓고 국민당과 중공당 간에 전개된 국공투쟁에서 당초의 우세에도 불구하고 국민당이 패배하고 중공당이 승리한데에는 ‘일본의 침략이라는 외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지만, 국민당 내부의 분열과 부정부패 등 내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만약 국공투쟁에서 국민당이 승리하여 대륙의 주인이 되었다면, 김일성 정권의 수립, 6․25전쟁 등 한반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대륙에의 정세변화는 한반도의 운명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국공투쟁에서 여러 가지 우세에도 불구하고, 국민당이 패배한 반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던 중공당이 승리할 수 있었던가 원인을 제2차국공합작이 이루어진 계기인 서안사건(西安事件) 무렵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때까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분석의 결과 첫째는, 일치항전(一致抗戰)이라는 명분 속에서 성립된 ‘제2차국공합작’이 결렬된 것. 둘째는, 국민정부의 독재정치 속에서 민심이 이반한 것. 셋째는, 중공당의 통일전선 전략과 민심의 규합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 시기의 국공투쟁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고금(古今)을 통해 모든 국가에 해당된다고 할 때, 정치(政治)의 핵심은 민심(民心)을 얻는데 있다는 것을 재인식시켜 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중관계 12년의 회고와 발전과제

        오수열 한국통일전략학회 2004 통일전략 Vol.4 No.2

        금년은 한·중수교 12년이 됨과 동시에 중국의 권력체제에 중요한 변화가 있었던 해이다. 즉 지난 9월에 개최된 중공당 제16기4중전회에서 그동안 장쩌민이 지니고 있던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이 후진타오에게 넘겨짐으로써 명실상부하게 후진타오를 중심으로 하는 제4세대 지도체제가 수립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지도체제의 변화는 당연히 중국의 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고, 이는 한·중관계에도 작용하게 될 것이다. 1992년 8월 국교를 수립한 이후 한·중관계는 북한이라는 저해요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경제·무역관계를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여 왔다. 중국은 이미 한국에게 미국과 일본을 제치고 최대무역상대국가로 부상하였으며, 우리의 최대 투자국가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중국은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에서 북·미간의 이견을 조율하는 중재자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동아시아 국제정치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지금까지 수교이후 한·중관계는 비교적 무난한 발전과정을 밟아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국간의 관계가 앞으로도 이처럼 발전적 협력관계를 지속할 것인지는 미지수라고 하겠다. 왜냐하면 중국의 국력과 그 역할이 달라지면서 중국의 대한반도정책 또한 다르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양국간에 첨예한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는 ‘동북공정’과 탈북자들에 대한 보다 엄격한 대처는 이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하겠으며, 우리의 쌀 시장개방을 둘러싸고도 양국간에는 상당한 이견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후진타오를 중심으로한 제4세대 지도부로 구성된 새로운 중국의 지도층이 지닌 것으로 분석되는 ‘자국이익중심적 사고’가 앞으로 한·중관계에서 어떻게 표출될 것인가는 향후 양국관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