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학산업의 인벤토리 구축 및 공정진단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관한 연구

        안준기(Ahn, Jun-Ki),조경오(Cho, Kyoung-O),조현래(Cho, Hyun-Rae),이만식(Lee, Man-Si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공정진단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업체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울산지역은 산업단지 중심으로 석유화학, 자동 차, 조선 등 에너지 다소비업체가 많으며,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체계적으로 실시 할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10개 기업체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0개 기업체 중 5개 기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인벤토리 구축 결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공정에 따른 직접배출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너지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약 온실가스저감 227,554만원 경제적 효과 및 온실가스 이산화 탄소 50,740 ton/yr 절감효과를 발생하였다. This study showed the reduced greenhouse gas(GHG) emission through GHG inventory establishment and process diagnosis for a response to climatic change. Also, it presented a direction for company's response to climatic change. Ulsan from its industrial complex has many energy-intensive companies such as petrochemistry, automobile and shipbuilding, and as we judged that the systematic reduction of GHG emission would make a considerable reduction of GHG emission in national dimension we executed this study from 10 companies. It showed the high rate of direction GHG emissions by its process that 5 of 10 companies calculated GHG emission and built its inventory. Also, in order to reduce energy and GHG, it produced about 227,554 million won of its economic effect and 50,740 ton/yr of its sparing effect.

      • KCI등재

        재수생의 대학진학 결정요인 분석

        안준기(Ahn, Jun-ki),배호중(Bae, Ho-Jo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haracteristics of repeater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success factors of retaking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for graduates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Analysis showed that approximately 22% among graduates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decided to study and prepare to reapply, and the background of a family, especially the family income contributes much more to a choice of retaking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is different from types of second chance on the college entrance exam. Supposing that we regard the type that repeater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keep score the same as the previous year as failure, our research shows that repeater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re more likely to failure than success. Not many traces of experiences of repreparation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tself secure a better result in our analysis. Generally, the much more repeaters get excellent high school records or CSAT scores in the previous year, the higher they are likely to succeed in preparation to reapply next year. This study set an object of study to repeater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about college educational performance in this respect. Particularly, we classified repeaters into types and set specific standards on success of reprepar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this regard, this analysis can suggest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1~3차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입 재수생의 특성 및 재수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 가운데 약 22% 가량이 재수를 선택하고 있었으며 재수의 선택은 개인적인 특성보다는 가구 배경 특히, 가구소득이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수의 유형별로 성과의 차이가 있지만 이전의 성적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도 재수에 실패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재수를 통해 상위권 대학으로 진학하는 경우보다는 실패 사례가 더 많다고 볼 수 있었다. 재수경험 그 자체가 대학에 있어서 더 나은 성과를 담보한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고교 재학당시 성적이나 지난해 수능 성적이 우수할수록 재수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성과 연구와는 달리 이러한 관점을 재수생으로 한정한 최초의 연구이다. 특히 재수생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재수의 성공 기준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어 향후 연구에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한국의 주택 소유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안준기(JunKi Ahn),류한얼(Hanul Ryu),유지호(Jiho Yoo),민영일(Youngil Min) 한국공공정책학회 2007 공공정책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housing property ownership by region in Korea. We focus on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roperty ownership and attempt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proper supply of house. We also identify such determinants as the housing price, the housing size, the owner"s income, and the family size   주택소유자형태의 차이는 다양한 주택특성과 가구특성(인구통계적 특성, 사회경제적특성)에 이ㅡ하여 선택된다. 주택특성은 주택가격, 주택규모 등이며, 가구특성으로는 소득, 교육수준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연령, 가족구성원수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이 있으며, 가구가 주택소유형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지역별 주택소유형태의 결정요인들을 알아봄으로써 합리적인 주택공급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주택소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경제활동 변동 및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안준기 ( Jun Ki Ahn ),오세미 ( Se Mi Oh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5 사회보장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산재근로자의 요양 전후 경제활동 변동 및 개인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여성, 저연령 또는 고연령 근로자, 산재장해인의 경우 원직복귀 외에 재취업이나 창업 등을 통해 경제활동에 재진입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 30?40대, 기혼자, 장해가 없거나 경증장해의 경우, 그리고 산재 전 직장에서 정규직, 노조 가입, 사무직일수록 경제활동 참여 및 원직복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요양 종결 후 재취업한 경우 이전의 일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재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종은 보다 단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용직의 비중이 감소하며, 임시?일용직의 증가가 나타났다. 근로형태는 전일제 근로에서 시간제 근로로, 사업장 규모는 대규모에서 소규모로 이동하였고, 임금은 감소하였다. 넷째, 개인의 인적 속성, 장해유무 및 장해 정도뿐만 아니라 산재 요양 후 경제활동여부가 자아 존중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통해 경제활동 상태별 자존감을 비교한 결과 비경활, 재취업, 원직복귀의 순으로 자존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정책적 함의 및 산재보험 정책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lf-esteem and change in status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using panel data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of return-to-work or job reten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age, marital status, ratings of disability, employment status, union membership status, and occupation type. Secondly, the labors, who found another job because they could not return to previous job, had worse employment status and environment than pre-injury workplace. Third, the self-estee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as affected by whether they work or not. Finally,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pproach was used to compare self-esteem of workers with non-worker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lf-esteem of workers were higher than non-workers.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proposal were suggested for each type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배호중(Bae, Ho-Joong),안준기(Ahn, Jun-k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3차 자료를 이용하여 4년제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재학 중 취업 사교육 경험이 졸업 후 노동시장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대학 재학 중 취업 사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비교에 있어 선택편의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준실험적 방법론 가운데 하나인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구직 기간 및 첫 직장 임금을 분석하기 위해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 model) 및 분위회귀(quantile regression)방법을 적용하였다. 관찰가능한 개인의 이질성을 통제한 후에도 노동시장 이행 지표 가운데 구직 기간은 취업 사교육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영어 관련 취업 사교육이 다른 사교육에 비해 구직기간을 크게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졸업 후 첫 직장 임금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취업 사교육은 첫 직장 임금을 높여주고 있으나, 분위회귀 분석 결과 전 소득 구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중위 소득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부 취업 사교육 종류별로 살펴본 결과 영어 관련 학습은 상위 소득 분위에 있어서도 주요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four-year-course college students’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while in college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s after graduation.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his study uses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hich is one of the quasi-experimental methodology in order to control selection bias. Also, applying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quantile regression methodology, we investigate one’s job search period and the first job wages. After controlling selection bias, job search period among various labor market transition indexes is affected by one’s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while in college. In particular, English private education reduces one’s job search period compared to other private educations for employment. Similarly,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raises the first job wages after graduation; however, this effect is strong for around medium income class as a result of estimation of quantile regression. On the other hand, private education related to English affects upper income class.

      • KCI등재

        한국 노동시간 미스매치의 규모와 특징: 비자발적 장시간 노동을 중심으로

        김준영 ( Joon Young Kim ),안준기 ( Jun Ki Ah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4 산업노동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희망노동시간과 실제노동시간 간 차이의 규모와 특징을 검토하는 것이다. 2,923명의 임금노동자를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이용하여 노동시간 미스매치의 규모와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64세 임금노동자 중 22%는 현재 주된 일자리의 실제노동시간이 희망노동시간 보다 긴 ‘과잉노동’ 상태에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과소노동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3%에 불과하다. 둘째, 임금이 다소 줄더라도 노동시간을 줄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 과잉노동 근로자의 9.2%(약 35만 명)에 불과하다. 셋째, 다항 로지스틱 모형을 이용한 노동시간 미스매치 결정요인 분석 결과, 시간당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노동시간이 길수록 과잉노동 상태에 있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에서는 저임금 노동자가 상대적으로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고, 약 22%의 노동자가 실제노동시간이 희망노동시간보다 긴 과잉노동 상태에 처해 있으나 이들 중 대부분은 임금감소를 동반한 노동시간 단축은 원치 않는 상황인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노동시간의 단축과 관련하여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임금이 보전되거나 임금감소가 최소화’되는 노동시간 단축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z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ismatch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work time in Korea. This study mainly relies on a telephone based survey that was implemented in November 2013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or 2,923 salaried employees aged 20-64.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22 percent of salaried employees are over-employed in the sense that they actually work longer than their preferred work time. However, the underemployed are estimated to be merely 1.3 percent of all salaried employees. Second, among the over-employed employees, only 9.2% answered that they would accept less pay for working fewer hours. Third, that over-employment is higher for low-wage workers, higher educated workers, those who work in small establishments, and those who live in Seoul and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low-wage workers tend to work long hours and are over-employed, and they may not want to a cept less pay for working fewer hours in Korea. The main policy implicat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e need for making a plan to reduce working time without large pay cuts through social dialogue in Korea.

      • KCI등재

        대졸자의 실업경험의 낙인효과

        강순희(SoonHie Kang),안준기(JunKi Ahn)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실업의 구조화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실업의 지속적 영향, 이른바 실업의 낙인효과를 상태의존성(true state dependence)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실증하였다. 관찰되지 않는 개인적 이질성과 선택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방법과 차분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사용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패널조사인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의 1차(2006) 및 2차(2007) 조사자료로서 모집단은 2004년 8월과 2005년 2월에 졸업한 전국의 전문대 이상 대학졸업자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년도에 실업상태에 있었을 경우가 취업상태에 있었을 경우보다 미취업기간을 3~4개월 더 증가시켰으며, 전년도 미취업 개월수가 1개월 증가할 경우 다음 해 미취업기간은 약 0.2개월 증가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을 비교하여 보면, 2006년도의 경우에는 종속변수를 실업 여부나 미취업기간으로 한두 경우 모두에서 남성에게 낙인효과의 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2007년도에는 그 차이가 거의 없어지고 있다. 차분방정식모형에서도 2006년에 2005년에 비하여 미취업기간이 1개월 정도 길어지며, 2007년도의 미취업기간은 2006년에 비하여 약 0.4개월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남성과 여성에 있어 비슷하다. 이와 같이 대졸자에 있어 실업의 낙인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은 일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청년 인턴십 등 청년실업에 대한 정부정책이 균형실업률 또는 자연실업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실업의 예방과 초기의 실업경험을 막기 위하여 단기적 일자리 제공, 교육훈련 투자, 진로ㆍ직업지도와 상당의 확대 및 내실화 등이 여전히 중요한 정책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that the existence of the stigma or scarring effect of unemployment of the college graduate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panel data. To test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we take the methodology of true state dependence test, which verifies if there is any dependency between two states. To control the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we use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and difference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exists true state dependence between previous unemployment and present unemployment of a same person. It means that there exists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in Korea.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is stronger in male than in female in 2006, but almost same in 2007. Those findings imply that preventive and active policies for the youth are more important than ex post facto and passive ones to prevent initial unemployment and/or to reduce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in the youth. Especially, those policies, like internship program, vocational training, counsell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job matching service are much more sui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