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도근시에서 스무딩을 병용한 고등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Advanced Surface Ablation)의 임상성적

        기수,이승욱,이기헌,최봉준,Ki Su Ahn,MD,Seung Wuk Lee,MD,Gi Heon Lee,MD,Bong Joon Choi,MD,PhD 대한안과학회 2012 대한안과학회지 Vol.53 No.3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Advanced Surface Ablation (ASA) coupled with `smoothing` to smooth the ablation surface after covering masking fluid. Methods: ASA was performed in 61 eyes with ablation depth of more than 75 μm. The mean refractive error was -5.88 ± 1.27 D and mean ablation depth was 102.93 ± 12.06 μm. Smoothing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mean depth 16.79 ± 2.43 μm, mean diameter 8.77 ± 0.16 mm). Customized Aspheric Transition zone (CATz) was used in the laser algorithm. Results: The mean refractive error was -0.29 ± 0.41 D at postoperative 6 months and 97% of patients had an UCVA of 1.0 or better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gnitude of high-order aberrations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magnitude of total spherical aberrations increase was 0.084 μm at postoperative 6 months (p<0.05, paired t-test). The cornea was maintained clear in the majority of eyes. Conclusions: Excellent results were obtained by ASA coupled with `smoothing` in high myopia patients with an ablation depth greater than 75 μm.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3):365-371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비밀키를 NAF로 사용하는 암호시스템의 차분 전력분석 공격

        만기 ( Mahn-ki Ahn ),하재철 ( Jae-cheol Ha ),이훈재 ( Hoon-jae Lee ),문상재 ( Sang-jae Moo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4 No.3

        전력 분석 공격은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는 암호 시스템에 대한 물리적 공격이다. 본 논문에서는 타원곡선 암호 알고리듬을 사용하는 스마트 카드가 비밀키를 NAF(non-adjacent form)로 부호화하여 사용하여도 차분 전력분석 공격에 대응할 수 없음을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공격 대상인 비밀키를 모르는 스마트 카드에서 암호 알고리듬 동작 시점부터 측정된 평균 전력 신호와 비밀키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에서 측정된 평균 전력 신호를 차분함으로써 비밀키를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The power analysis attack is a physical attack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ryptosystems such as smartcard. We try to experimental attack to a smart card which implemented Elliptic Curve Cryptosystem adopting NAF algorithm as a secret key recording method. Our differential power analysis attack is a potential threat to that implementation. The attacker measures the power traces during the multiplication with secret key bits in a target smart card and the multiplication with the guessed bits in other experimental one. The comparison of these two traces gives a secret bit, which means that attacker can find all secret key bits successively.

      • KCI등재

        <sup>210</sup>Pb 연대측정에 의한 일본 타호부호수의 토사퇴적속도 변화 분석

        영상,기완,이계한,나카무라 후쯔시,Ahn, Young Sang,An, Ki-Wan,Lee, Kye-Han,Nakamura, Futoshi 한국산림과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1

        $^{210}Pb$ dat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and use changes in the forest catchment on lake sedimentation. The Kushiro River, into which Lake Takkobu drains under regular flow conditions, contributed to an increased sedimentation rate in sampling point at the lake outflow because turbid water from the Kushiro River flows back into Lake Takkobu during floods. The elevated sediment flux from the catchment dilutes the $^{210}Pb$ concentration in sampling points at the inflow of the Takkobu River and the lake outflow, which causes fluctuations in the $^{210}Pb$ concentrations in sediment cores. The $^{210}Pb$ dating was estimated using the CRS (Constant rate of Supply) model. The dates by the CRS model in Lake Takkobu profile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dates by $^{137}Cs$. Sedimentation rates reconstructed for the past 100-150 years suggested that sedimentation rates increased drastically following land use changes. While a natural sedimentation rate of $0.01-0.03g/cm^2/year$ is observed until the 1880s, whereas lake sedimentation accelerated to $0.03-0.09g/cm^2/year$ following land use changes such as deforestation and channelization, between the 1880s and 1940s. In particular, the sedimentation rates have been associated with deforestation, channelization,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since the 1980s, and these rates were about 9-28 times higher than those under natural conditions, leading to accelerated lake shallowing. 산림유역의 토지이용 변화가 호수의 토사퇴적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10}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평상시 타코부호수는 쿠시로강으로 유출되지만 쿠시로강의 수위가 증가하면 역류현상으로 인해 쿠시로강에 유출된 다량의 세립토사가 호수로 유입되고 있어 호수 유출지점의 토사퇴적속도를 증가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호수에서 유출입하는 하천 주변의 토사퇴적물에서 $^{210}Pb$ 농도는 많은 양의 토사 퇴적의 영향으로 $^{210}Pb$ 농도가 희석되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RS 모델의 $^{210}Pb$ 연대측정법을 사용하였고, CRS 모델의 연대는 $^{137}Cs$ 연대(1963년)와 잘 일치하였다. 타코부호수에서 과거 100~150년 정도의 토사퇴적속도를 조사한 결과, 유역에서 인위적 개발이 없는 1880년대 이전 자연상태에서는 토사퇴적량이 $0.01{\sim}0.03g/cm^2/year$였고, 산림벌채와 하천공사가 시작된 1880년대~1940년대에는 $0.03{\sim}0.09g/cm^2/year$으로 토사퇴적이 증가하였다. 특히 유역에서 산림벌채, 하천공사, 농업개발과 임도 개설이 진행된 1980년대 이후에는 토사퇴적속도가 $0.09{\sim}0.84g/cm^2/year$로 자연상태보다 9~28배 증가하여 호수의 수심이 얕아지는 현상을 가속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리튬함유 폐액으로부터 D<sub>2</sub>EHPA에 의한 리튬의 회수

        효진,재우,이기웅,손현태,Ahn, Hyo-Jin,Ahn, Jae-Woo,Lee, Ki-Woong,Son, Hyun-Ta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5

        리튬함유 폐액에서 $D_2EHPA$를 추출제로 사용하여 용매추출법에 의해 리튬의 회수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용액상의 pH, 추출제 농도 및 상비 변화 등 리튬의 추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평형 pH가 증가할수록 리튬의 추출율이 증가하였고, pH 6.0에서 20% $D_2EHPA$에 의해 최대 50%의 리튬 추출율을 보였다. McCabe-Thiele diagram 분석으로 부터 리튬은 상비(O/A) 3.0에서 4단으로 95%이상 추출이 가능하였다. 한편 탈거액으로 황산을 사용하였고, 리튬 탈거의 최적 황산 농도는 90 ~ 120 g/L 이었다. 연속탈거 공정을 통하여 리튬이 11.85 g/L까지 농축 가능하였으며, 이 용액으로 부터 침전법에 의해 탄산리튬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A study on the solvent extraction for the recovery of Li from lithium-containing waste solution was investigated using $D_2EHPA$ as an extractant. The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the pH of the aqueous solution, concentration of extractant and phase ratio were observ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ion percentage of Li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equilibrium pH. More than 50% of Li was extracted in eq. pH 6.0 by 20% $D_2EHPA$. From the analysis of McCabe-Thiele diagram, 95% of Li was extracted by four extraction stage at phase ratio(O/A) of 3.0. Stripping of Li from the loaded organic phases can be accomplished by sulfuric acid as a stripping reagent and 90 ~ 120 g/L of $H_2SO_4$ was effective for the stripping of Li. Finially, Li was concentrated about 11.85 g/L by continuous stripping process, and then lithium carbonate was prepared by precipitation method.

      • KCI등재

        가시오갈피의 부정근 배양시 부정근의 생육과 eleutheroside류의 함량에 미치는 NO<sub>3</sub><sup>-</sup>와 NH<sub>4</sub><sup>+</sup> 비율 및 농도의 영향

        진권,이위영,박영기,Ahn, Jin-Kwon,Lee, Wi-Young,Park, Young-Ki 한국산림과학회 200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6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O_3{^-}$ and $NH_4{^+}$ on the adventitious root growth and eleuthroside synthesi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during 3 L-bioreactor culture. The change of medium component ratio was also measured during culture. The fresh weignt of adventitious root reached to the greatest level of 24.4g FW/L in the presence of 50 mM $NO_3{^-}$ and 10 mM $NH_4{^+}$, representing 3.4-fold increase compared to the 60 mM $NH_4{^+}$. However, as the increase of the portion of $NH_4{^+}$, the root growth was decreased. Maximum eleutheroside B and E1 production were $249{\mu}g/g$ and $43{\mu}g/g$, respectively, with 30 mM total nitrogen source. The maximum production of eleutheroside E were $788{\mu}g/g$ with 120 mM total nitrogen source. The greatest weight of adventitious root increased up to 6.2 fold of inoculum size within 9 weeks. The change of pH was influenced from 4.81 to 6.35 and the amounts of $NH_4{^+}$ and $K^+$ were decreased during culture period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need further study of various treatment to increase the growth of biomass and the accumulation of useful secondary metabilites.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가시오갈피 부정근 증식시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 이차대사산물인 eleuthroside 류 생산에 미치는 $NO_3{^-}$와 $NH_4{^+}$의 영향 및 배양기간에 따른 배지성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부정근 증식은 질소농도가 50 mM $NO_3{^-}$와 10 mM $NH_4{^+}$ 농도비율로 참가된 처리구에서 최대(24.4g FW/L)에 이르러 60 mM $NH_4{^+}$ 첨가에 비해서는 3.4배 증식되었다. 또한 $NH_4{^+}$의 첨가농도비율이 높아질수록 부정근의 증식은 감소하였다. Eleutheroside B와 E1은 총 질소량이 30 mM 처리에서 각각 $249{\mu}g/g$와 $43{\mu}g/g$을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으나, eleutheroside E는 총 질소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산량도 높아져 120 mM에서 $788{\mu}g/g$로 가장 우수하였다. 부정근 생장은 초기 접종량 대비 배양 9주만에 6.2배가 증식되었고, 배양기간별 배지 성분의 변화에서는 산도는 4.81-6.35로 변화가 비교적 심했고, $NH_4{^+}$와 $K^+$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함유량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이차대사산물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04 포스터 발표 : 자연생태 환경 분야(PN) ; PN-02 : 볏짚을 수거한 논에서 퇴액비 이용 동계사료작물 재배시 조사료 생산량 증수효과

        인 ( In Ahn ),이인애 ( In Ae Lee ),윤성근 ( Seong Kun Yun ),김기용 ( Ki Yo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우리나라는 논, 밭, 간척지, 산지 등 여러 유형의 조사료 생산기반이 있으나, 그 중에서 논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국 답리작 재배가능 논 면적은 약 612천 ha에 달한다. 또한 중부지역의 벼 재배면적 51만 7,800 ha의 70 %인 36만 2,500 ha는 논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논 재배 가능한 논의 50 %만 조사료를 재배할 경우 18만 1천ha의 면적에 조사료를 재배할 수 있다. 전국 평균 ha당 사일리지 25톤을 생산한다고 볼 때 약 450만 톤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다(‘14 축산과학원). 한편 논에서 벼+조사료 생산 작부체계에서 볏짚의 수거로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 감소 및쌀 품질저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볏짚 수탈농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답리작 조사료 생산을 위해 논토양 유기물의 관리 및 쌀 품질 저하 방지기술 개발과 가축분뇨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가축분뇨의 토양환원을 확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계 조사료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품종: 코윈어리), 청보리(품종: 영양보리), 호밀(수입종)을 구당 280 ㎡로 하여 처리구는 액비처리구, 퇴비처리구 및 화학비료처리구를 두어 무시비구와 비교하기 위하여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명당리 소재 볏짚을 수거한 논포장에서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종은 전년도 9월 30일에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입모중으로 파종하고 호밀과 청보리는 벼 수확후 10월 15일 산파하였다. 시비량은 국립농업과학원의 처리구별 작물별 시비처방에 따라 해당량을 시비하였다. 수량조사는 2015년 5월 10일 모내기 직전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구당 0.12㎡(0.2 m×0.2 m×3) 내의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하여 수분함량을 제외한 10 a당 건물중으로 환산하였다. 조사 결과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수량(건물중 kg/ha, 수분 66.9%)은 돈분액비 처리구 11,236> 화학비료처리구 10,763> 돈분퇴비처리구 9,924> 무시비구 7,197 순으로 화학비료(100)대비 지수는 돈분액비 104> 돈분퇴비 92> 무시비구 67로 차이가 컷다. 청보리 수량(건물중 kg/ha, 수분 70.0%)은 화학비료 7,197(지수 100)> 돈분액비 7,672(97)> 돈분퇴비 7,412(94)>무시비구 4,814(61) 순 이었다. 호밀 수량(건물중 kg/ha, 수분 66.1%)은 화학비료 9,551(지수 100)> 돈분액비 8,946(94)> 돈분퇴비 8,611(90)> 무시비구 5,707(60)을 나타 내었다. 돈분액비가 가장 증수효과가 컷는데 이는 봄철 가뭄으로 액비의 수분공급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위 조사결과로 볼 때 처리구간 차이는 있었지만 중부지역 논에서 돈분 퇴액비를 이용한 동계 조사료 재배시 볏짚수탈에 따른 양분공급을 퇴액비로 보충한다면 충분히 경제적인 조사료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년차 시험결과이므로 향후 계속시험을 통하여 안정적 조사료 안정생산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가축분뇨를 이용한 논토양의 유기물 증진을 통하여 고품질 쌀을 생산하고 답리작으로 동계 사료작물을 생산 축산농가의 조사료 공급을 확대하므로서 축산농가의 분뇨처리 애로를 해소하는 한편 경종농가 소득도 향상할 수 있는 친환경 경축순환농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