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산(大山) 학파의 중화(中和) 논쟁과 그 의미 ―‘성(性)·도(道)’와 관련성을 중심으로―

        안영상 한국동양철학회 2005 동양철학 Vol.0 No.23

        Among the pupils of Daesan Lee Sang-jeong were several controversies over the question of how ‘Solseongjiwido’(率性之謂道; following the nature is the Way), ‘Jung Wha’(中和: balance and harmony) and ‘Seongchedoyong’(性體道用; the nature is substance and the Way is function) should be connected with one another and understood. First, there was Lee Jong-su's logic that viewed ‘Seongche’ (性體) in Seongchedoyong as ‘Mibal’ (未發; prior to emergence of experiential makers of the world of concrete existence) and ‘Doyong’ (道用) as ‘Ibal’(已發; emerged into reality). However, Do (道: the Way) was said to exist within Mibal area in the system of Neo- Confucianism, Lee Jong-su failed to win support and disappeared. Therefore, there was logic that viewed Seongchedoyong as an area of Mibal. By the way, the logic was divided into two direction. Lee Wan applied Seongchedoyong with acknowledging only ‘Jungjeukdo’ (中卽道; balance is the Way) but not ‘Jungjeukseong’(中卽性; balance is nature). On other hand, Ryu Beom-hyu applied Seongchedoyong with acknowledging both ‘Jungjeukdo’ and ‘Jungjeukseong’. He considered viewed Seong (性), Jung (中) and Do (道) as identical. After all, Ryu Beom-hyu's logic became the main stream of the Daesan School and was handed down to Ryu Chi-myeong. This study examined through Hakbutongbyeon(學篰通辯) that the logic acknowledging ‘Jungjeukseong’ is different from general Neo-Confucianism. In addition, we reviewed that the controversy proceeded in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controversy between Lee Gan and Han Won-jin in Horak controversy(湖洛論爭). In this process was derived the logic that Sim (心; mind), Seong (性; nature) and Jeong (情; emotion) can be coherent as a single principle. This study also makes it clear that this mainly came from spontaneously developed logic inside rather than from outside. 조선 후기 영남지역의 대산 이상정의 문하에서는 중용의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와 ‘중화(中和)’, 그리고 그와 관련된 ‘성체도용(性體道用)’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로 여러 가지 논쟁이 일어났다. 먼저 성체도용(性體道用)에서 성체를 미발(未發), 도용을 이발(已發)로 보는 이종수의 논리가 있었다. 주자학 체계에서 도는 미발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종수의 논리는 설득력을 얻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성체도용을 미발의 영역으로 보는 논리가 있었다. 그랬을 경우 ‘중즉성(中卽性)’은 인정하지 않고 ‘중즉도(中卽道)’만 인정하는 상태에서 성체도용을 적용시키는 이완과, ‘중즉성’과 ‘중즉도’를 모두 인정한 상태에서(性-中-道를 같은 것으로 보려는 논리) 성체도용을 적용시키는 유범휴의 논리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유범휴의 논리가 대산학파의 주류가 되었고, 유치명에게 전달되었다. 논자는 이 과정에서 특히 중즉성을 인정하는 논리는 일반적인 성리학과 다르게 심학적 요소가 있다는 것을 학부통변과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것이 호락논쟁에서의 외암 이간과 남당 한원진과의 논쟁과 다른 차원에서 진행되었다는 것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심성정이 하나의 리로 일관될 수 있다는 논리가 도출되는데, 논자는 이것이 외부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내부의 자생적 논리 발전에 힘입은 바가 큰 것임을 밝혀 보았다.

      • KCI등재후보

        양명학과 천주교의 비교를 통해 본 성호(星湖) 공동체론의 특징

        안영상 한국동양철학회 2004 동양철학 Vol.0 No.21

        유교의 인(仁)이나 기독교의 아가페는 남을 사랑하여 그 남과 하나 됨 (Oneness) 이 기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모든 사람들이 한 가족처럼 지내야 한다는 대전제는 유교냐 천주교가 다르지 않다. 그런데 ‘내가 남과 하냐가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이고 어떤 상태인가에 대한 견해는 유교와 천주교가 서로 다르다. 천주교가 동아시아에 전래되면서 인과 아가페가 서로 같다는 것이 확인되기도 하였고 또 더 이상 합치되기 어려운 부분들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 논자는 이 글에서 유교와 천주교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개인과 공동체간의 관계 양상에 의해 설명해 보고, 이를 근거로 성호의 공동체론의 특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언이 공동체를 구성해 하는 과정에서 유교 특히 양명학 전통에서는 나와 남이 합쳐진 상태를 만물일체라고 하고 그것을 인이라고 하였다 . 기독교에서는 두 사람의 마음이 하나가 되는 것을 우정, 혹은 까페라고 한다. 그런데 전자는 관계망 relation web) 에서만 의미를 가지는 관계적 개인 (relative individual) 이라는 특징을 드러낸다. 후지는 천당과 지옥의 심판을 기다리는 오직 특수한 한 개인만이 가지는 영혼에 근거 환 실체적 개인 (substantial individual) 이라는 특정을 보인다. 천주교 선교사들은 양명 혁에서 실체적 개인을 인정하지 않는 만물일체의 공동체관을 ‘동체지동 (同體之同)’이라 고 비판하였다. 그러면서 그들은 개인의 실체가 먼저 인정되고 그 실체들 간의 관계에 서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일종의 ‘동체지이 (同體之異)’라고 할 수 있다. 두 이론의 차이가 이 글의 일차적 분석 대상어다. 성호 이익은 서양 선교사들이 공동체에 관하여 중요하게 언급하였던 『 천주실의』, 『교우론』, 『칠극』, 『주재군정』을 읽었고, 여기에 대하여 비평을 하였던 학자이다, 그리 고 양명학의 만물일체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성호는 이들과의 직접적인 연관 성을 언급하지는 않으면서 자신의 공동체론으로 ‘통체지사 (同體之私) ’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안하였다. 이 ‘동체지사’에서 말하는 개인은 천주교처럼 완전히 실체적 개인을 의미하지도 않고 양명학처럼 개인을 하나의 관계망 안에 완전히 포섭사키지도 않는다. 보는 각도에 따라 이 물의 관점을 지행(止揚) 하려는 태도가 스며있다고 볼 여지가 있다는 것이 이 글의 2 차적 분석 대상이다. On the surface, “benevolence” (ren 仁) in Confucianism and agape in Christianity both seem to convey the simple message that one love others for a1l to achieve “oneness” with each other Indeed, since the introduction of Catholicism to East Asia In the fifteenth century, many Catholic missionaries attempted to synthesize the two concepts to poitray an impression m the Chinese mat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are compatible Their efforts, however, met with mixed levels of success, and attempts for synthesis continue to this day. This paper will address the challenges of such synthesis through a study of the ideal community in the writings of a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Songho Yi Ik(星湖 李瀷, 1681-1763). In general, benevolence in Confucianism refers to the situation in which “you” and “ I ” are 1n the state of “ myriad things as one body ” (wanwu yiti 萬物一體). However, “agape,” or “ friendship,” in Catholicism is the unity of the wills of two or more people. The two concepts primarily differ in their recognition of the individual as a separate substance The former does not grant such recognition, since the individual is subsumed within me web of relatjonships which define him The famous Catholic missionary Matt% Ricei (1552-1610) summed up this Confucian view as “ commonality within one body ” (tongti zhi tong 同體之同).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first recognizes the individual as a separate substance, and oneness is achiev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learly substandal individuals. I lakl this Catholic view as “substantial individuals within one body ” (tongti zhi yi 同體之異). Songho recogni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fucian and Catholic views of “oneness,” and suggested a new concept, which he called, "individual elements within one body” (tongti zhi si/K. tongch'e ji sa 同體之私). In this paper, I will contrast and assess the key charactgristics in these three concepts of “oneness.”

      • KCI등재

        퇴계 만년정론을 중심으로 본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논쟁

        안영상(安泳翔)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이 글은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논쟁에서 퇴계가 논쟁의 마지막 부분에서 퇴계가 고봉의 설을 승인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퇴계는 사단은 리지발 칠정은 기지발이라는 도식을 견지하였다. 그리고 논쟁이 진행되면서 고봉도 리지발과 기지발을 인정하면서도 리지발을 사단과 중절한 칠정으로 기지발을 부중절한 칠정으로 보면서, 여전히 중절한 칠정과 사단은 같다고 하여 퇴계의 설에 반대하였다. 그런데 고봉은 이 논쟁이 끝날 무렵 사단 리지발은 확충해야 하고 칠정 기지발은 중절해야한다고 하여 퇴계의 설을 인정하는 태도를 취하면서도 리지발은 사단과 중절한 칠정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런데 여기에 대하여 퇴계는 사단과 중절한 칠정을 다 같이 리지발로 볼 수 있다는 고봉의 논리를 승인하는 것 같은 대답을 하였는데, 이것은 사단과 칠정의 엄격한 분리를 주장했던 기존의 그의 주장과 다른 것이다. 이것이 후대학자들은 많은 영향을 끼친 퇴계 만년정론이다. 이 글은 이것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그 실질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Lee Whang(李滉 Toegye; 1501~1570) approving these of Gidaeseoung(奇大升 Gobong; 1527~1572) in last part of their four-seven debate, even though it is generally known that Gidaeseoung gave up Lee Whang. In fact, in the process of this debate, Lee Whang keeps on insisting that Sadan (four beginnings; 四端) is Ligibal(issuance of Li 理之發), though Chiljeong(seven emotions; 七情) is Qigibal(issuance of Qi; 氣之發). Gidaeseoung also referred to Ligibal and Qigibal, which is different from meaning of Lee Whang's mentioning. Gidaeseoung's mentioning Ligibal is the regulation of Chiljeong(七情之中節) which is same meaning of Sadan, Qigibal is irregulation of Chiljeong. By the way, in the last part of this debate, Gidaeseoung send Lee Whang equivocal conclusion that Sadan is Ligibal for needing to expand moral emotion, Chiljeong is Qigibal for needing to regulate general emotion which is apt to falling evil, on the other hand with not giving up previous these he insist that Sadan is only the regulation of Chiljeong. After Lee Whang receiving Gidaeseoung's this letter, he reply to Gidaeseoung that he has mistakable possibility in mentioning that especially sage's regulation of Chiljeong is not Ligibal. This implies to agrement to Gidaeseoung's these and being different from Lee Whang himself's previous these. It is called Treatise on Last Theory of Toegye which impacted on later scholar of Toegye's school.

      • KCI등재

        조선후기 사상사에 나타난 절대자와 개인의 관계 양상의 일단면*? 동학의 성리학적 근거를 중심으로 ?

        안영상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3 No.-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Neo-Confucian ground, one of sever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hilosophy of Choi Je‐woo, the founder of Donghak. Choi Je‐woo(崔濟愚) suggested a downward direction for a transcendental god with personality called Sangje(上帝: the Lord of Heaven) to come down to individuals through the logic of Muwiyihwa (無爲而化; the change of non-doing) and a upward direction for individuals to approach the Absolute through the logic of Susimjeonggi (守心正氣 keeping mind and straightening vital energy). In addition, he introduced the Taoistic element called Yeongyak (靈藥: miraculous medicine). The researcher demonstrated that the basic motive of Sangje and Yeongyak was the influence of Nam Yong‐man(南龍萬), a Neo-Confucian who acted based on the Gyeongju area and showed the traditional sentiment. In addition, this study viewed that Muwiyihwa was handed down to Choi Je‐woo through Toigye Lee Hwang(退溪 李滉) – Lee Sang‐jeong(李象靖) – Choi Ok (崔옥(沃+玉): Choi Je‐woo’s father), and Susimjeonggi through Yulgok Lee Yi(栗谷 李珥) – Lee Gan(李柬) – Song Chi‐gyu(宋時烈) – Hong Jik‐pil(洪直弼) – Choi Rim(崔林; Choi Je‐woo’s teacher). After all, before Choi Je‐woo, there were Nam Yong‐man who represented the traditional sentiment, Choi Ok who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Toigye’s school, and Choi Rim who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Yulgok’s school in the Gyeongju area, and Choi Je‐woo integrated these logics and redef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Absolute and individual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e late Chosun Dynasty. 이 글은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의 사상을 가능하게 했던 여러 요소 중에 성리학적 근거를 탐색하는 것이다. 최제우는 무위이화(無爲而化)라는 논리를 통해 상제라는 초월적 인격신이 개인에게 내려오는 하향적 방향과 수심정기(守心正氣)라는 논리를 통해 개인이 그 절대자에 다가가는 상향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영약(靈藥)이라는 도교적 요소를 개입시켰다. 논자는 상제와 영약의 기본 모티브에는 경주지역에 활동하면서 전통적 정서를 보였던 성리학자 남용만의 영향이 있었음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무위이화는 퇴계-이상정-최옥(최제우의 아버지)을 거치면서 최제우에게 계승되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수심정기는 율곡 ­ 이간 ­ 송치규 ­ 홍직필 ­ 최림(최제우 의 스승)을 거쳐 최제우에게 계승되었다고 보았다. 결국 최제우 이전 경주지역에는 전통정서를 대변하는 남용만, 퇴계학파의 전통을 계승해 온 최옥, 율곡학파의 전통을 계승해 온 최림이 있었고, 최제우는 이들 논리를 통합하여 조선후기 사상사에서 절대자와 개인의 관계를 새롭게 구성한 것이었다.

      • KCI등재

        佛敎와 天主敎의 比較를 통해 본 朝鮮 性理學 社會의 孝倫理의 哲學的 基盤 : 理一分殊論을 中心으로

        안영상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7 No.-

        Generally, the main character of Eastern Asian society is referred to collectivism without individualism. It could be found in Buddhism’s Dongchedaebi( 同體大悲:Great compassion born oneness), Cheong Zhu school’s Liylbunsu(理一分殊: One principle and many manifestation) and Yangming school’s manmulilche(萬物一體 All things as One body). Also it’s meaning is apprehended distinctly through the Catholic n missionary’s criticizing them. Though all of them is based on collectivism. the Liylbunsu is different from Dongchedaebi and manmulilch, The Liylbunsu is unification between universal family( one world family 天下一家) and blood real family, and Cheong Zhu scholar with such a criterion criticize that Dongchedaebi has only the meaning of universal family, but no blood real family. Therefore Confucian’s filiality on founded on blood real family lead to emphasize on self consciousness, comparing it with Dongchedaebi based on non-self consciousness(無我). However such a Confucian‘s self consciousnessdoes could not reveal as independent substance as Catholic’s. Missionary still considers it absence of individual self consciousness. Because there is only meaning of relative self consciousness within blood family without independent individual consciousness 동아시아 사회의 특징으로 개인주의(individualism)의 부재에 의한 집산주의(collectivism)가 자주 언급된다. 이러한 면모는 불교의 同體大悲, 성리학의 理一分殊, 양명학의 萬物一體에서 찾아볼 수 있고, 또 이것들에 대한 천주교의 선교사들의 비판에서 그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런데 같은 집산주의라고 해도 동체대비와 이일분수는 서로 다르다. 이일분수는 無我에 기반한 보편적 합일을 말하는 불교의 동체대비를 비판하면서 천하일가라는 보편가족과 혈연적 자기가족을 통일시키는 논리이다. 혈연적 자기가족에서 출발하는 孝는 자기의식을 배제시키려는 無我를 비판하면서 자기의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간다. 하지만 그 개인의식은 혈연가족 내에서는 한정됨으로 해서 천주교의 아가페와 같은 독립된 개인의식을 보여주지 못한다. 즉 ‘천하일가’라는 커다란 집단 안에 또 ‘가족 중심’이라는 집단주의가 존재하는 그러한 양상을 띠는데, 여기에서 효의 이념이 절대적 가치로 작동하면서 그것을 밑받침한다.

      • KCI등재

        <sup>210</sup>Pb 연대측정에 의한 일본 타호부호수의 토사퇴적속도 변화 분석

        안영상,기완,이계한,나카무라 후쯔시,Ahn, Young Sang,An, Ki-Wan,Lee, Kye-Han,Nakamura, Futoshi 한국산림과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1

        $^{210}Pb$ dat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and use changes in the forest catchment on lake sedimentation. The Kushiro River, into which Lake Takkobu drains under regular flow conditions, contributed to an increased sedimentation rate in sampling point at the lake outflow because turbid water from the Kushiro River flows back into Lake Takkobu during floods. The elevated sediment flux from the catchment dilutes the $^{210}Pb$ concentration in sampling points at the inflow of the Takkobu River and the lake outflow, which causes fluctuations in the $^{210}Pb$ concentrations in sediment cores. The $^{210}Pb$ dating was estimated using the CRS (Constant rate of Supply) model. The dates by the CRS model in Lake Takkobu profile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dates by $^{137}Cs$. Sedimentation rates reconstructed for the past 100-150 years suggested that sedimentation rates increased drastically following land use changes. While a natural sedimentation rate of $0.01-0.03g/cm^2/year$ is observed until the 1880s, whereas lake sedimentation accelerated to $0.03-0.09g/cm^2/year$ following land use changes such as deforestation and channelization, between the 1880s and 1940s. In particular, the sedimentation rates have been associated with deforestation, channelization,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since the 1980s, and these rates were about 9-28 times higher than those under natural conditions, leading to accelerated lake shallowing. 산림유역의 토지이용 변화가 호수의 토사퇴적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10}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평상시 타코부호수는 쿠시로강으로 유출되지만 쿠시로강의 수위가 증가하면 역류현상으로 인해 쿠시로강에 유출된 다량의 세립토사가 호수로 유입되고 있어 호수 유출지점의 토사퇴적속도를 증가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호수에서 유출입하는 하천 주변의 토사퇴적물에서 $^{210}Pb$ 농도는 많은 양의 토사 퇴적의 영향으로 $^{210}Pb$ 농도가 희석되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RS 모델의 $^{210}Pb$ 연대측정법을 사용하였고, CRS 모델의 연대는 $^{137}Cs$ 연대(1963년)와 잘 일치하였다. 타코부호수에서 과거 100~150년 정도의 토사퇴적속도를 조사한 결과, 유역에서 인위적 개발이 없는 1880년대 이전 자연상태에서는 토사퇴적량이 $0.01{\sim}0.03g/cm^2/year$였고, 산림벌채와 하천공사가 시작된 1880년대~1940년대에는 $0.03{\sim}0.09g/cm^2/year$으로 토사퇴적이 증가하였다. 특히 유역에서 산림벌채, 하천공사, 농업개발과 임도 개설이 진행된 1980년대 이후에는 토사퇴적속도가 $0.09{\sim}0.84g/cm^2/year$로 자연상태보다 9~28배 증가하여 호수의 수심이 얕아지는 현상을 가속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he Four-Seven Debate in Silhak: On the Gong Hino Ribal Theory of the Seongho School

        안영상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4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1

        This paper examines the gong hino ribal (公喜怒理發) theory in Silhak (實學), which was the center of debate in the Seongho (星湖) school of thought. There were two main debates. The first was the distinction between cosmology and morality. Yulgok (栗谷) claimed gibal iseung ji (氣發理乘之), stating the necessity to understand sadan chiljeong (四端七情,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ory in the extension of the universe’s process of change. However, Seongho claimed that the dimension of sadan chiljeong, namely the mind of humans in which good and evil generated, was different from the mindless natural world. Furthermore, those members of the Seongho school asserting the gong hino ribal theory adopted that idea and claimed that Yulgok was right in cosmology, in which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while Toegye (退溪), who explained good and evil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ribal (理發, the issuance of ri) and gibal (氣發, the issuance of gi), was right in morality. This w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Four-Seven theory by differentiating the moral world from the natural world. Secondly, those who asserted the gong hino ribal theory rejected the Toegye school’s common theory that ribal explained sadan (四端, the Four Beginnings) and gibal explained chiljeong (七情, the Seven Feelings) and created a new scheme that ribal was considered to be gong (公) and gibal was considered to be sa (私). A sage’s gong chiljeong (公七情), which is appropriately moderated, namely gong hino (公喜怒), is still categorized as ribal because, despite being chiljeong, it is still gong. This is the gong hino ribal theory, which invalidated the received distinction between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while searching for a new distinction. As a result, scholars who upheld the existing distinction came into conflict with those who supported the new distinction, which led to a division within the Seongho school of though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