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체로 읽는 신카이 마코토의 <너의 이름은. 군(君)の명(名)は.> : 이름 없이는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

        안윤경,김현석,Ahn, Yoon-kyung,Kim, Hyun-su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0

        Makoto Shinkai, an animated film maker in Japan, has been featured as a one-person production system and as a 'writer of light', but his 2016 release of "Your Name" was a departure from the elements that characterize his existing works. At the same time,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musubi(むすび) story, ending these, it was a big hit due to its rich narratives and attraction of open interpretation possibility. As it can be guessed from the title of this work, this work shows the encounter between the Japanese ancient language and the modern language in relation to the 'name', and presents the image that the role of the name(language) is repeatedly emphasized with various variations in events for the perfect 'encounter'. In this work, the interpretations of $Signifi\acute{e}$ for characters and objects are extended and reserved as a metaphorical role of the similarity,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subject which they touch.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e of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is an epoch-making ideological discovery of modern times revealed through F. Saussure.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this and that from the notion of Saussure, Derrida dismissed logocentrism, rationalism that fully obeyed the order of Logos. Likewise, dismissing the center, or dismissing the owner had emerged after the exclusive and closed principle of metaphysics in the west was dismissed. Derrida's definition of 'deconstruction' is a philosophical strategy that starts with the insight on the nature of language. 'Dissemination,' a metaphor that he used as a methodological concept to read texts acts as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r play), but does not pursue an ultimate interpretation. His 'undecidability' does not start with infinity, but ends with infinity. The researcher testifies himself and identifies that we can't be an interpreter of the world because we, as a human are not the subject of language but a user. Derrida also interpreted the world of things composed of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as open tex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d to read Makoto's works telling about the meeting of a thing and a thing with name as a guide, based on Derrida's frame of 'deconstruction' and 'dissemination.' This study intends to re-consider which relationship the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have with human beings who live in modern time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presented in this work through Jacques Derrida's destruction and dissemination concepts, and recognize that we are merely a part of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Just as Taki and Mitsuha confirm the existence by asking each other, we are in the world of things, expecting musubi that a world of names calls me.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는 1인 제작 시스템과 '빛의 작가' 로 주목 받으며 등장했으나 그의 2016년 개봉작 <너의 이름은.>은 그러한 기존의 그의 작품을 특징지은 요소들로부터 상당부분 스스로 탈피한 모습을 보임과 동시에 일본 전통적 인연설인 무스비 테제의 결합으로 내러티브의 풍부함과 열린 해석 가능성의 매력으로 흥행은 물론 앞으로의 작품에 대한 기대감까지 한껏 고조시켰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 '이름'에 관한 일본 고대 언어관과 현대 언어관의 만남이 나타나며 온전한 '만남' 을 위해 이름(언어)의 역할이 사건 속에서 다양한 변주로 반복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작품에서는 인물들도, 사물들도 접촉하는 주체의 뜻에 따라 그 기의가 유사성의 은유적 역할로 해석이 확장, 유보된다. 기표와 기의라는 구조를 통해 분석된 말과 사물의 관계는 소쉬르를 통해 나타난 현대의 획기적인 사상적 발견이다. 데리다는 소쉬르의 이 개념에서 사물을 비로소 존재하게 하는 '차이' 에 주목하며, 로고스의 명령에 충실해 온 서구의 로고스 중심주의, 이성 중심주의를 해체한다. 이처럼 서구 형이상학의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원리가 해체된 이후 대두되게 된 것은 중심의 해체, 주체의 해체이다. 데리다는 이처럼 해체주의를 표방하며 그 동안의 이성 중심주의에 의해 배제되어왔던 수많은 약소자들 및 타자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어떻게 타자들의 부름에 응답하고 그들을 환대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데리다의 '해체'개념은 언어의 본성에 대한 통찰을 출발점으로 하는 철학적 전략이다. 그가 텍스트를 읽는 방법적 개념으로 등장시킨 은유인 '산종(dissemination, 散種)'은 해석 실천(혹은 유희의 방법)으로 작용하며, 어떤 종국적인 해석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의 '결정 불가능성'은 그 출발은 무한성이 아니지만 귀결되는 종착지는 무한성이다. 연구자는 인간이 언어의 주체가 아닌 언어의 사용자의 입장이기에, 데리다 역시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사물의 세계를 열린 텍스트로 해석함으로써 우리 역시 세계의 해석자가 될 수 없음을 스스로 증언했다고 파악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의 프레임을 통해 사물과 이름의 이야기, 이름을 통한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는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을 읽어보고자 한다. 또한 기표와 기의의 구조가 이 작품 속에서,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인간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제고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 개념을 통해 작품에 나타난 말과 사물의 관계를 살펴보며, 기표와 기의로 세계를 파악하는 우리 역시도 곧 기표와 기의의 일부에 다름없음을 확인한다.

      • KCI등재

        Solid Phase Microextraction 및 Purge & Trap을 이용한 생물시료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GC/MS 분석비교

        안윤경,서종복,홍종기,Ahn, Yun-Gyong,Seo, Jong-Bok,Hong, Jongki 한국분석과학회 2001 분석과학 Vol.14 No.5

        생물시료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n-butylbenzene과 1,2-dibromo-3-chloropropane (DBCP)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시료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100{\mu}m$ polydimethyl siloxane (PDMS) fiber를 사용하여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 (SPME) 및 purge & trap 방법에 의해 추출 및 비교하였다. SPME에 의한 회수율은 n-butylbenzene의 경우 85.8%, DBCP의 경우 92.4%로 나타났고 검출한계는 각각 $0.15{\mu}g/kg$, $0.05{\mu}g/kg$로 나타났다. 반면, purge & trap의 경우 회수율은 n-butylbenzene의 경우 115.2%, DBCP의 경우는 80.9%로 나타났고 검출한계는 각각 $0.04{\mu}g/kg$ 및 $0.70{\mu}g/kg$로 나타나 두 방법에 있어 국내에서 규제하는 검출한계측면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The analysis of n-butylbenzene and 1,2-dibromo-3-chloropropane (DBCP)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biota samples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mode. The target compounds, n-butylbenzene and DBCP, in biota samples were extracted by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with $100{\mu}m$ polydimethyl siloxane (PDMS) fiber and purge & trap method. The extraction recoveries of these compounds obtained by SPME was 85.8% for n-butylbenzene and 92.4% for DBCP, respectively. Each value of method detection limit were $0.15{\mu}g/kg$ and $0.05{\mu}g/kg$, respectively. While in the case of purge & trap method, the extraction recovery was 115.2% for n-butylbenzene, 80.9% for DBCP and method detection limit were $0.04{\mu}g/kg$ and $0.70{\mu}g/kg$, respectively. The extraction yields and detection limits of these compounds obtained by purge & trap were equivalent to those by SPME.

      • KCI등재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감정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안윤경,김선희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학연구 Vol.21 No.3

        The importance of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nd many studies related to this issue have been conducted. But, studies of problem solving in the aspect of affect domain are lacked. This study found the changing pattern of emotions that occur in process of a problem solving.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students experienced a lot of change of emotions and had a positive emotion as well as negative emotion during solving problems. Second, students who solved same problems through same methods experienced different change patterns of emotions. The reason is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mathematical beliefs and think differently about a difficulty level of problem. Third, whether students solved problems with positive emotion or negative emotion depends on their attitude of mathematics. Fourth, students who thought that a difficulty level of problem was relatively high experienced more negative affect than students who think a difficulty level of problem is low experienced. 수학 교육에서 문제 해결에 대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정의적 측면에서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감정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여러 차례의 감정 변화를 경험했고, 긍정과 부정의 감정이 공존해서 나타났다. 둘째, 같은 문제를 동일한 풀이 방법으로 해결하였지만 감정 변화가 다른 이유는 학생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신념과 겉보기 난이도 때문이었다. 셋째, 학생이 문제 해결에서 긍정이나 부정의 감정을 느끼는 것은 수학적 태도와 관련이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문제에 대한 겉보기 난이도가 ‘상’일 때 ‘하’보다 부정적 감정을 많이 경험했지만 문제 해결 후 성취감은 더 컸다.

      • KCI등재

        해체로 읽는 신카이 마코토의 <너의 이름은. 君の名は.> : 이름 없이는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

        안윤경,김현석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0

        Makoto Shinkai, an animated film maker in Japan, has been featured as a one-person production system and as a ‘writer of light’, but his 2016 release of "Your Name" was a departure from the elements that characterize his existing works. At the same time,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musubi(むすび) story, ending these, it was a big hit due to its rich narratives and attraction of open interpretation possibility. As it can be guessed from the title of this work, this work shows the encounter between the Japanese ancient language and the modern language in relation to the 'name', and presents the image that the role of the name(language) is repeatedly emphasized with various variations in events for the perfect 'encounter'. In this work, the interpretations of Signifié for characters and objects are extended and reserved as a metaphorical role of the similarity,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subject which they touch.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e of Signifiant and Signifié is an epoch-making ideological discovery of modern times revealed through F. Saussure.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this and that from the notion of Saussure, Derrida dismissed logocentrism, rationalism that fully obeyed the order of Logos. Likewise, dismissing the center, or dismissing the owner had emerged after the exclusive and closed principle of metaphysics in the west was dismissed. Derrida’s definition of ‘deconstruction’ is a philosophical strategy that starts with the insight on the nature of language. ‘Dissemination,’ a metaphor that he used as a methodological concept to read texts acts as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r play), but does not pursue an ultimate interpretation. His ‘undecidability’ does not start with infinity, but ends with infinity. The researcher testifies himself and identifies that we can’t be an interpreter of the world because we, as a human are not the subject of language but a user. Derrida also interpreted the world of things composed of Signifiant and Signifié as open tex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d to read Makoto’s works telling about the meeting of a thing and a thing with name as a guide, based on Derrida’s frame of ‘deconstruction’ and ‘dissemination.’ This study intends to re-consider which relationship the Signifiant and Signifié have with human beings who live in modern time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presented in this work through Jacques Derrida's destruction and dissemination concepts, and recognize that we are merely a part of Signifiant and Signifié. Just as Taki and Mitsuha confirm the existence by asking each other, we are in the world of things, expecting musubi that a world of names calls me.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는 1인 제작 시스템과 ‘빛의 작가’ 로 주목 받으며 등장했으나 그의 2016년 개봉작 <너의 이름은.>은 그러한 기존의 그의 작품을 특징지은 요소들로부터 상당부분 스스로 탈피한 모습을 보임과 동시에 일본 전통적 인연설인 무스비 테제의 결합으로 내러티브의 풍부함과 열린 해석 가능성의 매력으로 흥행은 물론 앞으로의 작품에 대한 기대감까지 한껏 고조시켰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 ‘이름’에 관한 일본 고대 언어관과 현대 언어관의 만남이 나타나며 온전한 ‘만남’ 을 위해 이름(언어)의 역할이 사건 속에서 다양한 변주로 반복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작품에서는 인물들도, 사물들도 접촉하는 주체의 뜻에 따라 그 기의가 유사성의 은유적 역할로 해석이 확장, 유보된다. 기표와 기의라는 구조를 통해 분석된 말과 사물의 관계는 소쉬르를 통해 나타난 현대의 획기적인 사상적 발견이다. 데리다는 소쉬르의 이 개념에서 사물을 비로소 존재하게 하는 ‘차이’ 에 주목하며, 로고스의 명령에 충실해 온 서구의 로고스 중심주의, 이성 중심주의를 해체한다. 이처럼 서구 형이상학의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원리가 해체된 이후 대두되게 된 것은 중심의 해체, 주체의 해체이다. 데리다는 이처럼 해체주의를 표방하며 그 동안의 이성 중심주의에 의해 배제되어왔던 수많은 약소자들 및 타자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어떻게 타자들의 부름에 응답하고 그들을 환대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데리다의 ‘해체’개념은 언어의 본성에 대한 통찰을 출발점으로 하는 철학적 전략이다. 그가 텍스트를 읽는 방법적 개념으로 등장시킨 은유인 ‘산종(dissemination, 散種)’은 해석 실천(혹은 유희의 방법)으로 작용하며, 어떤 종국적인 해석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의 ‘결정 불가능성’은 그 출발은 무한성이 아니지만 귀결되는 종착지는 무한성이다. 연구자는 인간이 언어의 주체가 아닌 언어의 사용자의 입장이기에, 데리다 역시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사물의 세계를 열린 텍스트로 해석함으로써 우리 역시 세계의 해석자가 될 수 없음을 스스로 증언했다고 파악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의 프레임을 통해 사물과 이름의 이야기, 이름을 통한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는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을 읽어보고자 한다. 또한 기표와 기의의 구조가 이 작품 속에서,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인간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제고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 개념을 통해 작품에 나타난 말과 사물의 관계를 살펴보며, 기표와 기의로 세계를 파악하는 우리 역시도 곧 기표와 기의의 일부에 다름없음을 확인한다.

      • KCI등재

        자아를 찾아 떠난 인조인간과 비유에 갇힌 인간 :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읽는 <이노센스>

        안윤경,장인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4

        The definition of human being that had been discovered in modern times has now come to an end. The researcher wants to discuss this study in the hope that new definition of human being birth will be discovered. Human beings finally have come to an age of awakening themselves, in which they had anxiety about human beings making an artificial human, a cyborg, this researcher wants to interpret the fact that human beings who have enjoyed a sense of “subjectivity” being born in the world of language are not different from an artificial human cyborg created by human in principle. In order to identify a authentic human being as a life-bearing human being, human being must has the subjective "ego" distinguishable from a cyborg. This researcher wants to argue that this self can only be an ego when it is a concept of life itself, neither a sense of superiority in biological birth nor a feeling made by a memory of childhood. As the comment by Yuval Noah Harari, If human being is after all only a proc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 is a life of human being worth making possible the flow of information? If so, human being is no more than a mechanical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not an information system itself? If human being is only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uman is no different from an artificial human cyborg who have no ego. Life begins with reality. It can be a "Being" with ego when it is the definition of reality (entity) distinguishable from others, not being duplicated like a program. It is only by the presence of the self that it becomes the subjectivity. The subjectivity is the owner who literally controls it and can say 'I', so it must have a 'view point' and be able to interpret who it is. There have been countless different types of man-made human beings, and these human studies and challenges show the belief and desire that human being’s identity will also be completed by making the form of cyborg resemble human being. But when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life, the researcher argues that the human being's form does not make the human being, but rather the human's mind is a factor of becoming human being, and want to recognize as a matter of another discove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human being does not look at artificial huma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nnocence> through Jacques Lacan's concept of psychoanalytic subject, but take a fresh look at human being and artificial human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in other words the fundamental condition that enables human being and cyborg. 근대에 발견되었던 인간 개념은 이제 종말을 맞이했다. 연구자는 인간 탄생의 새로운 개념이 발견될 것을 기대하며 본 연구를 논하고자 한다. 인간은 인조인간 곧 사이보그를 만듦으로써 비로소 인간 자신에 대한 긴장감 있는 자각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언어의 세계에서 태어남으로서 주체의 효과를 누려온 인간 역시도 그 원리로는 만들어진 존재, 인조인간에 다를 바 없음에 대한 사실을 해석하고자 하며, 진정한 인간 곧 생명의 존재로서의 인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이보그와의 변별성 있는 주체적 ‘자아’가 있어야 하며, 이 ‘자아’는 유년기의 기억으로 만들어지거나 생물학적 탄생의 우월감이 아닌, 생명 그 자체 개념이어야만 비로소 자아일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유발 하라리의 말처럼 인간이 결국 정보 처리의 과정에 불과하다면, 인간의 생명이라는 것은 정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데 가치가 있는가? 그렇다면 인간은 정보 자체도 아닌, 하나의 기계적 조작 시스템 그 이상이 아니라는 말인가? 정보 처리 과정에 불과하다면 인간은 자아가 없는 인조인간에 다를 바 없다. 생명은 실체로부터 시작된다. 프로그램처럼 복제되는 것이 아닌 실체의 개념이어야 타자와 구별되는 자아의 존재일 수 있다. 자아가 있음으로 비로소 ‘주체’가 된다. 주체는 말 그대로 주관하는 주인이자 ‘나’라고 말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관점’을 가진 존재여야 하며,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동안 인조인간의 다양한 유형이 수없이 많이 제작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간의 연구와 도전은 인조인간의 형상을 인간과 닮게 함으로써 인간의 정체성 또한 완성되리라는 인간의 신념과 바람을 보여준다. 그러나 생명 개념으로 바라보고자 할 때 인간은 그 형상이 인간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이 인간이게 한다는 주장을 연구자는 주장하는 것이며, 또 다른 발견의 문제로써 인식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주체 개념을 통해 <이노센스>를 분석하는 과정 속에서 인간이 인조인간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인간과 인조인간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 조건 즉 언어의 관점에서 인간과 인조인간을 새롭게 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

        총아(寵兒)로서의 요셉의 심리구조 연구: 보웬가족치료이론을 중심으로

        안윤경,오지희,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7 No.2

        Existing studies of Joseph illuminate his hardship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providence, not from the background of Joseph’s family or psychological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Joseph’s psychological structure within the framework of Bowen’s family system theory regarding the hardship of Joseph presented in Genesis 37.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Joseph’s hardship can be illuminated considering Joseph’s arrogance and carelessness. Second, Joseph’s anxiety includes life threatening experience, death of his mother, responsibility over his brother Benjamin as well as emotional cutoff from his brothers. Third, the structure of favoritism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multi–generations and affected Joseph’s level of differentiation and impulsiveness. This study set a foundation that Joseph could be viewed in the family system not as an individual only and in the structure of favoritism and blessed child. 요셉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요셉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으며, 고난의 원인으로서 요셉의 가족구조나 심리구조에 대해 다루고 있는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세기 37장에 나타난 요셉의 고난사건을 중심으로 총아로서의 요셉의 심리구조를 보웬의 가족치료이론과 접목시켜 고찰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셉의 고난은 무고한 고난이라는 기존의 해석들 이외에 요셉의 교만 혹은 경솔함이 가져온 결과로 해석되기도 한다. 둘째, 요셉의 불안은 생존의 불안, 어머니의 죽음과 어린 동생에 대한 책임감, 또한 형제간의 갈등에서 경험하게 된 외로움과 정서적 단절로부터 비롯되었다. 셋째, 요셉가족의 갈등구조와 불안은 요셉가족 내의 여러 삼각관계로 이어졌으며, 총애와 편애의 구조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으로 세대를 이어 전수되었다. 총애와 편애의 구조는 요셉의 불안, 심리적 부담감, 인정욕구에 영향을 주어 형제간의 증오와 단절을 고조시키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요셉을 가족과 동떨어진 개인으로 이해하기보다 가족체계 안에서 가족의 영향으로 형성된 인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총아인 요셉이 갖는 다양한 심리적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