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인쇄광고의 도상학적 이미지 읽기 -친환경 전기자동차 광고를 중심으로-

        심현준 ( Sim Hyun-jun ),육가유 ( Lujiawei ),신상혁 ( Shin Sang-hyuk ),최종인 ( Choi Jong-in ),이종윤 ( Lee Jong-yoon ),홍장선 ( Hong Jang-s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9 No.-

        광고 이미지에 보이는 수 많은 기제들은 각각의 의미체계를 구성하며 제각기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 의미들은 문화적 배경 지식에 따라 시각적 표현과 해석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본 연구는 미술사 연구 방법인 E. 파노프스키의 도상학을 통하여 현재 자동차 산업의 가장 큰 이슈인 친환경 전기자동차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광고 이미지속에 내재되어 있는 메시지 표현과 문화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양국의 친환경 전기자동차 광고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기제들은 전(前)아이코노그래피 단계에서 전기자동차 이미지와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정보 전달을 하고있다. 아이코노그래피 단계에서는 기제들이 이미지화 되며 전기자동차 광고의 의미가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아이코놀로지 단계에서는 사회적, 문화적 해석을 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한국과 중국 시장을 목표로 하는 마케팅전략과 광고 실행에 효율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numerous mechanisms shown in the advertising image constitute the respective semantics and have various meanings. There are differences in visual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depending on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ssage expression and culture inherent in Korean and Chinese advertising images of the environment - friendly electric vehicle, which is the biggest issue in the automobile industry, through E. Panovsky 's iconography. The mechanisms of the eco-friendly electric vehicle advertising images of the two countries are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of the electric car and various elements in the pre-iconography. At the iconography, the mechanisms were imaged and the meaning of the electric vehicle advertisement was maximized. At the iconology, soci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was possible. This will provide an efficient approach to marketing strategies and advertising execution targeting the Korean and Chinese markets in the future.

      • KCI등재

        MZ세대 1인 가구의 홈퍼니싱 제품 구매성향 및 선호 요인에 관한 연구

        심현준 ( Hyeonjun Sim ),선섭희 ( Suphee S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4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1인 가구의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 또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증가하는 1인 가구에 따라 주거 형태나, 제품 등이 변화하고 있다. 1인 가구는 자기만족을 위한 소비에서는 아낌없는 성향과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며, 제품 본연의 기능보다 이제 꾸밈의 요소로 하는 홈퍼니싱 시장의 주 고객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홈퍼니싱 시장이 확장되어 가는 환경에서 1인 가구 MZ세대의 구매 성향 및 선호 요인을 파악하여 제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1인 가구 MZ세대의 이론적 고찰, 다음 홈퍼니싱에 관한 선행연구, 문헌 조사를 통한 홈퍼니싱 정의와 홈퍼니싱 제품들을 파악하였다. 이후 MZ세대 1인 가구의 홈퍼니싱 제품구매 성향과 선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 설문조사는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으로 MZ세대의 연령대별 선호 정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과 SPSS 분석 결과로 확인한 MZ세대의 구매 성향은 SNS로 정보취득, 제품구매로 이어지며 구매계기 또한 SNS로 인한 정보취득 과정에서 이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디자인은 우선으로 심플하고 모던한 제품을 선호, 소형 주거 공간 중 ‘침실’을 가장 우선으로 홈퍼니싱 대상 공간으로 생각하며 ‘조명’을 홈퍼니싱 우선 구매 제품으로 희망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인의 취향에 맞춰 공간을 위한 제품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만족도는 높았고,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 중 가장 많이 응답한 20대들의 CMF 선호요소는 색상은 무채색, 소재는 나무, 마감은 도금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자기 지향소비가 강한 MZ세대 1인 가구는 홈퍼니싱이 자기만의 개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며, 제품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디자인 요소를 구매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홈퍼니싱 환경에서 MZ세대 1인 가구의 구매성향 및 선호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이며, 홈퍼니싱 구매 성향, 디자인 선호 요인을 파악 향후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MZ세대 1인 가구의 홈퍼니싱 관련 제품 선행디자인이나 사업화를 위한 제품 개발 진행 시 기초적인 데이터로 활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Backgrou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worldwide a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in Korea, resulting in smaller housing types and products. Growth of the household, household market due to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is based on identifying the purchasing propensity and preferences of single-person MZ household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household household market is expanding and developing products. Methods This study identifies the MZ generation of single person households through conceptual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prior studies of home furnishing, types of home furnishing products, and uses SPSS to cross analyze the age preferences of MZ generation households. Results According to the survey, MZ generation’s purchasing tendency can be seen on SNS, store products’ design, color, and fit, and preferred CMF elements prefer achromatic/pasteltonic, wood/plastic material, plating/ spraying finishing method. The self-oriented consumption MZ generation understands how home Furnishing visually expresses not only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but also the design preference when decorating the house.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pensity and preference factors for single-person MZ households in a home-furnishing environment.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home furnishing purchasing tendency and design preference factors.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products for home furnishing-related product design or commercialization of single-person MZ households.

      • KCI등재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이 적용된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광고 이미지 사례 연구

        심현준 ( Sim Hyun-jun ),이종윤 ( Lee Jong-yoon ),홍장선 ( Hong Jang-s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프리미엄 브랜드는 기술 우월성과 심미적 가치를 통해 감성적 만족과 소유의 욕구를 목적으로 한다. 프리미엄 브랜드를 홍보하는 광고 이미지는 브랜드의 가치를 위해 일반적인 광고 이미지와는 다른 예술적이고 차별화된 고급스러움을 추구하고 있다. 광고 이미지에 표현되는 시각적 자극 요소들은 소비자에게 보이지 않는 실체까지 인식시키며 새로운 의미가 더해진 게슈탈트를 지각시키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글로벌 종합 가전 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에 대한 국내외 광고 이미지에서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이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의 광고 이미지를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의 관점에서 조형적 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그 결과 프리미엄 브랜드의 광고 이미지의 시각적 요소들을 통해 보이지 않는 실체까지도 인식하여 새로운 의미가 더해진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각자의 경험에 의한 스키마가 광고 이미지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이 지각적 조직화인 전경과 배경, 지각 집단화의 법칙을 중심으로 그루핑 시스템화가 된다는 것으로, 향후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있어 다양한 시각적 접근과 제작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The premium brand aims for emotional satisfaction and desire for possession through technological superiority and aesthetic value. The advertising image that promotes the premium brand pursues an artistic and differentiated luxury tha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advertising image for the value of the brand. The visual stimulus elements expressed in the advertisement image are recognized even to the invisible entity, and the Gestalt with new meaning is perceived.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where the Gestalt visual perception theory was applied to domestic and foreign advertising images of premium electronics brands of Korea's leading global general consumer electronics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This is to underst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remium home appliance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Gestalt visual perception theory. As a result, through the visual elements of the advertisement image of the premium brand, even the invisible substance was recognized, forming a gestalt with a new meaning. This can be seen as organically related to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judging advertisement images in the schema of each experience. In other words, Gestalt visual perception theory becomes a grouping system centered on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which are perceptual organization, and the laws of perceptual grouping, and it will be helpful in various visual approaches and production applications in future advertising creatives.

      • KCI등재

        스마트폰 카메라의 피부색 재현과 선호에 관한 연구

        심현준(Sim, HyunJun),노연숙(Noh, YeonSook) 한국색채학회 202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5 No.1

        As the performance of smartphone cameras improves, the role of the smartphone image processor has become important. Smartphone camera users want to reproduce the color they prefer according to their intended use rather than using the original color of the photo as it is. Smartphone manufacturers release products by applying image processing settings appropriate to each situation to smartphone cameras in order to meet these consumer needs. Objective targets were photographed to confirm the reproduction of skin color by type of smartphone camera. Color reproduc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color difference with the Lab value of the standard target that was taken. And, in order to check the skin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smartphone camera and the shooting mode, male and female portraits were photograph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 preference of portrait photography was surveyed.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smartphones showed less difference in color reproduction in portrait mode than in normal mode. It can be seen that it reproduces close to the standard color in portrait mode. It was found that this was a reproduction considering the low tolerance for skin color.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portrait photograph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x of the subject and the sex of the subject, which is the experimental stimulus. This study confirmed users" preferences and emotions according to image quality attributes and adjustment directions for skin color reproduction by smartphone cameras in a quantitative way and presented reference data for this.

      • KCI등재

        광고사진의 표현 형식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가전제품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심현준 ( Sim¸ Hyunjun ),최종인 ( Choi¸ Jongin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1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4 No.2

        The expression method of advertising photos is the work of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structuring expression elements so that advertising messages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consumers. By analyzing case studies and consumer reactions to the expression methods of photos appearing in advertisement images for home appliances, we try to suggest standards for how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re used in advertisement pictures and how to classify advertisement pictures preferred by consumers. To this end, a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expression forms shown in advertisement photos was presented, and advertisement images of domestic home applian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product type and release year. The representative advertisement photo expression method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object to conduct a factor design survey between 2x3 groups.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form was changed to emphasize the naturalness of everyday life. As a result of the main study, differences occurred in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the expression form of TV advertisement images, and differences occurred in the types of visual metaphors in advertisement attitudes,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s for the expression form of refrigerator advertisement image, there was a difference i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visual metaphor typ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dvertisement effect of the expression form and visual metaphor typ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home applianc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photos as practical data for advertising image production by preparing standards for predicting consumer preferred advertising photo expression methods at the stage of advertising production.

      • KCI등재

        자연용수공급지역에서 가뭄상황판단을 위한 실시간가뭄지수

        심현준,류정수,안재현,김정숙,김상단,Sim,Hyun-Jun,Ryu,Jung Su,Ahn,Jaehyun,Kim,Jeongsuk,Kim,Sangda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5

        가뭄은 인위적인 용수공급 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도시지역보다는 아직까지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비도시지역에서 더 빈번하게 느껴지며, 또한 가뭄은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일 단위로 실제 가뭄상황을 판단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가뭄지수가 제안된다. 제안된 가뭄지수는 표준강수지수, 용수공급량 및 수요량의 실시간 자료를 활용하여 시/군/구 단위로 산정된다. 198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164개 시/군을 대상으로 제안된 가뭄지수를 산정한 결과, 과거 주요 가뭄사상을 비교적 잘 재현하고 있음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뭄지수가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실제 가뭄상황을 판단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rought occurs more frequently in non-urban area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than in urban area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well equipped, and occurs the first in such non-urban communities. In this study a drought index which can be applied to determine actual drought conditions on a daily basis at a region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is proposed. The proposed drought index is calculated on a basic local government basis using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the real-time available amount of water supply and water demand. It is applied at 164 basic local government reg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80 to 2012.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index can reproduce well major historical drought events. Hence, the drought index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well applied for determining real-time drought conditions in communities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 KCI등재
      • 무선랜 기반의 임베디드 RFID 미들웨어 개발

        황기현(G. H. Hwang),장원태(W. T Jang),심현준(H. J. Sim),신현실(S. H. Shin)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1

        본 논문에서는 Tag 신호를 IEEE 802.1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데이터 및 영상처리가 가능한 PXA255 ARM 칩을 내장한 임베디드 RFID Reader/Writer 시스템과 전송된 Tag 신호를 이용하여 D/B를 검색한 후 이를 IEEE 802.11 통신 프로토콜 통해서 임베디드 시스템에 전송하는 임베디드 RFID R/W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임베디드 RFID R/W 미들웨어는 RFID R/W 취득한 Tag 신호를 임베디드 시스템에 전송하고, 임베디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소켓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IEEE 802.1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윈도우 서버에 접속한 후 Tag 신호를 전송한다. 윈도우 서버 프로그램은 Tag정보를 이용하여 D/B를 검색한 후 이를 IEEE 802.1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임베디드 시스템의 TFT-LCD창에 표시할 수 있는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